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480
한자 獨樂亭實記
영어공식명칭 Dokrakjeongsilgi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호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24년연표보기 - 『독락정실기』 발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성격 전적
편자 임장우
간행자 임씨대동종약소
권책 1책
규격 20㎝[가로]|33㎝[세로]
어미 상하향어미
권수제 독락정실기단
판심제 독락정실기서|독락정실기전|부록

[정의]

1924년 임씨대동종약소(林氏大同宗約所)에서 임난수와 관련된 글을 모아 발행한 책.

[개설]

『독락정실기(獨樂亭實記)』부안임씨 전서공파(典書公派) 파조(派祖)인 고려시대 충신 전서공 임난수(林蘭秀)[1342~1407)의 절의(節義)를 기리기 위하여 임난수와 관련된 글을 모은 책이다.

도학과 문장에서 큰 업적을 이루지 못하였지만 인의(仁義)와 절개가 남달랐음을 서문에서 설명하고 있다. 조선 후기 주자학의 대가 송시열(宋時烈)과 조선 후기 충청 지방 유학의 거두 임헌회(任憲晦)를 비롯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 학통을 계승하여 충청 지역에 기반을 두고 활동한 문인, 삼기(三岐)를 중심으로 하는 금강 중상류의 지역 유림, 부안임씨 후손 임장우(林章佑) 등이 주로 썼다.

[저자]

『독락정실기』임난수의 후손 임장우가 편집하고 임상희(林相熙)가 교정을 맡았으며, 규장각 직제학 민병승(閔丙承)[1866~?]이 서문을 썼다.

[편찬/간행 경위]

민병승의 서문 말미를 보면 제현(諸賢)의 기술(記述)을 편집하고 각 집안의 지장(誌狀)을 모은 것은 임장우이고, 그 전말(顚末)을 민병승에게 알려준 사람은 임헌두(林憲斗)였다.

임장우는 세종특별자치시 월산리 제산정(霽山亭)에 걸려 있는 「제산정기(霽山亭記)」를 쓰기도 하였다. 부록 말미에 제산 임영휴의 묘갈명[秘書院承霽山公永烋墓碣銘]이 실렸다.

임영휴는 제산정을 세우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임영휴의 아들 임헌두(林憲斗)가 1919년에 건립하였다.

[형태/서지]

선장(線裝)[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책의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는 책 장정(裝幀) 방법]본 고서 형태이며, 크기는 가로 20×세로 33㎝이다. 석판인쇄로 찍어 냈다.

[구성/내용]

크게 전(全)과 부록(附錄)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본문 격인 전(全)에 수록된 글은 서문과 목록을 제외하고 총 35편이며, 부록에 수록된 글은 총 31편인데 분량이 더 많다.

책의 앞부분 전(全)은 임난수 및 그와 관련된 가묘(家廟), 독락정, 기호서사(岐湖書社)에 관한 여러 가지 형식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 「사장(事狀)」은 임난수가 고려 때 공을 세우고 조선이 건국된 후 절의를 지켜 은둔한 일부터 세종 때 부조위(不祧位)를 하사받고 숙종 때 지역 유림이 기호서사를 세워 제향하게 해 달라는 상소를 올린 일 등의 과정 및 전거(典據)[말이나 문장의 근거가 되는 문헌상의 출처]를 기록하고 있다.

우암 송시열이 쓴 「신도비(神道碑)」는 『송자대전(宋子大全)』(권164)에도 실려 있다. 여기에 수록된 「독락정기(獨樂亭記)」는 1710년 숭정후재경인(崇禎後再庚寅) 청주영장(淸州營將)인 후손 임재무(林再戊)가 쓴 것으로, 남수문(南秀文)[1408~1442]이 쓴 기문과 다르다. 「화양서원통장(華陽書院通狀)」은 기호서사에 정몽주와 길재를 배향하고, 「봉암(鳳巖)서원통장」과 「검담(黔潭)서원통장」은 위의공(威毅公) 임흥(林興)을 배향하게 해 달라는 유림의 청원을 담은 글이다.

이들 중 봉암서원검담서원은 기호서사와 함께 모두 세종특별자치시 인근에 있는 서원으로, 부안임씨 가문의 지역 내에서의 영향력을 보여 주고 있다. 말미에는 성담 송환기[1728~1807], 전재 임헌회[1811~1876], 송암 최종화[1859~1918] 등 다른 시대의 세 사람이 독락정에 오르며 쓴 시를 실었다.

