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519 |
---|---|
한자 | 杞溪兪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임선빈 |
묘소|세장지 | 유선 묘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성제리 서당골
![]() |
---|---|
묘소|세장지 | 경원사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성제리 서당골
![]() |
묘소|세장지 | 열녀 부안임씨 정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 은암마을
![]() |
성씨 시조 | 유삼재 |
입향 시조 | 유선 |
유삼재를 시조로 하고 유형무를 파조로 하며 유선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기계유씨는 동정공파 유선이 조선 전기에 연기현에 입향하였으며, 연서면 성제리와 와촌리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었다. 유선의 묘소, 재실 경운사, 열녀 부안임씨 정려 등 유적이 남아 있다.
기계유씨는 신라의 아찬(阿飡) 유삼재(兪三宰)를 시조로 한다. 태조 왕건은 유삼재의 후손 유의신(兪義臣)이 신라가 망한 후에도 고려에 복종하지 않으므로 유의신의 신분을 낮추어 기계현(杞溪縣)[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의 호장(戶長)으로 삼았다. 이후 후손들이 기계를 본관(本貫)[시조(始祖)가 난 곳]으로 삼았다. 『세종실록지리지』에도 경상도 경주부 기계의 성으로 유씨(兪氏)가 첫째로 기록되어 있다. 기계유씨는 동정공파, 월성군파, 장사랑공파 등 크게 15파로 나뉘는데 세종 지역에는 주로 동정공(同正公) 유형무(兪逈務)를 파조로 하는 동정공파가 거주하고 있다.
기계유씨 동정공파의 연서면 성제리 입향조는 파조로부터 4세손인 유선(兪善)이다. 입향 유래에 대해서는 조선이 개국하자 고려의 유신으로서 황해도 개성에서 연기 지역으로 은거(隱居)[세상을 피해 숨어서 삶]하였다고만 전해질 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또는 조선 전기 강진으로 유배된 후 연기 지역 성제리로 은거하면서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고도 한다. 후손들의 전언으로 예전에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서면에 ‘유홍림(兪洪林)’이라는 말이 있었다고 하는데 유홍림은 기계유씨, 남양홍씨, 부안임씨 등 세 문중의 세력을 대변하는 표현이라고 한다. 또한 남양홍씨 문중의 홍순복에게 출가한 유선의 딸을 남양홍씨 족보에서는 ‘강진유씨’라고 기록하고 있어 가끔 두 문중 간에 언쟁이 오가기도 하였는데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한다. 아마 강진에 유배되었다가 연기 지역으로 은거한 유선을 강진에서 왔다 하여 당시에는 강진유씨라고 부른 것으로 추측된다.
기계유씨 동정공파는 성제리와 와촌리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성제리 서당골에 유선의 묘가 있고, 유선을 모신 재실인 경운사(慶雲祠)가 묘소 근처에 있다. 연서면 와촌리 은암마을 입구에 유언하(兪彦夏)[1749~1819]의 처인 부안임씨 정려가 있다. 열녀 부안임씨 정려는 세종특별자치시 향토문화유산 제26호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