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036
한자
영어공식명칭 Mount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희두

[정의]

세종특별자치시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사면을 이루며 높이 솟아 있는 지형.

[개설]

세종 지역은 북부지방을 지나는 차령산맥의 주맥이나 지맥에서 갈라져 나온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령산맥은 강원도 오대산 부근에서 태백산맥으로부터 갈라져서 남남서 방향으로 달리며 충청북도와 경기도의 도계를 이루다가 세종특별자치시의 북부 지역인 소정면, 전의면, 전동면에 이르러 산맥의 폭이 넓어지면서 높이가 낮아진다.

운주산을 중심으로 전의면전동면 일대와 서부의 국사봉을 중심으로 한 전의면 일대, 남부의 전월산을 중심으로 한 연기면 일대, 비학산을 중심으로 한 금남면 일대, 복두산을 중심으로 한 부강면연동면 일대에 산지가 발달해 있다.

산지와 산지 사이에는 우리나라 4대 강의 하나인 금강금강 지류인 미호천·조천천을 비롯한 여러 하천이 유로를 바꾸면서 충적지를 넓혀 산간 계곡지 주변의 범람원이나 충적지를 형성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산들은 고도의 차이가 크지 않고 거의 봉고동일성(峰高同一性)[비슷한 높이의 봉우리가 이어져서 펼쳐지는 모습]을 띠는 차령산맥의 지산을 이루고, 세종 지역 산간을 흐르는 조천천·미호천·금강 등이 기반암이 풍화된 지역을 유수작용으로 삭박(削剝)[풍화 작용이나 침식 작용에 의하여 지표(地表)가 깎여 나가 낮아지는 일]하고 차별 침식하여 깎아낸 다음 비옥한 충적 물질을 운반 퇴적하여 만들어 놓은 충적 평야가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심부와 차령산맥 줄기 곳곳에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평야와 들은 차령산맥, 차령산맥 지맥의 산줄기 흐름과 금강·미호천·조천천의 하천 유수작용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세종 북부지역 산지]

산지들을 구체적으로 보면 소정면·전의면·전동면 등지에 있는 북부 산지의 경우 운주산(雲住山)[459.7m], 오봉산(五峰山)[262.5m], 작성산(鵲城山)[339m], 동림산(東林山)[458.3m], 이성산(李城山)[229m], 망경산(望京山)[384.2m], 국사봉(國師峰)[266.7m], 송학산(松鶴山)[209.5m], 고려산(高麗山)[307.2m], 금성산(金城山)[424.1m], 국사봉(國士峰)[403m] 등이 있다.

이외에도 산과 산을 연결해 주는 곳곳에 높고 낮은 봉우리가 많이 분포한다. 산이 많은 북부 산지 지역은 크고 작은 무수한 봉우리가 차령산맥의 산줄기를 따라 분포하며, 산과 산 사이에 인간의 생활 터전인 산간 분지를 만들어 놓았다.

운주산, 오봉산, 작성산, 동림산, 이성산, 망경산, 국사봉, 송학산, 고려산, 금성산, 국사봉 등은 충청남도 천안시의 독립기념관 뒷산인 흑성산으로부터 충청남도 천안시와 세종특별자치시의 경계 지점에 있는 고려산으로 이어진 차령산맥이 고려산에서 남북으로 뻗은 여러 갈래 지맥들의 산줄기마다 솟아 있는 산이다.

소정면은 같은 북부 지역인데도 차령산맥의 북서 사면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충청남도 천안시 방향으로 열려 있다. 산지 비율이 전의면전동면보다는 낮고 산의 높이도 현저하게 낮으며, 소정면 소재지 앞을 중심으로 침식분지가 다소 넓게 발달하여 있다.

[세종 동부지역 산지]

부강면연동면 지역의 산세에 직간접 영향을 미친 산맥은 동북쪽의 소백산맥 지맥이다. 동북쪽 소백산맥 지맥의 말단에 침식과 삭박을 받아 남아 있는 낮은 구릉성 산지의 작은 잔구가 연동면부강면의 북동쪽 및 동부에 줄기 형태로 남아있다. 충청북도 청주시 부모산(父母山)[232.6m]·팔봉산(八峰山)[297.4m], 청주시와 부강면 경계 지역에 있는 복두산(幞頭山)[281.4m]·노고봉(老姑峰)[305m]·국사랑산(國師郞山)[282.2m] 등이다.