전체 책 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부록은 대부분 묘갈명과 묘지명이고, 사적(事蹟)과 열녀전 및 행장 등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전(全)의 목차와 저자]

서(序) / 민병승(閔丙承)

목록(目錄)

사장(事狀)

지석문(誌石文)

신도비(神道碑) / 송시열(宋時烈)

신도비추기(神道碑追記) / 송주헌(宋胄憲)

신도비후서(神道碑後敍) / 임장우(林章佑)

임씨가묘비(林氏家廟碑) / 송병화(宋炳華)

독락정기(獨樂亭記) / 임재무(林再戊)

독락정중수기(獨樂亭重修記) / 채지홍(蔡之洪)

기호서사중건기(岐湖書社重建記) / 송환기(宋煥箕)

서사중건기발(書社重建記跋) / 박길원(朴吉源)

서사중건기후서(書社重建記後敍) / 임장우(林章佑)

기호서사봉안문(岐湖書社奉安文)

부서하부사이공봉안문(附西河府使二公奉安文)

서사향사축문(書社享祀祝文)

부서하부사위의삼공축문(附西河府使威毅三公祝文)

기호서사청액소(岐湖書社請額疏) / 疏頭:오윤명(吳允明)

연기장보통장(燕岐章甫通狀)

화양서원통장(華陽書院通狀) / 通頭:성진명(成鎭明)

유장 부제사(儒狀 附題辭) / 狀頭:민백신(閔百新)

정춘조장 부품목(呈春曹狀 附稟目) / 狀頭:이원형(李愿亨)

봉암서원통장(鳳巖書院通狀) / 通頭:박재근(朴栽根)

검담서원통장(黔潭書院通狀) / 通頭:오모(吳某)

정춘조장 부제사(呈春曹狀 附題辭)

유장 부제사(儒狀 附題辭) / 通頭:한용호(韓用浩), 황재운(黃再運)

기호서사상량문(岐湖書社上樑文) / 임재항(林在恒)

강당중수상량문(講堂重修上樑文)

가묘중수상량문(家廟重修上樑文)

동사(東史)

나려정절록(羅麗靖節錄)

매학단기략(梅鶴壇記略)

등독락정(登獨樂亭) / 송환기(宋煥箕)

등독락정 절구삼수(登獨樂亭 絶句三首) / 임헌회(任憲晦)

유감이서(有感而書) / 전우(田愚)

유독락정(遊獨樂亭) / 최종화(崔鍾和)

부부사사직위의삼공사적(附府使司直威毅三公事蹟) / 전우(田愚)

[부록의 목차와 저자]

목록(目錄)

증병조참판어천공대성묘갈명(贈兵曹參判漁川公大盛墓碣銘) / 홍직서(洪直瑞)

증병조참판수봉공득신묘갈명(贈兵曹參判燧峰公得臣墓碣銘) / 정병준(鄭秉浚)

영월부사공규사적(寧越府使公葵事蹟)

군자감주부경택사적(軍資監主簿景澤事蹟)

은호공세형묘갈명(隱湖公世衡墓碣銘) / 권연(權沇)

용암공익무묘갈명(龍菴公益茂墓碣銘) / 권연(權沇)

종모재공덕현묘갈명(終慕齋公德玄墓碣銘) / 임헌회(任憲晦)

분졸재공경휘묘갈명(芬拙齋公慶彙墓碣銘) / 송규헌(宋奎憲)

석초공홍제묘표(石樵公弘濟墓表) / 조병집(趙秉輯)

호운공치경묘갈명(湖雲公致慶墓碣銘) / 임헌회(任憲晦)

쌍호공형서묘갈명(雙湖公亨敍墓碣銘) / 임헌회(任憲晦)

금사공낙용묘갈명(錦沙公樂龍墓碣銘) / 조병집(趙秉輯)

경헌공정기묘갈명(敬軒公鼎璣墓碣銘) / 임헌회(任憲晦)

은파공정규행장(隱坡公鼎奎行狀) / 임헌회(任憲晦)

열녀홍씨전(烈女洪氏傳) / 전우(田愚)

중추원의관공학수묘갈명(中樞院議官公學壽墓碣銘) / 최종화(崔鍾和)

근검재공학요행장(勤儉齋公學堯行狀) / 구희(具熙)

해사공학수묘갈명(海史公學壽墓碣銘) / 임장우(林章佑)

정헌공시혁묘지명(靜軒公時爀墓誌銘) / 임헌회(任憲晦)

학생공학헌묘지(學生公學軒墓誌) / 임장우(林章佑)

통정대부궁내부주사공학기가장(通政大夫宮內府主事公學起家狀) / 임종근(林琮根)

학생공학구묘지(學生公學九墓誌) / 임장우(林章佑)

동지중추부사우재공수민행장(同知中樞府事愚齋公秀民行狀) / 임장우(林章佑)

증사헌부감찰수소공수준묘표(贈司憲府監察守素公秀俊墓表) / 송병선(宋秉璿)

유호재공호근행장(有好齋公浩根行狀) / 임장우(林章佑)

통정대부능산공경우묘지명(通政大夫菱山公競佑墓誌銘) / 임장우(林章佑)

통정대부망우재공노규묘갈명(通政大夫忘憂齋公魯珪墓碣銘) / 신면휴(申冕休)

선공감감역공영훈묘지명(繕工監監役公永勳墓誌銘) / 임장우(林章佑)

비서원승제산공영휴묘갈명(秘書院承霽山公永烋墓碣銘) / 민병승(閔丙承)

월산공병철묘지명(月山公炳喆墓誌銘) / 임장우(林章佑)

발(跋) / 임장우(林章佑)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