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745
한자 世宗特別自治市廳
영어공식명칭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Hall
이칭/별칭 세종시청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30[보람동 626-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12년 07월 01일연표보기 - 세종특별자치시청 설립
최초 설립지 세종특별자치시청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 123
현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청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 626-5 지도보기
전화 044-120
홈페이지 https://www.sejong.go.kr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관할 지방 자치 행정 기관.

[설립 목적]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제1조(목적)와 제6조(설치 등)에 의거하여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청이 설립되었다.

[변천]

1. 관할 구역

1895년(고종 32) 전국 지방관제를 개정함에 따라 각각 군이라 칭하고 군수를 두게 되었다.

1909년 군면 폐합에 따라 전의군 7개 면 전부, 공주군 28개 리와 양야리면 36개 리 및 반포면 20개 리, 천안군 소동면 5개 리, 회덕군 구즉면의 신달전 및 신동리 일부, 충청북도 청원군 서강외 일하면의 4개 리를 병합하여 동면·서면·남면·북면·금남면·전의면·전동면의 7개 면을 두게 되었다.

1911년 군청을 구읍지인 연기리로부터 조치원으로 이전하게 되고 1931년 4월 면제 개정에 따라 조치원읍을 신설하여 1읍 6면 101동리를 관할하게 된다.

1940년 7월 서면의 신동·내창·번암·동리의 4개 동리를 조치원읍으로 편입시키고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공주군 반포면의 도암·성덕·영곡 3개 리를 금남면, 장기면의 나성·송원 2개 리를 남면에 편입하여 1읍 6면 106동리로 구성하게 된다.

1986년 10월 3일 「지방자치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연기군 읍·면 출장소가 설치되고, 10월 30일 전의면소정리·대곡리·운당리를 전의면 소정출장소 신설과 동시에 관할구역으로 편입하였다.

1988년 5월 1일 조치원읍의 19개 동을 리로 명칭 변경하여 191개 행정리로 조정하였고, 행정능률과 주민편의를 위하여 자연 촌락을 기준으로 바꾸게 되었다.

1990년 7월 20일 197개 행정리로 개편하였으며, 2005년 5월 18일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 지역 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공포되어 현재 1읍 9면 14동(법정동)으로 조정되었다. 동쪽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쪽은 충청남도 공주시, 남쪽은 대전광역시, 북쪽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접하고 있다. 2012년 6월 30일 충청남도 연기군의 1읍 7면이 폐지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관할 면적이 465㎢에 이르며, 충청권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동으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로는 충청남도 공주시, 남으로는 대전광역시, 북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시와 경계를 이루며 1읍 9면 9동으로 되어 있다.

1읍은 조치원읍(원리, 상리, 평리, 교리, 정리, 명리, 남리, 침산리, 신흥리, 죽림리, 번암리, 신안리, 봉산리, 서창리), 9면은 연기면(누리리, 눌왕리, 보통리, 산울리, 세종리, 수산리, 연기리, 한별리, 해밀리), 연동면(내판리, 문주리, 용호리, 다솜리, 합강리, 명학리, 응암리, 노송리, 예양리, 송용리), 부강면(갈산리, 금호리, 노호리, 등곡리, 문곡리, 부강리, 산수리, 행산리), 금남면(용포리, 발산리, 감성리, 두만리, 용담리, 축산리, 금천리, 영치리, 남곡리, 황용리, 영대리, 달전리, 박산리, 대박리, 부용리, 집현리, 장재리, 호탄리, 신촌리, 도암리, 성덕리, 영곡리, 도남리, 국곡리, 봉암리, 성강리, 원봉리), 장군면(금암리, 대교리, 도계리, 봉안리, 산학리, 송문리, 송정리, 송학리, 용암리, 용현리, 은용리, 태산리, 평기리, 하봉리), 연서면(고복리, 국촌리, 기룡리, 봉암리, 부동리, 성제리, 신대리, 쌍류리, 쌍전리, 와촌리, 용암리, 월하리, 청라리), 전의면(관정리, 금사리, 노곡리, 다방리, 달전리, 동교리, 서정리, 신방리, 신정리, 신흥리, 양곡리, 영당리, 원성리, 유천리, 읍내리), 전동면(노장리, 봉대리, 청송리, 석곡리, 보덕리, 송곡리, 송정리, 청람리, 미곡리, 송성리, 심중리), 소정면(소정리, 운당리, 대곡리, 고등리)으로 구성되었다. 9동은 한솔동(종전의 연기군 남면 나성리와 송원리 일부), 도담동(종전의 연기군 남면 고정리·종촌리·방축리·갈운리·진의리·송담리와 나성리 일부, 공주시 장기면 당암리와 제천리 일부), 아름동(종전의 연기군 남면 고정리와 갈운리 일부), 종촌동(종전의 연기군 남면 고정리와 종촌리 일부, 공주시 장기면 제천리 일부), 고운동(종전의 연기군 남면 고정리 일부, 공주시 장기면 제천리 일부), 보람동(종전의 연기군 금남면 신촌리, 호탄리, 장재리대평리 일부), 새롬동(종전의 연기군 남면 송담리·나성리송원리 일부, 공주시 장기면 제천리와 당암리 일부), 대평동(종전의 연기군 금남면 용포리·대평리신촌리 일부), 소담동(종전의 연기군 금남면 황용리·석교리·봉기리·석삼리·호탄리·장재리반곡리 일부)이 있다.

