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266 |
---|---|
한자 | 忠北線 |
영어공식명칭 | Chungbuk Railroad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강창숙 |
준공 시기/일시 | 1921년 11월![]() |
---|---|
준공 시기/일시 | 1923년 5월 - 청주역~청안역[현 증평역] 구간 개통 |
준공 시기/일시 | 1928년 12월 - 청안역~충주역 구간 개통 |
준공 시기/일시 | 1958년 5월 - 충주역~봉양역 구간 개통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75년 10월~1980년 10월 - 조치원역~봉양역 간 복선화 완공 |
증설|폐설 시기/일시 | 1980년 10월~2005년 3월 - 전구간 전철화 완료 |
증설|폐설 시기/일시 | 2006년 11월 - 조치원을 거쳐 대전역까지 연장 운행 시작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46년 5월 - 국유 철도가 됨 |
전구간 | 충북선 - 세종특별자치시~충청북도 제천시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충북선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
성격 | 도로와 교량 |
길이 | 115㎞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역에서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역을 잇는 철도 노선.
충북선 철도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에서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까지 동서로 횡단하는 철도로서 총연장은 115㎞이다. 충북선 철도는 조치원역에서 경부선과 연결되고 봉양역에서는 중앙선과 연결된다. 제천역을 통해 태백선과 연결되는 노선으로 세종 지역 산업발전에 중요한 철도 교통이다. 충북선은 한국의 대표적인 간선철도인 중앙선과 경부선에 연결되는 노선으로, 세종특별자치시 및 충청 내륙 지역의 여객과 화물을 전국으로 수송하고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며 지역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충북선의 총연장은 115㎞이며, 세종특별자치시를 지나는 구간은 1.6㎞이다.
충북선 철도건설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 4월에 시작되어 12월에 개통된 청주~부강 간 도로가 배경이 되었다. 도로가 개통된 이후, 일본인들이 충청북도 지역 진출에 청주~부강 간 도로를 이용하기 위해 충북선 경편궤도(輕便軌道) 부설 계획을 추진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1917년 8월 18일 조선총독부는 조선경편철도회사에 충북선 철도 부설을 허가하였다. 이에 1921년 11월 조치원역~청주역의 22.7㎞ 구간 개통으로 시작되었다. 1923년 5월에 청주역~청안역[현 증평역] 간의 29.9㎞가 개통되었으며, 1928년 12월에는 청안역~충주역 간의 47.4㎞가 개통되었다. 해방 이후인 1946년 5월에 국유철도가 되었으며, 1958년 5월에 충주역~봉양역 간의 35.2㎞가 개통됨으로써 현재의 충북선이 완전히 개통되었다.
광복 이전의 충북선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세종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수탈하기 위해 부설되었고, 주로 세종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었던 쌀 등 곡물 자원을 수탈하고 수송하는 데 이용되었다. 광복 이후의 충북선은 세종 지역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여객과 화물을 수송하고 경부선과 중앙선으로 연결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충북선 철도에 대한 수송 수요 증가로 1975년 10월 조치원역~봉양역 간 복선화 공사가 착공되었고, 1980년 10월 17일에 113.2㎞가 복선화(複線化)[철도를 복선으로 만드는 일]되었다. 1997년 5월에는 전철화 공사에 착공하여 2005년 3월에는 모든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2006년 11월 1일 충북선이 조치원을 거쳐 대전역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하였다.
2019년 현재 조치원역을 기점으로 하는 충북선 철도역 중에서 세종특별자치시 주민 생활과 밀접한 곳은 오송역과 청주공항역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시민들의 오송역 고속철도(KTX) 이용을 위해 급행버스와 BRT 버스[오송역~세종특별자치시~대전 반석역 구간 간선급행버스체계]를 운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