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027
한자 民俗
영어공식명칭 Folk Culture
이칭/별칭 민풍,풍속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정의]

세종 지역에 예부터 사람들 생활 속에서 비롯된 신앙, 관혼상제, 기예 및 놀이, 세시풍속, 의식주, 공예, 구비전승, 음악 등 전승 문화 전반을 이르는 말.

[개설]

민속은 예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대중들이 살면서 집적한 문화 전반을 뜻한다. 의식주를 비롯하여 관혼상제, 민간신앙, 속신, 세시풍속, 생산의례, 민속놀이, 구비전승 등 인간 제반 삶과 관련되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민속 중 현재 전승되고 있는 민간신앙과 세시놀이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민간신앙]

세종특별자치시에 전승되고 있는 민간신앙은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공동체 신앙과 개인이 중심이 된 가정신앙을 꼽을 수 있다.

공동체 신앙은 산신제, 거리제[노제], 기고사, 서낭제, 목신제, 샘제, 기우제 등이 있다.

기우제는 가물 때만 지내는 임시의례이지만 다른 제의들은 매년 일정한 시기에 시행되는 정기적인 의례이다.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가장 많은 사례를 보이는 공동체 의례는 산신제이다. 노곡리, 달전리, 눌왕리, 신정리 가나물, 미곡리 무수골, 석곡리, 석교리, 용호리, 운당리 운강, 청람리 남포, 청송리 대재, 문곡리 달미 등의 마을에서 산신제를 지내었거나 지내고 있다. 산신은 마을을 수호하고 농사의 풍년을 살펴주는 마을의 주신으로 인식되고 있다.

샘제의 사례 또한 적지 않다. 갈산리 불무골, 금호리 황성골, 보통리, 부강리 남성골, 용암리, 태산리 사우말, 행산리, 국촌리 후덕골, 송문리 송정, 금호리 검시, 노호리 가루개, 대교리 밤실, 운당리 당너머 등의 마을에서 샘제를 지내고 있다. 샘제는 마을의 공동샘에 깃든 용신을 대상으로 한 의례이다. 보통 마을의 중심 제의인 산신제나 거리제 등에 딸려서 시행되는 것이 관행이다. 주민들은 본제를 지내기에 앞서 마을 안에 있는 샘에서 먼저 제의를 지낸다. 오늘날에도 본제가 있는 경우에는 관행이 그대로 유지된다. 그런데 일부 마을에서는 샘제 자체를 마을의 중심 제의로 삼고 있는 등 샘과 관련된 특별한 사연이나 구전이 확인된다.

거리제는 수산리 둔덕이, 용현리, 은용리, 덕용동 등에서 발견된다. 거리신은 마을 입구를 지켜 주는 신으로 알려져 있다. 거리신은 마을 길목을 따라 들어오는 질병귀신이나 잡신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산신이 산 정상에서 마을의 안위나 풍요를 살펴주는 신이라면 거리신은 마을 전면에서 잡귀 퇴치 역할을 담당하는 신인 것이다. 비록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사례가 많지 않지만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산신제를 지내는 마을 대부분이 거리제를 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신제는 미곡리 제일말, 송성리 잿말 등에서 전승된다. 목신제는 말 그대로 나무의 정령을 신으로 인식하고 나무를 대상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세종 지역에서 목신제 대상이 되는 수종은 느티나무, 팽나무, 향나무, 버드나무, 아카시아나무 등이다. 목신제를 지내는 나무는 마을 입구나 중앙, 샘가, 서낭 등에 위치한다. 주민들은 나무가 마을을 지켜 준다고 보고 목신으로 상정하고 마을의 안정과 풍요를 기원한다.

기고사는 금천리 학봉, 금천리 황산, 산학리 장밭뜰, 송문리 송정, 송학리 은골, 수산리, 평기리, 하봉리 별신당, 하봉리 하산, 하봉리 황골 등의 마을에서 지낸다. 기고사 대상이 되는 기(旗)는 농자천하지대본기(農者天下之大本旗)로, 해당 마을을 상징하는 깃발이다. 주민들은 마을기를 세워 놓고 제사를 지내면서 마을의 안정과 농사 풍년을 기원한다.

