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579 |
---|---|
한자 | 韓山李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임선빈 |
본관 | 한산 - 충청남도 서천 |
---|---|
입향지 | 한산이씨 입향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
![]() |
묘소|세장지 | 이여출 묘소와 재실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
![]() |
성씨 시조 | 이윤경 |
입향 시조 | 이여출 |
이윤경을 시조로 하고 이계린을 파조로 하며 이여출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한산이씨(韓山李氏)는 호장공계의 공무공파 이여출이 17세기 중엽 세종 지역 눌왕리에 입향하여 후손들이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한산이씨는 이곡의 5대조인 이윤경을 시조로 하는 호장공계(戶長公系)와 이한의 5대조인 이윤우[본래 광주이씨 후손]를 시조로 하는 권지공계(權知公系)의 서로 다른 두 계통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에 입향한 한산이씨는 호장공계의 공무공파이다.
연기면 눌왕리의 한산이씨는 공무공파(恭武公派)이며, 입향조는 파조 이계린(李季疄)[1400~?]의 9세손인 이여출(李汝秫)[1650년대]이다.
이여출은 진사(進士)를 지냈다. 아버지는 이첩(李堞), 어머니는 청주한씨(淸州韓氏), 부인은 의흥박씨(義興朴氏)이다.
이여출이 눌왕리에 입향한 사유는 전해지지 않는다.
연기면 눌왕리 한산이씨 공무공파(恭武公派)는 눌왕리 전체 35가구 중 16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연기면 눌왕리에 이여출의 묘와 재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