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에 있는 국책연구단지.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을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단지로 이전함으로써 연구기관 이전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국유재산 가치를 제고하며, 상호 기여 및 연계가 가능하도록 계획하여 연구 및 구성 효과 등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4년 12월 30일 나라키움 세종국책연구단지 준공식을 시행하고, 2005년 6월 임차 사옥을 사용...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소질을 계발하여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는 학생, 열정과 도전으로 배움의 기쁨을 아는 학생, 세계인으로서 품격이 있는 학생,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예의를 아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은 ‘꿈이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교보통 인가받았으며 2014년 9월 1일 나래초등학...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소질을 계발하여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는 학생, 열정과 도전으로 배움의 기쁨을 아는 학생, 세계인으로서 품격이 있는 학생,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예의를 아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은 ‘꿈이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교보통 인가받았으며 2014년 9월 1일 나래초등학...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소질을 계발하여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는 학생, 열정과 도전으로 배움의 기쁨을 아는 학생, 세계인으로서 품격이 있는 학생,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예의를 아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은 ‘꿈이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교보통 인가받았으며 2014년 9월 1일 나래초등학...
-
세종 지역의 금강이나 미호천 등에서 배가 건너다니던 곳. 내륙수로 교통 기능을 담당하였던 나루와 나루터는 비교적 수심이 얕고 물의 흐름이 빠르지 않은 연안에 있었다. 나룻배는 이웃 마을을 연결해주는 중요 교통수단이었다. 금강과 미호천 연안의 나루는 뱃길과 육로[조선시대의 역로]교통이 교차하는 요충지였다. 세종특별자치시 남쪽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유입하는 금강은 조선시대...
-
세종 지역의 금강이나 미호천 등에서 배가 건너다니던 곳. 내륙수로 교통 기능을 담당하였던 나루와 나루터는 비교적 수심이 얕고 물의 흐름이 빠르지 않은 연안에 있었다. 나룻배는 이웃 마을을 연결해주는 중요 교통수단이었다. 금강과 미호천 연안의 나루는 뱃길과 육로[조선시대의 역로]교통이 교차하는 요충지였다. 세종특별자치시 남쪽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유입하는 금강은 조선시대...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조성된 역사테마 도시 근린 공원. 나성동독락정역사공원은 건설 당시에 숲 보존 및 기존문화재 원형보존[토성임씨가묘·독락정 등], 사라진 마을에 대한 향유(享有)[누리어 가지다] 공간 조성, 이전 문화재 배치, 옛 토성에 대한 상징 공간 조성 등을 목표로 하였다. 역사테마공원인 독락정 공원의 중심이 되는 독락정은 1437년(세종 19) 고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지형(地形)이 나발과 같다 하여 나발터 또는 청라(靑羅)로 불렀다. 예전에 나주나씨가 청자를 굽던 곳으로, 청(靑)자와 나(羅)자를 합하여 청라리(靑羅里)가 되었다. 청라리에 있는 자연마을로는 나발터, 양진터, 헌터 등이 있다. 청라리의 서쪽에 있는 청라1리의 나벌터[羅發址]는 나주나씨가 거주하다가 떠난 마을 또는 마...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인근 금강에 접해 있는 낮은 구릉에 축조된 삼국시대 산성. 산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평지와 가까운 나지막한 구릉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산성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그냥 토성으로 부르기도 한다. 주민들의 전언에 의하면 백제에 대항하기 위하여 신라에서 토성을 쌓아 ‘신라 성’이라는 뜻에서 나성(羅城)이라 불리었다고 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있는 조선 전기 정자. 세종 지역 부안임씨 입향조인 임난수의 둘째 아들 임목이 1437년(세종 19) 아버지 임난수의 유허(遺墟)[역사 기록에만 있고 유물이나 유적 없이 오랜 세월 동안 남아 있는 옛 터]가 어린 금강 변에 건립한 정자이다. 임목은 1433년 양양도호부사(壤陽道護府使) 등 여러 관직을 거쳐 나성리로 낙향하여 부...