디렉토리분류

독립운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376
한자 獨立運動
영어공식명칭 Independence Movement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윤철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07년 7월연표보기 - 독립운동 임대수 의병 활동 시작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5년 03월 15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장재학은 일제헌병이 민적조사를 실시하자 자신과 관계된 기록을 찢고, 이후에도 일제가 부과하는 세금을 일체 납부하지 않아 재산압류 등 탄압을 당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13일 - 독립운동 이수욱 등 17명의 애국지사 주도 아래 전의 장터에서 태극기 흔들며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3일 - 독립운동 맹의섭 등 연기청년회의 주도로 충청남북도 주민들이 연합하여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6일 - 독립운동 동면 응암리 주민들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6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남면 연기리에서 횃불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7일 - 독립운동 동면 예양리, 송용리, 노송리 주민들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8일 - 독립운동 장기민과 장홍진 주도 아래 동면 송용리 마을 산에서 횃불 들고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8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서면 부동리에서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8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남면 연기리, 고정리에서 횃불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9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연서면 내 13개 모든 마을에서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29일 - 독립운동 전동면 청송리 마을 동산에서 야간 횃불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30일 - 독립운동 조치원읍 장터에서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30일 - 독립운동 홍일섭 지사와 연기청년회 주도로 조치원읍 장터에서 독립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30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부강면 등곡리에서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3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서면 신대리에서 야간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3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남면 방축리, 보통리, 진의리, 양화리, 월산리, 송담리에서 횃불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3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소정면 소정리에서 야간 횃불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3월 3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부강면 부강리에서 야간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서면 와촌리에서 야간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부강면 부강리에서 야간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남면 송담리, 갈운리에서 횃불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금남면 감성리 장터에서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1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장군면 도계리에서 야간 횃불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2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남면 연기리에서 횃불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2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대평리 장터에서 임헌규의 주도로 독립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2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부강면 부강리에서 야간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03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장군면 대교리에서 야간 횃불 만세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04월 10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남면 연기리에서 횃불 시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1년 6월연표보기 - 독립운동 조치원역 앞에 있던 7개 운송점의 화물운송 인부들 화물 운반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동맹파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1년 8월연표보기 - 독립운동 화물운송 인부들이 임금 인하에 반대하며 동맹파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7년 10월 17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1927년 10월 14일 조치원공립농업보습학교 학생 이종상이 일본인 교사에게 불손한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정학 처분을 받자 같은 학교 학생 80여 명이 처분의 부당함을 주장하며 등교 거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9년 10월연표보기 - 독립운동 일본인 화물계원이 한국인 인부들에게 욕설하며 폭행을 가하는 것에 반발한 화물운송 인부들 동맹파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0년 1월연표보기 - 독립운동 광주학생운동의 영향을 받아 시위를 추진하려 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됨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5년 02월 28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조치원읍 서창리 백정제사공장 남성 노동자들이 일급제를 월급제로 전환하고 노동시간을 단축할 것을 요구하며 동맹파업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5년 03월 02일연표보기 - 독립운동 조치원읍 서창리 백정제사공장 여성 노동자 170여 명이 남성 노동자들 동맹파업에 합세
성격 사회운동

[정의]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에서 일제에 항거하여 전개된 일제 저항 운동.

[개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면서 전국 도처에서 항일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1910년 일제가 대한제국을 병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하자 일제에 대한 불만과 저항의식은 최고조에 달하였다. 그런 가운데 1919년 한반도의 진정한 주인은 한국민임을 대외에 천명하는 일대 사건이 일어났다. 바로 3·1 운동이었다. 이때부터 본격적이고 구체적인 독립운동이 국내외에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3·1 운동 이전의 항일운동은 양반지식층이 시국에 대한 탄식과 자결 등의 방법으로 시위하는 소극적 저항과 국내 곳곳에서 산발적으로 봉기한 소규모 의병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모든 계층이 참여한 3·1 운동을 계기로 일제에 항거하여 독립을 쟁취하여야 한다는 당위성과 자신감을 확보함에 따라 적극적인 방식으로 독립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국내에 한정하여 소극적으로 전개하던 항일운동 방식에서 탈피하여 조직을 구성하여 저항하는 형태의 독립운동이 시작되었다. 또한 해외에서 임시정부를 구성하여 대외적으로 외교 활동을 펼치고 광복군을 창설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탄압이 점점 가혹해지면서 대부분의 독립 투쟁이 해외에서 이루어졌다. 세종특별자치시 일원에서 일제에 항거하며 전개된 대표적인 독립운동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임대수 의병장 항일운동]

임대수는 연기군 남면 송담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 출신으로 1882년 2월 12일 출생하였다. 1907년 정미7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모집하여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1907년 9월 3일 의병 100여명을 이끌고 소정면[당시 전의면] 소정리역을 습격하였고, 은진(恩津) 일본 헌병 분견소를 습격하여 총기와 탄약·서류 등을 탈취하였다. 또한 구금 중인 애국지사들을 구출하는 등 1908년 2월까지 공주, 천안 등 충청남도 일대에서 일제에 큰 타격을 가하며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1년 6월 공주군 장기면 태산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에서 일제와 교전하던 중 동지 6명과 함께 전사하였다.

