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해동지도』 「연기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487
한자 海東地圖燕岐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경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로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해동지도』]

[정의]

1750년대 초 전국의 군현을 회화식으로 그린 고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연기현 지도.

[개설]

『해동지도』는 제1책 경기도, 제2책 해서전도관서전도, 제3책 관동전도·북관전도 및 군현지도 외에 「조선여진분계도(朝鮮女眞分界圖)」와 「요계관방도(遼薊關防圖)」가 수록되어 있다. 또 제4책 서북피아양계전도, 제5책 영남전도, 제6책 호서전도, 제7책 호남전도, 제8책 팔도총도 등으로 구성되어 18세기 중엽의 조선을 그려내고 있다. 대부분의 도별 지도책은 도지도, 군현지도, 도내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 순으로 편집되어 있다. 대부분의 도별 지도책은 도지도, 군현지도, 도내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 순으로 편집되어 있다. 지지(地誌)[특정 지역의 자연 및 인문 현상을 백과사전식으로 나누어 기술한 책] 요약은 지도의 여백을 이용하여 읍치 관아의 구조와 위치, 지명과 산천의 풍수 등 지역의 여러 현상을 시각적·공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중이다.

[형태]

8책으로 구성된 채색필사본으로, 크기는 47.0×30.5㎝이다. 지금은 6책 2축[178.7×232㎝]으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해동지도』 「연기현(燕岐縣)」 지도는 지리지의 성격도 포함하는 그림식 지도로, 연기현의 지지(地誌)[특정 지역의 자연 및 인문 현상을 백과사전식으로 나누어 기술한 책] 요약은 지도의 상단과 오른쪽의 여백을 이용하고 있다. 호수 2690호, 전 1736결로 표기되어 있다.

연기현은 지금의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연동면 전체, 연기면의 방축리·양화리를 포함한 북쪽, 평리를 제외한 조치원읍이 해당된다. 읍치는 남면 연기리 일대에 있었으며, 고을의 진산(鎭山)[도읍지나 각 고을에서 그곳을 진호(鎭護)하는 주산(主山)으로 정하여 제사하던 산]은 지도에는 나오지 않지만 ‘동쪽 1리에 있었다.’는 성산(城山)이다. 중심 부분에 읍치가 현의 남쪽에 치우쳐져 있음에도 중앙 요처에 있는 것처럼 그려져 있다.

고지도는 군사적인 필요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따라서 「연기현」지도는 군사적인 내용도 담고 있다. 지도 상단의 연기현 군병기록에는 감영군(監營軍) 22명, 병영군(兵營軍) 23명, 우영진속오군(右營鎭束伍軍)이 262명으로 나타나 있다. 대체적으로 『해동지도』의 「청주목」이 충청병영을 중심에 두고 장방형의 성벽으로 당당하게 그려낸 것과는 대조적으로 연기현은 군사적으로도 궁벽(窮僻)[매우 후미지고 으슥함]하고 한미(寒微)[가난하고 지체가 변변하지 못함]한 지역이라는 느낌을 준다.

연기현 동서남북의 지경은 1824년 연기지구서(燕岐誌舊書)의 방리(方里)조에 ‘관문으로부터 동쪽에 15리 대로에 의하여 청주와 경계에 접하고, 20리 소로에 의하여 문의와 경계와 접하고 북쪽으로 20리 대로에 의하여 전의와 경계에 접하고, 서쪽으로 15리 소로에 의해 공주와 경계에 접하고, 남쪽으로 15리 대로에 의해 공주와 경계에 접한다.’라고 되어 있다.

「연기현」지도에는 7개의 면이 적혀 있어서 강역(疆域)[영역을 가르는 경계] 규모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지도의 우측단에 읍내면, 남면, 동1면, 동2면, 북1면, 북2면, 북3면을 표기하고 거리별 위치를 기록하였다. 관아와 향교 등 요처를 지도 중앙에 배치하고, 전의界·청주界·문의界·공주界의 표시를 사방에 표기하여 충청지도에서 어디쯤 위치하는지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기현」지도 하천의 유역에는 금강 본류와 지류가 잘 구별되어 나뭇가지처럼 표현되어 있다. 문의계(文義界)라고 쓰여 있는 곳으로 들어와 서남 방향의 공주계(公州界) 부근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금강의 본류이다. ‘淸州界’로부터 들어와 읍치 동쪽 동진나루에서 동일면(東一面)의 지류와 합류하여 읍치 앞에서 남쪽으로 꺾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것이 미호천이다. ‘全義界’로부터 남쪽으로 흘러 미호천에 합류하는 것이 조천천이다. 하천 규모는 ‘금강미호천조천천’ 순서임에도 지도에는 미호천의 본류가 왜곡되어 잘 반영되어 있지 않다. 현재의 미호천 지류처럼 되어 동진나루가 마치 도보로 통행이 가능한 것으로 그려져 있어 갈수기나 동절기의 상태로 짐작된다. ‘東津’은 단순히 ‘동쪽나루’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구간의 하천 명칭인 ‘동진강’으로도 사용되었다. 지도상의 위치가 실제와 같게 표시되어 ‘東津은 읍치 동쪽 5리에 있다’는 기록에 충실해 보인다.

금강 본류가 문의현 쪽으로 유역이 넓은 듯이 보이게 그린 것은 아마도 부강 지역까지의 수운교통이 발달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산천조의 오봉산은 규모가 큰 운주산이 이름만 간단하게 표현된 것과 다르게 읍치에 이르는 주봉 역할을 감안하여 봉우리 상단에 별도로 표기하였다. 대박산·봉암리에 이르는 맥도 다소 과장되어 보이고, 현재 침산 아래의 조치원 지역을 전당(錢塘)이라 표기하여 어느 곳의 저수지인지가 다소 생소하다.

1872년의 「연기현」지도나 『여지도서』 등에 보이는 관아 배치와 담장을 두른 향교 모습과는 다르게 간소화해서 향교와 나란히 간략하게 표기하여 오히려 이채롭다.

『해동지도』의 「전의현」 지도에 나타난 관아 규모와 비교해 봐도 단출하게 표현되어 실제의 현 규모가 바뀐 양상이다. 향교와 아사(衙舍)[관아 건물]는 오봉산 주맥의 명당풍수에 자리 잡았음을 강조하였으나 산맥을 연달아 기록하여 동진평야의 광대함은 느낄 수 없으며, 저지대가 산악지형으로 왜곡된 것에서 풍수적 의도가 반영된 듯하다.

이처럼 『해동지도』의 「연기현」은 18세기 중엽의 연기현을 묘사함에 지도집을 위하여 새롭게 그려진 것이 아니라 이전에 비변사에서 제작한 지도를 참고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충청도·평안도·함경도 군현지도에는 비변사 지도를 참조하여 수정하였음을 나타내 주는 쪽지가 첨부되어 추측에 개연성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는 18세기 중반에 제작된 비슷한 유형의 군현지도집 가운데 완성도가 가장 높다. 그러나 『해동지도』는 도내 군현지도들의 묘사 방식이 통일성을 보이는 것과 달리 도별로 편차가 나타난다.

전국 군현의 지리적인 내용을 통일된 체제로 묘사하였으며, 당시까지 제작된 모든 회화식 지도의 기법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군현지도집의 발달 과정을 보여 주는 관찬(官撰)[관에서 서적을 펴 내거나 관에서 펴 낸 책] 군현지도집으로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