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조성된 역사테마 도시 근린 공원. 나성동독락정역사공원은 건설 당시에 숲 보존 및 기존문화재 원형보존[토성임씨가묘·독락정 등], 사라진 마을에 대한 향유(享有)[누리어 가지다] 공간 조성, 이전 문화재 배치, 옛 토성에 대한 상징 공간 조성 등을 목표로 하였다. 역사테마공원인 독락정 공원의 중심이 되는 독락정은 1437년(세종 19) 고려...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있는 원삼국시대~백제시대 유적. 나성리 유적은 금강의 북쪽에 형성된 충적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앞서 확인된 유적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시행에 앞서 발굴된 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원삼국시대 널무덤[토광묘(土壙墓)], 삼국시대 백제...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인근 금강에 접해 있는 낮은 구릉에 축조된 삼국시대 산성. 산성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평지와 가까운 나지막한 구릉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산성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어 그냥 토성으로 부르기도 한다. 주민들의 전언에 의하면 백제에 대항하기 위하여 신라에서 토성을 쌓아 ‘신라 성’이라는 뜻에서 나성(羅城)이라 불리었다고 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
조선 전기 세종 지역의 여양진씨 세거에 영향을 미친 문신. 진식(陳寔)[1519~1568]의 자는 낙이(樂而)로 평소 성격이 강직하고 기개가 높았던 인물이다. 권신 김안로(金安老)가 여양진씨 문중의 진우(陳宇)와 진식 형제에게 이언적 등을 축출하는 옥사 사건에 대하여 협조를 요청하였으나 협조를 거부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진우는 궁정 뜰에서 김안로 일파에게 참살(斬殺...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남곡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하는 법정리로 남곡[남골], 무중골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물이 남쪽 골짜기에서 흘러 오므로 남골, 또는 남곡(南谷)이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공주군(公州郡) 명탄면(鳴灘面)의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남곡리와 수락리가 합쳐져서 연기군 금남면에 편입되었다. 2012...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다정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다 함께 성장하고 정다운 마음을 가꾸는 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발상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융합적 다정인, 진로를 설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다정인, 교육공동체와 함께 성장하는 다정인, 인성과 지성을 고루 갖춘 교양 있는 다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남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있는 법정리로, 남1리와 파크리안아파트 구역인 남2리로 구성되어 있다. 남리(南里)라는 지명은 조치원의 남단이란 뜻으로 명명되었다. 남리는 지대가 낮은 지역이기 때문에 남리 배수장 인근에 형성된 광활한 연못이 있었으나 1980년대 토지구획 정리 시 매립하여 2019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에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농민들을 위한 협동조합. 농업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실익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2년 6월 14일 설립되어 8월 31일 업무를 개시하였다. 2011년 10월 28일 정관 변경으로 남면농업조합에서 세종중앙농업협동조합으로 변경되었다. 2011년 12월 19일 처음으로 첫마을지점이 설치되어 12월 28일...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학자. 오유립(吳裕立)[1575~1658]의 본관(本貫)은 보성(寶城)이다. 초명은 효립(孝立), 자는 백원(百源), 호는 남산처사(南山處士)와 월송정(月松亭)이다. 15세기 부강면에 입향한 보성오씨(寶城吳氏)의 후손이자 부강면 보성오씨 월송정 진사공파의 파조이다. 오유립은 어려서부터 학식과 문장이 탁월하였다. 1613년(광해군 5)에 벼슬...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남성골 주민들이 정월 열나흘과 칠석날 용신에게 지내는 고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남성골 샘고사는 정월 열나흘과 칠석날 저녁에 지낸다. 대부분의 주민이 샘고사에 참여하고 이장의 주도하에 고사가 시행된다. 남성골 마을에는 샘고사 비용의 기반이 되는 ‘샘제계’가 조직되어 있다. 고사 당일 오전에 이장이 징을 치면 동네...