2. 역대 시장

역대 시장은 충청남도 연기군수의 경우 초대 정낙훈(鄭樂勳)[1945년 9월 2일~1948년 8월 15일], 제2대 김지환(金之煥)[1948년 8월 15일~1950년 11월 1일], 제3대 임영재(任英宰)[1950년 11월 2일~1954년 9월 5일], 제4대 정범호(鄭範好)[1954년 9월 26일~1955년 4월 20일], 제5대 오익순(吳益淳)[1955년 4월 21일~1955년 6월 30일], 제6대 김진석(金振錫)[1955년 7월 1일~1959년 1월 23일], 제7대 이종호(李鍾鎬)[1959년 1월 24일~1960년 5월 12일], 제8대 이승규(李承圭)[1960년 5월 13일~1960년 11월 23일], 제9대 이선규(李善圭)[1960년 11월 24일~1961년 6월 25일], 제10대 한상욱(韓相彧)[1961년 6월 26일~1963년 3월 12일], 제11대 최석근(崔石根)[1963년 3월 13일~1964년 10월 26일], 제12대 송희섭(宋喜燮)[1964년 10월 27일~1966년 2월 18일], 제13대 송우빈(宋佑彬)[1966년 2월 19일~1968년 7월 28일], 제14대 설일진(薛一鎭)[1968년 7월 29일~1970년 3월 3일], 제15대 류웅렬(柳雄烈)[1970년 3월 4일~1971년 8월 23일], 제16대 김영석(金榮錫)[1971년 8월 24일~1973년 5월 7일], 제17대 김홍식(金泓植)[1973년 5월 8일~1975년 9월 2일], 제18대 조천식(趙天植)[1975년 9월 3일~1976년 3월 18일], 제19대 양후석(梁厚錫)[1976년 3월 19일~1979년 7월 4일], 제20대 박진수(朴鎭洙)[1979년 7월 5일~1980년 8월 17일], 제21대 홍남식(洪南植)[1980년 8월 18일~1981년 7월 19일], 제22대 정하용(鄭河用)[1981년 7월 21일~1982년 9월 18일], 제23대 조광휘(趙光彙)[1982년 9월 19일~1983년 4월 10일], 제24대 이병오(李炳五)[1983년 4월 13일~1985년 3월 10일], 제25대 박천수(朴千洙)[1985년 3월 11일~1987년 4월 13일], 제26대 이종현(李鍾賢)[1987년 4월 14일~1988년 6월 11일], 제27대 강희복(姜熙福)[1988년 6월 12일~1991년 1월 14일], 제28대 한준수(韓峻洙)[1991년 1월 15일~1992년 7월 4일], 제29대 권오창(權五昌)[1992년 7월 5일~1994년 2월 6일], 제30대 서용석(徐龍錫)[1994년 2월 7일~1995년 6월 30일], 민선으로 진행된 제31대 홍순규(洪淳珪)[1995년 7월 1일~1998년 6월 30일], 제32대 홍순규(洪淳珪)[1998년 7월 1일~2002년 6월 30일], 제33대 이기봉(李基鳳)[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 제34대 이기봉(李基鳳)[2006년 7월 1일~2007년 10월 11일], 권한대행 최무락(崔武洛)[2007년 10월 12일~2007년 11월 12일], 권한대행 박영수(朴英洙)[2007년 11월 13일~2007년 12월 20일], 제35대 최준섭(崔俊燮)[2007년 12월 21일~2008년 9월 1일], 권한대행 박영수(朴英洙)[2008년 5월 26일~2008년 6월 9일], 권한대행 남궁주(南宮柱)[2008년 6월 10일~2008년 10월 30일], 제36대 유한식(兪漢植)[2008년 10월 31일~2010년 6월 30일], 제37대 유한식(兪漢植)[2010년 7월 1일~2012년 2월 28일], 권한대행 윤호익(尹鎬益)[2012년 2월 29일~2012년 6월 30일]이다.

