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해동지도』 「전의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488
한자 海東地圖全義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경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로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해동지도』]

[정의]

1750년대 초 전국의 군현을 회화식으로 그린 고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전의현 지도.

[개설]

『해동지도』는 제1책 경기도, 제2책 해서전도관서전도, 제3책 관동전도·북관전도 및 군현지도 외에 「조선여진분계도(朝鮮女眞分界圖)」와 「요계관방도(遼薊關防圖)」가 수록되어 있다. 또 제4책 서북피아양계전도, 제5책 영남전도, 제6책 호서전도, 제7책 호남전도, 제8책 팔도총도 등으로 구성되어 18세기 중엽의 조선을 그려내고 있다. 대부분의 도별 지도책은 도지도, 군현지도, 도내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 순으로 편집되어 있다. 대부분의 도별 지도책은 도지도, 군현지도, 도내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 순으로 편집되어 있다. 지지(地誌)[특정 지역의 자연 및 인문 현상을 백과사전식으로 나누어 기술한 책] 요약은 지도의 여백을 이용하여 읍치 관아의 구조와 위치, 지명과 산천의 풍수 등 지역의 여러 현상을 시각적·공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중이다.

[형태]

8책으로 구성된 채색필사본으로, 크기는 47×30.5㎝이다. 지금은 6책, 2축(178.7×232㎝)으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해동지도』의 「전의현」 지도에는 읍치 중심으로 고을의 교통로와 문화적 가치관인 지지로서 고을 구성원의 호수, 전답, 주요 산과 고개를 나타내고 동서남북의 지경(地境)[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일정한 테두리 안의 땅]을 숫자로 기록하여 강역(疆域)[나라와 나라의 영역을 가르는 경계]의 규모를 쉽게 알 수 있게 하였다. 방리(方里)는 읍내면(邑內面)은 기록하지 않고 동면, 남면, 소서면, 대서면, 북면의 위치적 상황을 지도 하단에 별도로 표시하여 현의 치소와 연결고리를 분명히 하였다.

「전의현」 지도 첫줄에 호수가 일천육백십칠호(一千六百十七戶)로 적었듯이 전의현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소정면대곡리·고등리에 해당되는 작은 고을이었다.

고을의 진산(鎭山)[도읍지나 각 고을에서 도읍지 또는 고을을 진호(鎭護)하는 주산(主山)으로 정하여 제사하던 산]은 지도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북쪽 5리에 있었다’는 증산(甑山)이다. 지도 왼쪽의 북면(北面)과 대서면(大西面)에 있는 하천은 아산만의 삽교호로 흘러들어가는 곡교천의 최상류에 해당된다. 읍내를 흐르는 하천은 미호천의 지류인 생졸천이다.

전의현 동서남북의 지경은 ‘서거(西距) 온양(溫陽)界 십리’라는 식으로 적어 놓았다. 1854년에 편찬된 『전성지』에 의하면 대체적으로 동쪽은 청주와의 경계까지 20리, 서쪽은 월경지 청주 덕평면(德坪面)과의 경계까지 10리, 남쪽은 연기(燕岐)와의 경계까지 20리, 북쪽은 목천(木川)과의 경계까지 10리이다.

『해동지도』 산천조의 표시에 고등산(高登山)과 월조산(月照山)을 기록하였으며, 송치(松峙)·굴운치(屈雲峙) 등 주요 교통로 상의 고개 지명을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또한 읍치소를 감싸고 흐르는 중심 하천의 흐름을 강조, 표시하였다. 그러나 지도에는 일부 오류가 있다. 생졸천은 고을의 동쪽으로 흘러나가 청주와의 경계선을 이루며 남쪽으로 빠져나간다. 지도에는 이와 같은 사실이 반영되지 않았고, 하천 흐름의 방향은 크게 왜곡되어 마치 서쪽으로 직접 빠져 나가는 것처럼 그려져 있다. 생졸천의 흐름이 반대 방향인 서향으로 표현하여 공주의 정안천 방향으로 곡류하는 것으로 그려낸 아쉬움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는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비슷한 유형의 군현지도집 가운데 완성도가 가장 높다. 그러나 『해동지도』는 도내 군현지도들의 묘사 방식이 통일성을 보이는 것과 달리 도별로 편차가 나타난다.

전국 군현의 지리적인 내용을 통일된 체제로 묘사하였으며, 당시까지 제작된 모든 회화식 지도의 기법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군현지도집의 발달 과정을 보여 주는 관찬(官撰)[관에서 서적을 펴 내거나 관에서 펴 낸 책] 군현지도집으로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