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573 |
---|---|
한자 | 淸州楊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임선빈 |
본관 | 청주양씨 본관 - 청주 |
---|---|
입향지 | 청주양씨 입향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
![]() |
세거|집성지 | 청주양씨 세거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
![]() |
묘소|세장지 | 양처선 묘소 - 금산 |
묘소|세장지 | 양한 묘소 - 청주 오룡동 |
묘소|세장지 | 양의홍 묘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 |
묘소|세장지 | 양춘복 묘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 |
묘소|세장지 | 양원세 묘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 |
성씨 시조 | 양기 |
입향 시조 | 양의홍 |
양기를 시조로 하고 양의홍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청주양씨는 양의홍이 임진왜란을 피하여 연동면 노송리 가장곡(嘉壯谷)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으며, 후손들은 연기파라고도 불린다.
청주양씨(淸州楊氏)는 중국에서 시작된 성씨로 시조는 후한(後漢) 양진(楊震)의 43세손인 양기(楊起)이다. 양기는 원나라 사람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중서성정승(中書省政丞)의 자리에 있을 때, 고려의 비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따라서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하였다. 양기는 다시 원나라에 들어가 공물을 삭감케 하는 등 많은 외교적 공헌을 하여 삼한창국공신상당백(三韓昌國功臣上黨伯)에 봉하여졌다. 또한 청주(淸州)를 관적으로 하사 받아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청주로 삼았다.
청주양씨 시조 양기의 12세손 양의홍(楊義弘)은 금산에 살면서 임진왜란을 당하였으며 난을 피하여 노송리로 오면서 청주양씨 연기파의 중시조가 되었다. 양의홍의 부인은 경주이씨이다.
양의홍의 할아버지인 양처선(楊處善)[10세손]의 묘는 금산, 아버지인 양한(楊漢)[11세손]의 묘는 청주 오룡동에 있는 반면에 양의홍의 묘는 연동면 노송리 가장곡에 위치하고 있다. 양의홍의 아들인 양춘복(楊春福)[13세손]과 손자인 양원세(楊源世)[14세손] 이후의 묘소도 연동면에 위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