-
홍은열을 시조로 하고 홍순손, 홍익청, 홍인성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에 남양홍씨는 남양군파와 문정공파가 거주하고 있다. 15세기 중엽 남양군파의 홍순손이 어린 나이에 홀어머니와 함께 외가인 연기현으로 입향하였고, 병자호란 때 홍익청이 처향인 전의현[전의면 서정리]으로 입향하였으며, 금남면 성덕리의 남양홍씨 문정공파는 홍...
-
홍은열을 시조로 하고 홍순손, 홍익청, 홍인성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에 남양홍씨는 남양군파와 문정공파가 거주하고 있다. 15세기 중엽 남양군파의 홍순손이 어린 나이에 홀어머니와 함께 외가인 연기현으로 입향하였고, 병자호란 때 홍익청이 처향인 전의현[전의면 서정리]으로 입향하였으며, 금남면 성덕리의 남양홍씨 문정공파는 홍...
-
남양홍씨 연기파의 재실 우덕재에 전하여 오는,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종중의 족보와 문서.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리에 소재한 남양홍씨 연기파(燕岐派)의 재실 우덕재(友德齋)에 전하여 오는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사회사 자료로, 고문서 8점 및 남양홍씨세보(南陽洪氏世譜) 1질 등 9종 22점이다. 2015년 6월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다...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 남이웅(南以雄)[1575~1648]은 병자호란을 전후한 시기에 정치권의 핵심에 있던 인물이다. 남이웅은 본관(本貫)이 의령(宜寧)이고, 자는 적만(敵萬), 호는 시북(市北)이다. 할아버지는 증좌찬성 남응운(南應雲)이다. 아버지는 군자주부(軍資主簿)를 지내고 참판에 추증된 남위(南瑋)이고, 어머니는 청주한씨이다....
-
조선 후기 문인 남이웅의 영정. 남이웅(南以雄)[1575~1648] 초상은 대본초상화 1점, 대본초상화 노년상 1점, 초본 2점이 있다. 총 4점의 영정 중 대본초상화 1점은 남이웅이 중국 명나라 수도 북경에 사신으로 갔을 때 머무른 옥하관의 진방정(秦邦禎)이라는 중국인 화가가 그렸다. 녹색 단령(團領)[조선 말기까지 관원이 집무복으로 착용한 상복]에 오사모(烏紗帽)[고...
-
조선 후기 문인 남이웅의 영정. 남이웅(南以雄)[1575~1648] 초상은 대본초상화 1점, 대본초상화 노년상 1점, 초본 2점이 있다. 총 4점의 영정 중 대본초상화 1점은 남이웅이 중국 명나라 수도 북경에 사신으로 갔을 때 머무른 옥하관의 진방정(秦邦禎)이라는 중국인 화가가 그렸다. 녹색 단령(團領)[조선 말기까지 관원이 집무복으로 착용한 상복]에 오사모(烏紗帽)[고...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남이웅의 부인이자 병자호란 당시 한글 일기인 『남평조씨 병자일기』를 쓴 인물. 남평조씨(南平曺氏) 조애중(曺愛重)[1574~1645]은 인조 때 좌의정을 지낸 남이웅(南以雄)[1575~1648]의 부인으로, 병자호란이 벌어지자 피난을 떠나며 당시 겪은 일을 상세하게 한글 일기로 남겼다. 남평조씨 조애중의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조...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람리 주민들이 국사봉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람리 마을 주민들은 마을평안과 농사풍년을 기원하며 매년 음력 10월 산신제를 지내었다. 청람리 마을 주민들은 산신제를 엄중하게 생각하였고, 제의 또한 소를 잡아 지낼 정도로 정성을 다하였다. 청람리 마을에서는 예부터 산신제를 지내 왔다. 일제강...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주변에 있던 나무로 된 넓은 다리에서 유래하는 명칭이다. 다리 이름은 너더리로, 마을 안쪽에 위치하여 안너더리 또는판교(板橋)·내판(內板)으로 불리었다. 내판리에는 너더리, 역전, 새말, 연못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너더리는 널다리[板橋]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마을 앞에 널로 만든 다리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역전...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주변에 있던 나무로 된 넓은 다리에서 유래하는 명칭이다. 다리 이름은 너더리로, 마을 안쪽에 위치하여 안너더리 또는판교(板橋)·내판(內板)으로 불리었다. 