부모산과 팔봉산에서 뻗은 서사면 지역은 충청북도 청주시 은적산(恩積山)[205.7m], 마봉산(馬峰山)[173.3m], 망덕산(望德山)[175.7m], 학천산(鶴川山)[167.5], 아미산(蛾眉山)[139.8m], 197봉, 황우산(黃牛山)[193.8m), 용대이산[97.6m], 안산[110.9m], 응암리의 81.8봉, 64.4봉, 갈산리의 103봉, 명학리의 103.5봉, 합강리의 125.7봉 등으로 이어지는 많고 낮은 봉우리가 미호천금강 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구릉성 산과 산 사이에는 거의 고도가 비슷한 구릉지의 봉우리가 산재한다. 은적산, 마봉산, 망덕산, 학천산, 아미산, 197봉, 황우산, 용대이산, 안산, 응암리의 81.8봉, 64.4봉, 갈산리의 103봉, 명학리의 103.5봉, 합강리의 125.7봉 등 산과 봉우리들이 바로 금강미호천으로 흘러드는 크고 작은 계곡류나 지류 하천에 의하여 낮아진 구릉성 산지들이다. 그중에 팔봉산과 복두산이 솟아 있으며, 다시 그 서부와 남서부에는 미호천금강이 사행하면서 침식과 삭박을 하여 미호 평야인 동진들 및 장남평야 등을 발달시켰다.

[세종 남부지역 산지]

금남면을 중심으로 발달하는 산지는 계룡산에서 뻗어 내린 관암지맥이다. 관암지맥은 세종특별자치시와 대전광역시의 경계를 이루며 거의 동서로 뻗어 있고, 관암지맥의 봉우리마다 남북으로 분포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산지들이 금강을 향하여 뻗는 가운데 뻗은 구릉성 산지가 금남면 곳곳에 분포한다.

금병산(金屛山)[365.2m]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추목동에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걸쳐 열두 봉우리를 이루고 있다. 동쪽에서부터 옥련봉, 일광봉, 공덕봉, 도덕봉, 옥당봉, 연화봉, 운수봉, 출세봉, 감찰봉, 현덕봉, 대별봉, 창덕봉, 장군산, 부용봉, 꾀꼬리봉 등이다.

금병산의 기운이 미치는 면적에 포함되는 박산, 적오산(赤鰲山)[258.5m], 오봉산(五峰山)[240.7m], 봉무산(鳳舞山)[346.9m], 서대산(西大山)[247.4m], 괴화산(槐花山)[201.2m], 비학산(飛鶴山)[162.5m], 수양산(修養山)[331.3m], 여수비탈산[142.8m], 길마재산[219.4m], 중근봉(中近峰)[216.6m] 등은 금병산을 이루는 산줄기의 일부이다.

관암지맥에서 남북으로 뻗어 금강까지 이어진 수없이 많은 구릉성 산지들 사이사이에는 거의 봉고동일성의 구릉들이 분포하고, 계곡의 낮은 저지에는 계곡을 흐르는 하천의 유수작용에 의하여 좁은 곡간분지가 분포한다. 괴화산과 비학산 서쪽 금강 주변의 용포리, 대평리에는 비교적 넓은 충적평야가 발달하여 대평들을 이룬다.

[세종 서부지역 산지]

전동면 동림산, 국사봉(國士峰)[403.4m], 오봉산, 국사봉(國司峰)[349.2m], 천태산(天台山)[394.1m], 시묘산(侍墓山)[168.5m], 국사봉(國師峰)[214.6m], 장군봉(將軍峰)[338m], 장군산(將軍山)[354.8m], 무학봉(舞鶴峰)[316.5m] 등은 차령산맥의 지맥이 남북으로 뻗어 서부 산지를 이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