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삼재풀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168
한자 三災-
영어공식명칭 Samjaepuri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정의]

세종 지역에서 개인의 사주를 기초로 운명이나 길흉을 점쳐 삼재에 들었을 경우 풀어 내는 무속 행위.

[개설]

삼재란 수재(水災)·풍재(風災)·화재(火災)를 말한다. 역서의 12간지 주기법을 기초로 삼재의 들고 남을 확인한다.

개인의 사주(四柱)[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에 근거하여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점]를 바탕으로 삼재를 확인하여 삼재에 든 것이 확인되면 삼재를 해소하기 위하여 굿이나 비손[손을 비비며 비는 간단한 민속 의례] 형태의 의례를 한다.

[절차]

세종 지역의 일반적인 삼재풀이는 허수아비를 사용한 주술적인 방식이다. 허수아비를 사용한 삼재풀이는 삼재에 든 자녀의 어머니나 무속인이 대행한다.

먼저 허수아비에 삼재가 든 사람이 입던 속옷을 입히고 허수아비의 몸에 삼재에 든 인물의 사주[생년월일시]를 적은 종이를 부착시킨다.

삼베나 광목으로 허수아비를 염하듯 감싼다.

허수아비를 가지고 세 갈래길에 나가 비손이나 굿을 한다.

세갈래 길가에 짚을 깔고 떡 한 시루, 북어, 불밝기쌀, 청수 등을 차려 놓은 뒤 삼재풀이를 한다.

자녀의 어머니가 삼재풀이를 할 경우에는 비손 형식으로 의례가 진행되고, 무당이 동참할 경우는 독경이나 주술적인 굿을 통하여 삼재풀이를 한다.

의례를 마치면 음식을 사방을 흩어 뿌리고, 허수아비는 태우거나 둑에 버린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