내판리에는 너더리, 역전, 새말, 연못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너더리는 널다리[板橋]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마을 앞에 널로 만든 다리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역전...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내판역의 역명은 내판리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내판역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의 인적·물적 자원 수탈(收奪)[강제로 빼앗음]정책을 용이하게 추진하고, 일본이 우리나라를 대륙 진출의 발판으로 이용하기 위해 경부선철도 개통 후에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내판역은 여객과 화물 운송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동시에 일제의...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내판역의 역명은 내판리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내판역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의 인적·물적 자원 수탈(收奪)[강제로 빼앗음]정책을 용이하게 추진하고, 일본이 우리나라를 대륙 진출의 발판으로 이용하기 위해 경부선철도 개통 후에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내판역은 여객과 화물 운송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동시에 일제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 일대에 있는 산. 노고봉(老姑峰)[350.5m]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산이다. 노고산성이 있으며, 산성에 얽힌 전설이 있다. 전설에 의하면 오랜 옛날에 노고성에는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시어머니와 며느리 모두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초능력을 가진 힘센 장사 가족이 살고 있었으나 산신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모두 힘을 빼...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 노고봉 정상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노고봉산성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와 문곡리 경계의 노고봉(老姑峰)[305.5m] 정상에 축성된 테뫼식 산성이다. 애기바위산성은 노고봉산성에서 남서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지점의 정상부에 높은 암반이 보이는데 정상부를 포함하여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부를 따라 석축성벽이 남아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노곡리는 상노곡, 중노곡, 하노곡을 병합한 명칭이다. 운주산 중턱의 할미바위가 내려다 보고 있는 계곡이라 하여 노곡(老谷)이 되었다. 자연마을로는 거리실·가운데거리실·아랫거리실·위거리실마을 등이 있다. 전의면에는 6실이라고 하는 골짜기를 일컫는 말이 있다. 거리실은 신정리의 갈우물[가나물] 위쪽 골짜기로 갈실 또는 가리실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노곡리 주민들이 산신에게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노곡리 산신제는 주민들이 운주산 산신에게 마을안녕, 주민발복, 농사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의이다. 주민들은 음력 10월 중 길일을 택하여 산신제를 지내었다. 노곡리 마을 주민들은 산신제의 제관 선정 방식이나 제물 제조 방식, 금기 수행 등 전통을 지키려...
-
세종특별자치시의 농촌 지역에서 농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노래. 노동요는 전통사회에서 농사를 비롯한 노동 현장의 능률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전통적으로 농촌 지역이었으며, 현재도 농사나 과수원을 경영하는 마을이 많다. 1970년대부터 금남면·남면·장군면·부강면 지역에서 꾸준히 노동요가 채록되어 왔다. 「집터 다지는 소리」, 「베틀가」 같은 노동요...
