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243
한자 -祭
영어공식명칭 The Festival of The Local God
이칭/별칭 서낭고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정의]

세종특별자치시의 개인이나 마을공동체가 서낭당의 서낭신을 대상으로 소망을 기원하며 올리는 제의.

[개설]

서낭 또는 서낭당은 마을로 연계된 길목이나 고개에 많았다. 세종특별자치시 서북부 지역은 산악이 발달하여 유난히 고갯길이 많아 고갯길을 지나다 보면 쉽게 서낭을 만나게 된다. 사람들은 서낭을 지나면서 돌을 주워 던지거나 침을 세 번 뱉으며 지나친다. 이렇게 하여야 “탈이 없고 운수가 좋다”는 속신(俗信)의 표현이다.

사람들이 지나가면서 돌을 던지다 보니 서낭은 자연스럽게 커다란 돌무지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돌무지의 중앙이나 후면에는 산벗나무, 아카시아나무, 참나무와 같은 수목이 있다. 나무는 서낭을 위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서낭목 또는 신목으로 불리며 신앙의 대상이 된다.

[서낭제의 유형]

세종특별자치시 일원에서 이루어지던 서낭 의례는 기원 주체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는 개인에 의하여 행하는 사례이다. 개인이 주체가 되어 행하는 경우는 가족 가운데 삼재(三災)에 들거나 횡수(橫數)가 있거나 가정의 평안과 가족원의 건강 기원할 목적으로 서낭신에게 치성을 올린다. 백설기 시루, 북어, 청수 등을 서낭 앞에 차려 놓고 가정의 주부가 비손[두 손을 비비면서 기원하는 간단한 제의]하는 형태로 고사를 올린다.

두 번째는 개인이 무당을 동행하여 서낭제를 치르는 예이다. 가족 가운데 병자가 있거나 우환이 심할 때 이루어진다. 양푼에 쌀을 담고 초를 꽂아 불을 밝힌 뒤 무당이 병굿과 관련된 무경을 독송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셋째 유형은 마을 제의 형식의 서낭제이다. 됭이고개 서낭제, 문재 서낭제가 그 예이다. 서낭제에서는 마을평안, 주민건강, 풍년기원을 축원한다. 공동체 의례인 까닭에 의례를 주도하는 제관이 있으며 제물 또한 넉넉하게 차려 놓는다.

[현황]

1970년대 이전만 하더라도 고갯길, 산마루, 마을 입구에는 으레 한두 개의 서낭이 있었다. 그런데 1970년대로 넘어오면서 미신타파를 부르짖고 도로 확장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마을 주변의 서낭이 하나둘씩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산으로 이어진 소로에 인적이 끊기면서 서낭은 음산하고 흉물스러운 존재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면서 서낭에 올라가 비손[두 손을 비비면서 기원하는 가장 간단한 무속 의례]을 하거나 고사를 지내는 사례 또한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오늘날까지 세종특별자치시 일대에 전승되고 있는 서낭 치성이나 서낭제의 사례가 극소하다. 송곡리 모시골 됭이고개 서낭제, 송문리 문재 서낭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서낭제가 중단되었다. 개인 치성 형태의 서낭고사가 이루어지는 송성리 수박고개 서낭잿말고개 서낭의 사례도 있으나 희소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