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097 |
---|---|
한자 | 大橋川 |
영어공식명칭 | Daegyocheon Stream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동호 |
전구간 | 대교천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
---|---|
해당 지역 소재지 | 대교천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 |
성격 | 하천 |
면적 | 65.75㎢ |
길이 | 21.64㎞ |
폭 | 55m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을 거쳐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대교천은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의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의 경계에 있는 다리의 이름을 따 ‘대교(大橋)’라고 명명한 장군면 대교리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대교천(大橋川) 주변의 지질은 선캄브리아시대 혼성 편마암, 규암과 중생대 백악기 규장암, 석영반암, 화강반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군면의 중부를 흐르는 대교천은 그 주변에 넓은 충적평야를 형성하였다.
송문리·도계리·평기리 일대에는 평기앞들, 은용리 일대에 구례들 등이 있다. 평기앞들 등 평탄지들은 대부분 논농사 지대로 이용되고 있다.
대교천의 상류는 중흥저수지(中興貯水池)와 연결되어 있으며, 곡류하며 흐른다. 용현리에서 용두천이 대교천과 합류하며, 대교천의 양안은 초본 등으로 덮여 있다.
대교천은 지방하천에 해당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로 흘러들어와 송학리·용현리·송문리·평기리·도계리·대교리·봉안리·산학리를 거쳐 금암리에서 금강으로 합류한다. 대교천은 금강을 본류로 한다. 면적은 65.75㎢, 유로 길이는 21.64㎞, 하폭은 55m 정도이다.
대교천은 규모가 큰 충적평야를 형성하였고, 이로 인하여 큰 마을들이 자리 잡게 되었다. 송학들의 학미, 들말과 평기앞들의 벌터, 송정·문성·회골·구셋골·구례들의 장밭들, 4행정 등이 여기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