-
세종 지역에 서식하는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조류. 노랑부리저어새는 현재 ICUN[국제자연보존연맹] 적색목록(Redlist)의 관심 필요종(Least Concern)으로 등재되어 있다. 문화재청에서 1968년 천연기념물 제205-2호로 지정하였고,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종 Ⅱ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3개 아종[Platalea Leucorodi Leuco...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노송리는 마을 주변에 오래된 소나무가 많이 분포하여 생겨난 지명이다. 조선시대에는 노송(老松)이 많아 놀뫼로 불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노산(老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노송리에는 마근터, 노리미, 강당, 움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마근터마을은 노송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마을 앞에 못을 파고 소나무...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있는 천주교 대전교구 공주지구 조치원성당 소속 공소. 공소는 천주교에서 일반적으로 본당보다 작은 교회 단위를 의미하지만 간혹 공소 신자들의 모임 장소인 강당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연기 지역에서 천주교가 가장 먼저 전래된 곳은 동면 노송리의 노리미 마을이었다. 1866년에 있은 교난[병인박해]에 강의관이라는 사람이 난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향나무. 연기 봉산동 향나무는 조선 중종 때 최완이 봉산동 지역에 정착한 뒤 숨지자, 최완의 아들 최중룡(崔重龍)이 서울에서 내려와 시묘살이를 하고 효성을 후손에게 보이기 위하여 심었다고 전하여진다. 향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정원수 등으로 널리 심어져 왔으며 향의 원료나 가구의 원료...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노송리는 마을 주변에 오래된 소나무가 많이 분포하여 생겨난 지명이다. 조선시대에는 노송(老松)이 많아 놀뫼로 불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노산(老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노송리에는 마근터, 노리미, 강당, 움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마근터마을은 노송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마을 앞에 못을 파고 소나무...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에 있는 농공 단지. 국토의 균형 개발과 지방화시대에 부응하는 지역경제 기반 육성 및 지방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산업용지 수요 증대에 대비한 용지 확보 및 체계적인 개발계획 수립을 위하여 개설하였다. 노장농공단지는 세종특별자치시 북부 지역의 농촌경제 활성화를 통한 고용 창출 및 소득 증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1986년부터 1987년까지...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에 속한 법정리. 노장리(蘆長里)는 갈대가 무성하여 갈거리라 불렀다. 임진왜란 때 학자 권주(權柱)가 노장리에 살면서 갈대로 인하여 왜란을 피한 후 마을을 노장(蘆長)이라 불렀다고 한다. 갈대숲 아래위로 마을이 생기면서 위쪽은 상노장 또는 상로정, 아래는 하노장, 가운데는 중노장 또는 중로정이라 불리게 되었다. 노장리는 조선 후기...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 마을 주민들이 산신에게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중노장 산신제와 이목동 산신제는 마을의 안녕, 주민들의 안전, 농사 풍년을 목적으로 시행된 공동체 의례이다. 중노장 산신제는 1980년대에 시작되었다. 1980년대에 마을 상수도 공사를 하면서 마을 뒤편 야산을 파헤쳤다. 그때부터 마을 젊은이들이 연이어 숨졌다. 주민들이...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다솜리 일대에 있는 산. 노적산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다솜리 불암마을 서쪽에 있는 산으로, 독립적인 구릉성 산지이다. 노적산(露積山)[153.6m]은 산의 모양이 마치 노적가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노적산의 지질은 시대 미상의 흑운모편암이 기반암으로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 내에 포획되어 있는 것으로...
-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에서 매년 정월보름날 마을 앞 큰길 삼거리에서 마을 사람들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예부터 길은 많은 사람이 오고가면서 희로애락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길을 떠나는 사람과 길로 들어오는 사람 모두 이용하는 곳이기에 좋은 일이 있을 수 있지만 나쁜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래서 길신에게 대접하여 좋은 일만 있도록 부탁하는 것이 노제(路祭)이...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의병. 배경걸은 임진왜란 때 중봉 조헌의 종사관으로 들어가 청주성 전투에서 많은 적병을 무찔러 공(功)을 세웠다. 배경걸[1536~1634]은 성산배씨 14세손으로, 자는 호이(豪而), 호는 노천(蘆川)이다. 연동면 노송리의 성산배씨는 녹야당공파로 4대조인 직제학 배유(裵裕)[1403~1472]를 파조로 한다. 청산현감을 지낸 배달...