세종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공동체 의례 외에 장승제, 탑제, 서낭제, 미륵제 등도 있다. 장승제, 탑제, 서낭제는 거리제 성격을 띠고 있다. 장승이나 탑은 마을 입구 등 길가에 위치하여 거리신 역할을 수행한다.

[세시놀이]

과거 세종 지역에 전승되던 놀이는 줄다리기, 윷놀이, 연날리기, 사방놀이, 비석치기, 그네뛰기, 갈퀴치기, 낫치기, 장치기, 널뛰기, 쥐불놀이, 보리대세우기, 목화대세우기, 허수아비놀이 등 수없이 많다. 놀이 가운데 상당수는 전승이 중단되었지만 주목할 만한 소재도 적지 않다. 여기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를 대표할 만한 강다리기와 낙화놀이를 소개한다.

강다리기는 세종 지역의 많은 마을에서 전승되던 놀이로, 용암리 강다리기가 유명하다. 강다리기란 용어는 ‘강’과 ‘다리다’의 합성어이다. ‘강(强)’은 말 그대로 힘을 뜻하고 ‘다리다’는 당기다의 사투리이다. 곧 강다리기는 힘당기기란 용어로, 줄다리기를 뜻한다.

용암리용암강다리기는 매년 음력 1월 16일 시행된다. 강다리기 줄은 일반적인 줄다리기 줄과 차이가 있다. 보통 외줄이지만 암수 두 개의 줄을 이어 만드는데 용암강다리기에서는 나무에 줄을 묶어 완성한다. 나무는 용목이라 불린다. 지름이 30㎝ 내외, 길이 5m 내외이다. 나무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강줄[사람이 잡고 당기는 줄]을 수십개 달아 맨다. 일반적인 줄다리기 줄은 본줄에 곁줄을 이어 달아 당기는데 강다리기는 강줄을 잡고 당긴다.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마을에 사람이 많았을 때는 강줄을 100개 이상 늘여서 줄당기기를 하였다고 한다.

강다리기는 주민들을 남녀 두 편으로 나누어 시작한다. 단 미혼 남성은 여성편에 속하며, 여성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한다. 용암강다리기는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낙화(落火)놀이는 전국적으로 사례가 많지 않다. 재료를 구하고 놀이를 준비하는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등곡리 주민들은 예부터 낙화놀이를 전승하여 오고 있어 주목된다.

낙화놀이를 하기 위해서는 불꽃을 피울 수 있는 천연 화약이 필요하다. 대개 화약의 주재료는 숯이다. 등곡리 주민들은 뽕나무 숯을 이용한다. 낙화놀이 전에 산에 올라가 뽕나무를 베어 와서 태워 숯을 만든다. 만든 숯을 빻아 가루를 낸다. 강열한 불꽃을 유도하기 위하여 보조제로 사금파리 가루 등을 넣기도 한다. 등곡리의 경우 소금, 솜 등을 넣는다. 길이 1m 정도의 천에 숯가루, 소금, 솜 등을 고르게 펴서 늘어 놓고 천을 돌돌 말아 낙화봉을 완성한다. 놀이를 위한 낙화봉 수는 200여 개이다.

등곡리 낙화놀이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저녁에 한다. 주민들이 마을 앞의 논에 줄을 맨 지지대를 세운다. 줄에는 사전에 매달아 둔 200여 개의 낙화봉이 묶여 있다. 낙화봉을 묶은 지지대를 세우고 준비를 마친 뒤 이장의 지시에 맞추어 횃불을 든 사람들이 낙화봉 하부에 불을 붙인다. 불을 붙이면 낙화봉이 불에 타면서 꽃가루 같은 불꽃을 뿜으며 어두운 밤을 붉게 수놓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