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호서읍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500
한자 湖西邑誌
영어공식명칭 Hoseoeupji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해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71년(고종 8)연표보기 - 『호서읍지』 편찬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서울대학교
성격 전적
권책 17책
규격 20㎝[가로]|30.4㎝[세로]

[정의]

1871년 충청도 각 군현에서 작성한 읍지와 사례들을 합편하여 편찬한 충청도의 도지.

[편찬/간행 경위]

1871년(고종 8) 충청도 각 군현에서 작성한 읍지와 사례들을 합편하여 17책으로 편찬한 충청도의 도지(道誌)로, 개항기 충청도 군현 사정과 함께 채색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이다.

2019년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서지]

총 17책이다.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이다. 가로 20㎝, 세로 30.4㎝이다.

[구성/내용]

『호서읍지(湖西邑誌)』는 책별 54개 읍과 24개 지역의 사례(事例)[어떤 일이 전에 실제 일어난 예], 진지(鎭誌)[진에 관한 기록], 영지(營誌)[영에 관한 기록], 역지(驛誌)[역에 관한 기록]가 수록되어 있다.

제1책에는 공주·순영·공주(公州), 제2책에 아산(牙山) 및 사례, 제3책에 충주(忠州) 및 읍사례(邑事例)·진영사례(鎭營事例)·연원역사례(連原驛事例), 제4책에 임천(林川) 및 읍사례·문의(文義)·제천(堤川) 및 읍사례·영춘(永春)·연풍(延豊) 및 읍규(邑規), 제5책에 신창(新昌)·당진(唐津)·예산(禮山) 및 읍사례·결성(結城)·남포(藍浦), 제6책에 서산(瑞山) 및 읍사례·평신진지(平薪鎭誌)·옥천(沃川), 제7책에 영동(永同) 및 사례질(事例秩)·황간(黃澗)·청산(靑山) 및 읍사례·회인(懷仁), 제8책에 괴산(槐山) 및 읍사례·보은(報恩)·덕산(德山), 제9책에 음성(陰城)·청안(淸安)·진천(鎭川)·목천(木川), 제10책에 청주(淸州) 및 병영사례(兵營事例)·중영사례(中營事例)·율봉역사례(栗峯驛事例)·본부사례(本府事例)·홍주(洪州) 및 사례·금정역지(金井驛誌)·금정역사례·전영사례(前營事例)가 수록되어 있다. 제11책에 해미(海美)·직산(稷山) 및 사례·성환역지(成歡驛誌)·성환역사례, 제12책에 청풍(淸風)·천안(天安), 제13책에 비인(庇仁) 및 마량진지(馬梁鎭誌)·마량진사례·홍산(鴻山) 및 사례·부여(扶餘)·청양(靑陽)·정산(定山)·석성(石城), 제14책에 태안(泰安) 및 안흥진지(安興鎭誌)·소근진지(所斤鎭誌)·온양(溫陽) 및 사례·한산(韓山), 제15책에 노성(魯城)·은진(恩津)·회덕(懷德)·연산(連山) 및 사례·보령(保寧) 및 수영지(水營誌)·진잠(鎭岑) 및 신도진지(薪島鎭誌), 제16책에 단양(丹陽)·서천(舒川) 및 사례·서천포진지(舒川浦鎭誌)·서천포사례·대흥(大興)·면천(沔川) 및 읍사례, 제17책에 연기(燕岐) 및 읍례(邑例)·전의(全義)·평택(平澤) 및 사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17책에는 세종 지역에 해당되는 연기현전의현이 수록되어 있다. 연기현은 읍사례, 전의현은 방리·도로·건치연혁·군명·형승·성지·관직·산천·성씨·풍속·능침·단묘·공해·제언·창고·물산·교량·역원·목장·관방·봉수·누정제영·사찰·고적·인물·한천·수전·진공·조적·전결·대동·균세·봉름·군병·선생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호서읍지』는 충청도 54개 읍의 읍지를 모두 수록한 유일한 충청도 도지이다. 가장 큰 특징은 읍지·사례·진지·영지·역지·지도 등이 종합적으로 함께 기록된 점으로, 이는 읍지 본래의 인문 지리적 내용 이외에 군사·재정적인 측면이 강화된 것이다.

이러한 읍지의 체재·내용 변화는 병인양요(1866)와 신미양요(1871) 및 민란(民亂) 등 대외적으로 외세 도래에 따른 국방 강화의 필요성과 민란 빈발에 따른 지방 재정 구조 파악의 필요성 등 중앙정부의 읍지 편찬 목적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