-
조선시대 세종 지역 결성장씨 연기파의 입향조이자 학자. 장훈(張訓)[1568~1609]의 호는 노초(老樵)이며, 통훈대부헌릉직장(通訓大夫獻陵直長)을 지냈다. 결성장씨 연기파의 입향조이다. 장훈이 어떠한 이유로 송용리 일대로 이거(移居)[본래 살던 집에서 다른 집으로 거처를 옮김]하였는지 정확한 사실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장훈이 이거한 후 결성장씨(結城張氏...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노호리는 부강면 남쪽에 있으며 노호1리와 노호2리로 나뉜다. 노호리에는 다음과 같은 마을이 있다. 가루개는 노호1리 지역으로 매포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갈호개’에서 변한 어형으로 보고, 금강 주변에 갈대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명한다. ‘노포(蘆浦)’, ‘노호(蘆湖)’라는 한자 지명을 고려할 때 ‘갈개’라는 고유어...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 가루개마을 주민들이 정월 열나흘에 용신에게 마을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 가루개마을 주민들은 정월 열나흘 저녁에 샘제와 거북바위제를 지낸다. 제의 시원은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나 입증할 만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1리 가루개마을은 보성오씨의 집성촌이다. 보성오...
-
조선 후기 성리학의 6대가 중 한 명으로, 세종 지역에 묘를 쓴 학자. 임성주(任聖周)[1711~1788]의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이다. 본관(本貫)은 풍천(豊川)이다. 18세기 조선의 저명한 유학자로, ‘조선 성리학의 6대가’로 불렸다. 도암(陶菴) 이재(李縡)[1680~1746]의 문하에서 공부하며 학문을 익혔다. 만년인 1782년(정조 6)...
-
조선 후기 성리학의 6대가 중 한 명으로, 세종 지역에 묘를 쓴 학자. 임성주(任聖周)[1711~1788]의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이다. 본관(本貫)은 풍천(豊川)이다. 18세기 조선의 저명한 유학자로, ‘조선 성리학의 6대가’로 불렸다. 도암(陶菴) 이재(李縡)[1680~1746]의 문하에서 공부하며 학문을 익혔다. 만년인 1782년(정조 6)...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노송리는 마을 주변에 오래된 소나무가 많이 분포하여 생겨난 지명이다. 조선시대에는 노송(老松)이 많아 놀뫼로 불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노산(老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노송리에는 마근터, 노리미, 강당, 움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마근터마을은 노송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마을 앞에 못을 파고 소나무...
-
세종특별자치시의 균형 발전과 도농상생을 위하여 조성된 산업 농공단지. 세종시민의 소득 증대와 지역 발전을 위하여 지방 자치 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공업을 지역적으로 적절하게 분배, 농촌의 지역 주민이 농업과 병행하여 공장에도 취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래서 도시 지역과의 경제적 격차를 해소하고, 도농 간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한다. 농공단지는 1983년 말에 제...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한국농어촌공사 산하 지사. 세종·대전·금산·청주 지역의 농어촌정비사업과 농지은행사업을 시행하고 농업기반시설을 종합관리하며 농업인의 영농 규모 적정화를 촉진함으로써 농업생산성 증대 및 농어촌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27년 11월 30일 장남수리조합을 설립하였다. 1956년 11월 23일 장남...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강협(康協)[1674~1750]은 본관이 신천이며 자는 자경(子慶), 호는 농은(農隱)이다. 중시조는 신성부원군(信城府院君) 강지연(康之淵)으로, 강지연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강후돈(康厚敦)으로, 강협은 강후돈의 넷째 아들이다. 강협은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뜻을 잘 따르고 어질고 착하였다. 주위 사람들은 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 주민들이 눌왕산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 주민들은 예로부터 음력 10월 2일 자정에 눌왕산 산신에게 마을평안과 농사풍년을 기원하며 산신제를 지내었다. 주민들은 산신제를 엄숙하게 지내야 한다고 생각하여 수행 과정의 청결과 부정 차단을 중시하였다. 그리하여 제사를 지내기 일주일 전부터 금줄을 쳐서 외부인...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속한 법정리. 누리리는 세상을 예스럽게 이르는 한글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누리리는 꽃재마을로도 불리는데, 누리리 지역의 고유어 전래 명칭 가운데 꽃재마을을 활용한 것이다. 월산리에 자리한 꽃재마을은 산등성이가 들판 쪽으로 튀어나온 고개 밑에 있다는 의미이다. 누리리는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연기현, 고려...
