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502
한자 淸州郡邑誌
영어공식명칭 Cheongjuguneupji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해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99년연표보기 - 『청주군읍지』 간행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성격 전적
저자 청주군
권책 1책
규격 36.3×26.6㎝

[정의]

1899년 편찬된 충청도 청주군의 읍지.

[개설]

1책의 채색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으로 표지에 ‘충청북도청주군읍지(忠淸北道淸州郡邑誌)’라고 적혀 있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하고 있다.

이밖에도 연대 미상의 『청주군읍지』가 한국민족미술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간행 경위]

1899년에 전국 읍지 편찬계획의 일환으로 작성된 청주군 읍지이다.

1871년에 편찬된 『호서읍지(湖西邑誌)』 수록 읍지를 저본(底本)[개정, 번역 등을 하기 전 본디의 서류나 책]으로 작성한 듯하다. 1895년에 편찬된 『읍지』에는 이 내용이 실려 있지 않다.

『호서읍지(湖西邑誌)』에 비하면 성씨(姓氏), 고적(古蹟)[남아 있는 옛 건물이나 시설물 또는 옛 건물이나 시설물이 있던 터], 무과(武科), 음사(蔭仕)[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하여 맡은 벼슬], 생진(生進)[생원(生員)과 진사(進士)를 아우르는 말], 제영(題詠)[제목을 붙여 시를 읊거나 제목을 붙여 읊는 시가], 사례(事例)[어떤 일이 전에 실제로 일어난 예] 조가 누락되어 있다.

[형태/서지]

1책 13장(張)으로 이루어진 읍지이다. 가로 36.3㎝, 세로 26.6㎝ 크기의 채색지도이다.

[구성/내용]

19세기 말엽 청주군은 현재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청주시와 청원군 오창읍·옥산면·오송읍·강내면·남이면·남일면·낭성면·미원면·북이면·내수읍, 괴산군 청천면, 천안시 수신면,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일부, 대전광역시 동구의 동북쪽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읍치는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와 북문로 일원에 있었다.

건치연혁(建置沿革)[지역의 내력], 사계(四界), 진관(鎭管)[조선시대의 지방 군사 조직인 주진(主鎭), 거진(巨鎭), 제진(諸鎭) 체제를 이르는 말], 관원(官員), 풍속(風俗), 형승(形勝)[뛰어난 지세나 풍경], 방리(坊里)[여러 집이 모여 사는 마을], 호구(戶口)[호적상 집의 수효와 식구 수], 산천(山川), 단묘(壇廟)[제단과 사당], 제언(堤堰)[물의 흐름을 막은 둑과 물길을 벗어나서 흐르지 않도록 쌓은 제방], 창해(倉廨)[창고와 관아 건물], 장시(場市)[조선 시대에 보통 5일마다 열린 사설 시장], 도서(島嶼), 물산(物産), 불우(佛宇)[부처를 모신 집], 도로(道路), 성지(城池)[성과 성 주위에 파 놓은 못], 누정(樓亭), 교원(校院)[향교와 서원], 역원(驛院), 한전(旱田)[물을 대지 않거나 필요한 때만 물을 대어서 야채나 곡류를 심어 농사를 짓는 땅], 수전(水田)[물을 쉽게 댈 수 있는 무논], 정문(旌門)[충신, 효자, 열녀를 표창하기 위하여 해당 집 앞에 세운 붉은 문], 비갈(碑碣)[사적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쇠붙이나 돌에 글자를 새겨 세우는 비와 갈을 아우르는 말], 인물(人物), 군액(軍額)[군대에서 쓸 곡식의 양], 진공(進貢)[공물], 환곡(還穀)[조선 시대에 사창(社倉)에 저장하였다가 백성들에게 봄에 꾸어 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거두던 곡식], 전세(田稅)[논밭에 부과되는 조세], 대동(大同)[여러 가지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제], 봉름(俸廩)[조선 시대에 벼슬아치에게 봉급으로 주던 쌀], 총묘(塚墓)[무덤] 순이다.

특기할 사항은 『호서읍지』에 비하여 성씨·고적·무과·음사·생진·제영·사례 조가 누락되었으나 역사가 오래된 고장인 만큼 많은 인물이 소개되고, 특히 비갈조에는 한명회(韓明澮)의 비(碑)를 비롯하여 수십 개의 비가 기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1997년 충북향토사연구협의회에서 영인 발간한 『충청북도각군읍지(忠淸北道各郡邑誌)』는 통감부(統監府) 체신관서(遞信官署)의 양면 괘지에 필사하여 체신국도서관(遞信局 圖書館)에서 보관하여 왔다.

어떤 군은 해서(楷書)[또박또박 정자로 쓰는 한자 서체의 하나], 어떤 군은 행초서체(行草)[행서와 초서를 섞어서 쓴 한자 서체]로 작성하여 전체적으로 조잡하고 형식적인 면이 느껴진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