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248
한자 觀亭里-長丞祭
영어공식명칭 Religious Ritual for a Jangseung of Gwanjeongri Yudong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민정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국립민속박물관에서 관정리 유동 장승제 시연
의례 장소 관정리 유동 장승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마을 어귀지도보기
성격 동제|장승제
의례 시기/일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
신당/신체 남장승|여장승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유동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전의면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행정구역상 3개리로 나뉘며 1리에는 유동[느리골]과 양곡, 2리에는 취촌과 하대부[사관정], 3리에는 상대부과 중대부 등의 마을이 있다. 마을 중 유동에서는 해마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장승제를 지낸다.

[연원 및 변천]

장승제 제문에 등장하는 ‘금지(金地)’라는 지명에 근거하여 통일신라 때부터 내려왔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장승제의 유래와 관련하여서는 마을에 귀신이 자주 출몰하여 귀신을 쫓기 위하여 장승을 세우고 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다는 설과 훤히 뚫린 마을 입구에 수구막이를 하기 위하여 장승을 세웠다는 설이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마을 어귀에 동·서 양쪽으로 장승이 세워져 있다. 동쪽에는 여장승, 서쪽에는 남장승이 자리한다. 여장승의 몸통에는 ‘동방청제대장군(東方靑帝大將軍)’이 남장승에는 ‘서방백제대장군(西方白帝大將軍)’이 묵서 되어 있다. 본래 동쪽이 남자, 서쪽이 여자를 상징하는 방위라고 하나 서쪽으로 난 도로가 넓고 좋아서 서쪽에 남장승을 세우게 되었다. 새로 장승을 세울 때는 근처 고목에 금줄로 고정한다.

장승은 윤년이 드는 해에 새로 깎는다. 평년에는 색칠만 다시 한다. 장승에 색을 칠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반부터이다. 몇몇 주민들은 전통을 왜곡하는 행위라고 하여 색칠을 반대하였다. 새로 장승을 깎는 해에는 마을 뒷산에서 북쪽으로 굽은 소나무를 베어온다. 나무를 베기 전에 반드시 산신께 고한다. 또한 장승 옆에는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뜻에서 솟대를 깎아서 세워 놓는다. 솟대는 마치 기러기를 닮았다. 새의 꼬리 부분에는 흰 종이를 붙여 백기(白旗)를 다는데 백기가 살을 막아 준다고 믿는다. 솟대를 가리켜 ‘수살대’라고도 불렀다.

[절차]

마을에서는 장승제를 앞두고 제관을 선출한다. 제관은 책력을 보아서 깨끗한 사람으로 뽑는다. 부부 내외가 건강하고 두 사람 모두 운이 닿는 집으로 가린다. 생기(生氣), 복덕(福德), 천의(天宜)가 닿아야 제관을 맡을 수 있다. 제관으로 뽑힌 이후에는 집 밖 출입을 삼가고 근신한다.

제의 비용은 마을 기금으로 충당한다. 제물로는 떡, 통북어, 삼색실과, 술 등을 장만한다. 떡은 제관 집에서 내놓은 쌀로 백설기[3되 3홉]를 찐다.

해가 지면 제관 일행은 준비한 제물을 가지고 마을 어귀로 향한다. 제물은 두 몫으로 나누어 마련하고 먼저 남장승에 정성을 드린다. 제를 지낼 때는 제관을 도와줄 집사 2명이 함께 간다. 다른 사람들도 부정하지 않으면 누구든지 장승제에 참석할 수 있다.

제관이 남장승 앞 제단 위에 백지를 깔고 제물을 차린다. 준비가 끝나면 유교식으로 경건하게 정성을 드린다. 분향(焚香)과 헌작(獻爵) 후에 독축(讀祝)한다. 이어서 제관과 집사 모두 합동으로 삼배(三拜)한다.

제관은 소지(燒紙) 한 장을 손에 들고 “서방백제대장군 소지요!”라고 외친 뒤에 “우리 마을 올해에도 풍년들고 마을 사람들 모두 건강하고 장가 못 간 노총각 장가가게 하여 주시기를 빌면서 이 소지를 올리나이다. 높이 높이 올라가서 우리 유동부락 잘되게 하여 주십시오”라고 빈다. 장승 소지를 올린 뒤에 가가호호 대주 소지를 올려준다.

제관은 소지를 올린 뒤에 백지에 제물을 조금씩 싸서 장승에 묶어 둔다. 신령께 바치는 폐백이다. 주민들은 간단히 음복하고 여장승 앞으로 이동한다. 여장승에도 똑같이 정성을 드리고 마지막에 장승 소지 한 장을 올린다.

장승제가 끝난 뒤에 주민들은 마을회관에 모여서 음복하고 제비 결산을 한다.

[부대 행사]

장승제를 지낸 다음 날인 정월 대보름에 주민들은 동네잔치를 열어서 함께 음식과 술을 먹고 윷놀이를 하며 보낸다.

[현황]

2019년 현재 유동마을 주민들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으나 주민들의 고령화로 인하여 장승 및 솟대 제작과 제의 절차 등이 점차 간소화되고 있다. 2003년에는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장승제가 시연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