-
세종 지역에서 주변 경치를 감상할 수 있도록 지어진 누각과 정자. 누정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아우르는 말이다. 누각과 정자는 전통사회 사족(士族)[문벌이 좋은 집안]들의 지적 활동 장소이자 이들의 문화가 구체적으로 발현된 장소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누각과 정자는 조선 후기 지방 사족들의 교류와 문화·지성 공간으로 건립되고 활용된 장소로, 수려한 경관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속한 법정리. 눌왕리는 군자(君子)라는 옛말에서 유래하는 마을 명칭이다. 군자림(君子林), 눌왕산(訥旺山) 아래에 위치하여 느랑이라고도 부른다. 눌왕리에는 눌왕마을·청룡마을·왕바위마을·원댓골마을·문암마을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눌왕마을은 눌왕산 아래에 자리하여 느랑이라고 불렀던 마을이다. 청룡마을은 느랑이 서쪽에 있는 마을로 땅의 형세...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 일대에 있는 산. 눌왕산(訥旺山)[157.9m]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에 있으며, 조치원산업단지와 세종골프필드 사이에 3개의 봉우리가 동서로 뻗어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는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에 편입되었으나 2012년 7월 1일 이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에 속해 있는 산이다. 눌왕리 동쪽의 조치원에서 대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 주민들이 눌왕산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 주민들은 예로부터 음력 10월 2일 자정에 눌왕산 산신에게 마을평안과 농사풍년을 기원하며 산신제를 지내었다. 주민들은 산신제를 엄숙하게 지내야 한다고 생각하여 수행 과정의 청결과 부정 차단을 중시하였다. 그리하여 제사를 지내기 일주일 전부터 금줄을 쳐서 외부인...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속한 법정리. 눌왕리는 군자(君子)라는 옛말에서 유래하는 마을 명칭이다. 군자림(君子林), 눌왕산(訥旺山) 아래에 위치하여 느랑이라고도 부른다. 눌왕리에는 눌왕마을·청룡마을·왕바위마을·원댓골마을·문암마을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눌왕마을은 눌왕산 아래에 자리하여 느랑이라고 불렀던 마을이다. 청룡마을은 느랑이 서쪽에 있는 마을로 땅의 형세...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정자목으로 널리 존재하는 느릅나뭇과의 낙엽활엽교목. 느티나무는 우리나라·일본·대만·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느릅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며 학명은 Zelkova serrata (Thunb.) Makino이다. 느티나무는 전통적으로 조경수 등으로 널리 식재되었으며, 아황산가스 등 대기 오염 물질에 약하다. 느티나무는 자생종으로 전통사회에...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늘봄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인(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학생), 창의인(기초기본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학생), 인성인(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지닌 학생), 세계인(문화적 소양을 갖춘 품격있는 학생)’이다. 교훈은 ‘슬기롭게, 바르게, 늘봄처럼’이다. 교육 비전은 ‘꿈·도전·어울림’의 행복과 늘봄교육을...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늘봄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인(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학생), 창의인(기초기본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학생), 인성인(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지닌 학생), 세계인(문화적 소양을 갖춘 품격있는 학생)’이다. 교훈은 ‘슬기롭게, 바르게, 늘봄처럼’이다. 교육 비전은 ‘꿈·도전·어울림’의 행복과 늘봄교육을...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늘봄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인(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학생), 창의인(기초기본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학생), 인성인(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바른 인성을 지닌 학생), 세계인(문화적 소양을 갖춘 품격있는 학생)’이다. 교훈은 ‘슬기롭게, 바르게, 늘봄처럼’이다. 교육 비전은 ‘꿈·도전·어울림’의 행복과 늘봄교육을...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와 부강리를 잇는 노고산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노고성」은 산신의 지시로 내기를 하게 된 사이 나쁜 시어머니와 며느리 중 시어머니가 쌓은 노고성이라는 성터에 전해지는 성곽 전설이다. 2015년 부강면지발간위원회에서 발간한 『부강면지』에 수록되어 있다. 부강 지역에는 장사 2대가 있었는데, 산신의 노여움으로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