[3.1만세 운동]

1919년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서는 장터 만세시위와 야간 횃불 만세시위 등 30여 회의 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특별히 주목할 것은 전국 최초로 전개된 ‘충남북 주민간 연합횃불시위’이다. 맹의섭 등 연기청년회의 주도로 3월 23일 충남의 조치원, 연서면[옛 서면], 연기면[옛 남면]과 충북의 강내면, 강외면, 옥산면 등지에서 주민이 연합하여 횃불만세시위를 전개하였기 때문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서 전개된 만세시위는 연기면 7회, 연서면 5회, 부강면 4회, 조치원·연동면 각 3회, 금남면·전의면·장군면 각 2회, 전동면·소정면 각 1회 등이다.

전의면은 세종 지역에서 가장 먼저 만세시위가 전개된 지역이다. 3월 13일 이수욱 등 17명의 애국지사가 주도하여 전의 장터에서 수백 명이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를 불렀다. 조치원읍에서는 3월 23일 충남북 주민 수천 명이 연합하여 만세운동을 한 이후 3월 30일 구 장터[현 평리]에서 100여 명이 만세를 불렀다. 3월 30일은 홍일섭 지사와 연기청년회 주도로 조치원 장터에서 수천 명이 독립만세를 외쳤다. 연동면[옛 동면]에서는 3월 26일에는 응암리 주민, 3월 27일에는 예양리·송용리·노송리 주민 수백 명이 횃불 만세 시위를 펼쳤다. 3월 28일에는 장기민장홍진이 주도하여 송용리 마을 산에서 횃불을 들고 만세를 외쳤다. 연서면은 3월 23일 조치원읍과 연합하여 만세운동을 전개한 이래 3월 28일은 부동리, 3월 29일은 면내 13개 모든 마을에서 시위를 전개하였다. 또한 3월 31일 신대리에서 250명, 4월 1일 와촌리에서 130여 명이 야간 횃불 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연기면도 3월 23일 조치원읍과 연합하여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3월 26일 연기리에서 수백 명, 3월 28일 연기리·고정리에서 수백 명, 3월 31일 방축리·보통리·진의리·양화리·월산리·송담리에서 수백 명이 횃불을 들었다. 이어 4월 1일 송담리·갈운리에서 100여 명, 4월 2일 연기리에서 수백 명, 4월 10일 연기리에서 100여 명이 야간에 만세를 불렀다. 금남면에서는 4월 1일 감성리 장터에서 100여 명이 낮에 만세를 불렀고, 4월 2일 대평리 장터에서는 임헌규의 주도로 2,300여 명이 독립만세를 외쳤다. 전동면에서는 3월 29일 청송리 마을 동산에서 수십 명이 야간 횃불 시위를 전개하였고, 3월 31일 소정면 소정리에서 80여 명이 야간 횃불시위를 전개하였다. 부강면에서는 3월 30일 등곡리에서 시위가 일어났다. 이어 부강리에서 3월 31일에 400여 명, 4월 1일에 400여 명, 4월 2일에는 700여 명이 야간 횃불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장군면에서는 4월 1일 도계리에서 100여 명, 4월 3일 대교리에서 1,000여 명이 야간 횃불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장재학의 저항운동]

장재학은 1862년 7월 12일 연동면 예양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일제의 민적조사와 납세정책에 저항하는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15년 3월 15일 일제헌병이 민적조사를 실시하자 자신과 관계된 기록을 찢었다. 이후에도 일제가 부과하는 세금을 일체 납부하지 않아 재산압류 등의 탄압을 당하였고, 1917년 1월 23일에는 동생 장재규·아들 장화진과 함께 전라남도 고흥의 거금도로 유배되었다.

[조치원역전 운송인부 동맹파업]

1921년 6월 조치원역 앞에 있었던 7개 운송점의 화물운송 인부 40여 명이 화물 운반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동맹파업을 전개하였다. 그해 8월에는 120여 명이 임금 인하를 반대하며 동맹파업을 전개하였다. 1929년 10월에는 일본인 화물계원이 한국인 인부들에게 욕설을 하며 폭행을 가하는 것에 반발하여 화물운송 인부 100여 명이 동맹파업하였다.

[조치원공립농업보습학교 학생운동]

1927년 10월 14일 조치원공립농업보습학교 학생인 이종상이 일본인 교사에게 불손한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정학 처분을 받자, 10월 17일 같은 학교학생 80여 명이 처분의 부당함을 주장하며 등교를 거부하였다. 저항이 10여 일 지속되자 학교당국은 정학 처분된 이종상과 등교 거부를 주도한 학생 4명을 퇴학시켰다. 1930년 1월에는 광주학생운동의 영향을 받아 시위를 추진하려 했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학생 3명이 체포되었다.

[백정제사공장 동맹파업]

1935년 2월 28일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던 백정제사공장 남성 노동자들이 일급제를 월급제로 전환하고 노동시간을 단축할 것을 요구하며 동맹파업을 전개하였다. 3월 2일에는 여성 노동자들이 합세하여 170여 명이 파업에 동참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