세종특별자치시장은 초대 유한식(兪漢植)[2012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 제2대 이춘희(李春熙)[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가 제3대[2018년 7월 1일부터]로 현재 시장을 맡고 있다.

3. 행정조직

연기군청은 1914년 3월 1일 설치되었으며, 2012년 6월 30일까지 조치원읍과 7개 면을 관할하였다. 조직은 군수와 부군수, 2실 10과로 이루어져 있다. 보건소와 농업기술센터 등 직속 기관과 환경사업소를 두었다. 연기군청은 폐지되기 전까지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신흥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2012년 7월 1일 광역자치단체인 세종특별자치시청 출범과 함께 폐지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청은 산하 구청이 없이 1읍 18개 동, 소방서 등 7개의 직속사업소 및 기관, 2명의 부시장과 1실(기획조정실) 6국(시민안전국, 자치분권문화국, 보건복지국, 경제산업국,건설교통국, 환경녹지국)과 대변인실, 운영지원과, 대외협력담당관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시설관리공단 및 세종도시교통공사 등도 포함되어 있다.

2019년 5월 현재 총인구는 33만 1,164명이고, 학생 수는 8만 1,812명이다. 자동차 등록 대수는 15만 4,873대이고, 사업체 수는 1만 3,668개이다. 2018년 6월 30일 현재 공무원 수는 1,811명이다. 일반 공무원 1,415명(78.1%), 소방 공무원 396명(21.9%)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무원 1인당 주민 수는 166명이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세종특별자치시는 시민중심의 자치분권과 살기좋은 품격도시, 지속가능 혁신성장, 상생하는 균형발전의 시정 가치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시민중심 자치분권은 시(市) 및 시장의 권한·역할을 시민들과 나누고 공유하며, 시민들이 스스로 시정에 참여해서 결정하고 직접 실천하는 참여 및 자치가 일상화된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의미한다.

살기좋은 품격도시는 교통, 문화, 복지, 여가생활이 조화를 이루면서 안전하고 살기 좋은 정주 여건을 통하여 시민들이 품격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는 도시를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가능 혁신성장은 마이스(MICE) 산업 등 공공행정 연관 산업, 박물관 단지를 거점으로 하는 문화·예술·지식·정보산업, 스마트시티산업 등 세종시의 특성을 활용한 3대 전략산업을 집중 육성하여 지속 가능한 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생하는 균형발전은 도시와 농촌, 청년세대와 고령세대, 세종시와 주변도시와의 상생협력을 통하여 모두가 골고루 잘사는 균형발전의 가치 실현을 의미한다.

시정 가치 하에 7대 시정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1. 대한민국 행정수도 세종, 2. 시민이 주인되는 주민자치, 3. 모두가 행복한 사회책임 복지, 4. 지속 가능한 스마트 경제, 5. 편리하고 쾌적한 대중교통, 6. 안전하고 풍요로운 도시환경, 7. 함께 잘사는 도농상생의 시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현황]

세종특별자치시청의 전신인 연기군청은 충청남도 연기군의 행정을 총괄한 기초자치단체이다. 연기군청은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신흥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2012년 7월 1일 광역자치단체인 세종특별자치시청 출범과 함께 폐지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청 3-2생활권 보람동[옛 금남면 호탄리]에 있으며, 4만 1,661㎡ 부지 위에 지하 1층~지상 6층 건물이며, 건물 면적은 3만 2,807㎡ 규모이다. 이외에 조치원읍의 옛 연기군청사를 제2청사, 남면 월산리의 한국토지주택공사 세종제1본부 사옥을 별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 세종특별자치시청(https://www.sejong.go.kr)
  • 세종통계(https://www.sejong.go.kr/stat.do)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