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252 |
---|---|
한자 | -洞 |
영어공식명칭 | Sodamdong |
이칭/별칭 | 도시행정 지구 3-3 생활권,새샘마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심정보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하는 법정동.
소담동은 생김새가 탐스럽고, 행복이 가득한 풍요로운 주거 단지를 의미하는 한글 명칭이다. 소담동은 새샘마을로도 불리는데, 소담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 명칭 가운데 새샘골을 활용한 것이다. 석삼리의 새삼골은 새로 판 샘이 있는 골짜기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소담동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소비포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공주군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기군 금남면에 편입되었다.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석삼리·장재리·호탄리 일부가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이 되었다.
소담동은 하천과 산지, 주거단지가 어우러진 지역이다. 주거단지 동북 방향에는 괴화산[201.1m]이 있으며, 북서 방향에는 미호천과 합류한 금강이 동북에서 서남 방향으로 흐른다. 주거단지 남쪽에는 산지로부터 흘러내린 하천이 동쪽에서 서쪽을 지나 용수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유입한다. 금강 주변에는 여가 공간으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소담동은 행정중심복합도시 남부에 자리하며 동쪽은 반곡동, 서쪽은 보람동, 남쪽은 금남면 호탄리와 장재리, 북쪽은 금강과 접한다. 면적은 1.2㎢이며 인구는 2020년 8월 기준 6,699가구에 총 1만 8,798명이다. 교통은 외곽순환도로가 통과한다.
소담동은 행정중심복합도시 도시행정 지구의 3-3 생활권에 속한다. 주거단지는 새샘마을 1~9단지 등이 있다. 교육기관은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가 자리하며 남쪽에는 자동차운전면허시험장, 북쪽에는 세종지방경찰청이 있다.
3-1 생활권의 특화권역은 ‘게이트 존(Gate Zone)’을 지정하여 중심 상권을 금강 및 수변상권까지 연계하며, 금강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고 상업공간을 조성한다. 지정 목적은 광역 BRT(Bus Rapid Transit)[간선급행버스체계]정류장에서 금강에 이르는 구간의 가로변 상업 활성화 및 도시 진입부의 경관 관리이다. 위치는 3-3 생활권 대중교통중심도로와 대덕 테크노벨리 연결도로 간 교차점으로부터 금강의 수변상업을 연결하는 구간이다. 면적은 186,484㎡이며 용도지역은 일반상업지역과 자연녹지지역이다. 도입시설로는 주상복합·상업업무·학교·주차장·근린공원·공공공지·저류지 등이 있다. 특화권역의 목표는 경쟁력 있는 상업권역 형성, 도시 진입부의 상징성 강화, 활력 있는 수변 공간 창출 등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20.10.21 | 현행화 | [연혁]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소비포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공주군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기군 금남면에 편입되었다.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석삼리, 호탄리, 장재리 일부가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이 되었다. [현황] 소담동은 행정중심복합도시 남부에 자리하며 동쪽은 반곡동, 서쪽은 보람동, 남쪽은 금남면 호탄리와 장재리, 북쪽은 금강과 접한다. 면적은 1.2㎢이며 인구는 2020년 8월 기준 6,699가구에 총 1만 8,798명이다. 교통은 외곽순환도로가 통과한다. 소담동은 행정중심복합도시 도시행정 지구의 3-3 생활권에 속한다. 주거단지는 새샘마을 1~9단지 등이 있다. 교육기관은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가 자리하며 남쪽에는 자동차운전면허시험장, 북쪽에는 세종지방경찰청이 있다. 3-1 생활권의 특화권역은 ‘게이트 존(Gate Zone)’을 지정하여 중심 상권을 금강 및 수변상권까지 연계하며, 금강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고 상업공간을 조성한다. 지정 목적은 광역 BRT(Bus Rapid Transit)[간선급행버스체계]정류장에서 금강에 이르는 구간의 가로변 상업 활성화 및 도시 진입부의 경관 관리이다. 위치는 3-3 생활권 대중교통중심도로와 대덕 테크노벨리 연결도로 간 교차점으로부터 금강의 수변상업을 연결하는 구간이다. 면적은 186,484㎡이며 용도지역은 일반상업지역과 자연녹지지역이다. 도입시설로는 주상복합·상업업무·학교·주차장·근린공원·공공공지·저류지 등이 있다. 특화권역의 목표는 경쟁력 있는 상업권역 형성, 도시 진입부의 상징성 강화, 활력 있는 수변 공간 창출 등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