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686 |
---|---|
한자 | 金濟鼎 |
영어공식명칭 | Gim Jejeong |
이칭/별칭 | 첨중,충장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강경윤 |
출생 시기/일시 | 1578년(선조 11)![]() |
---|---|
활동 시기/일시 | 1605년(선조 37) - 무과에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24년(인조 2) - 진주방어사가 됨 |
활동 시기/일시 | 1627년(인조 5) - 인산방어사가 됨 |
몰년 시기/일시 | 1627년(인조 5)![]() |
몰년 시기/일시 | 1627년(인조 5) - 병조참의로 추증됨 |
추모 시기/일시 | 1774년(영조 50) - 김제정 정려를 명정 받음 |
출생지 | 김제정 출생지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
![]() |
성격 | 무신 |
성별 | 남 |
본관 | 안동 |
대표 관직 | 인산방어사|병조참의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무신.
김제정(金濟鼎)[1578~1627]은 조선시대 무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첨중(僉中)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에서 태어났으며, 1605년(선조 38) 무과에 급제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당시 강홍립(姜弘立)[1560~1627]과 김경서(金景瑞)[1564~1624]가 싸우지 않고 적에게 투항하자 김제정이 대신 인산(麟山)방어사로 싸우다가 순절(殉節)[충절(忠節)이나 정절(貞節)을 지키기 위하여 죽음]하였다.
김제정의 할아버지는 목사 김사철(金師哲)이고,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김유(金鏐)이다.
전의 지역 안동김씨는 대부분이 고려 후기 무신이자 정치가인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1212~1300]의 후손들이다.
이 중 김제정의 후손들은 주로 전의면 달전리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김제정은 1605년(선조 38)에 무과에 급제하여 금부직에 있다가 1624년(인조 2) 진주(晉州)방어사를 지냈다.
1627년 정묘호란 때 강홍립과 김경서가 싸우지 않고 적에게 투항하자 대신 인산방어사로 싸우다가 순절하였다.
1627년(인조 5) 예관을 보내어 김제정의 제사를 치르게 하였고, 병조참의의 벼슬을 증직(贈職)[죽은 뒤에 품계와 벼슬을 높여 주던 일]하였다.
이와 함께 왕이 하교(下敎)[임금이 명령을 내림]하여 ‘호란에 순절한 자의 부모와 처자에게 미찬(米饌)[쌀과 반찬]을 하사하여 공을 잊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라.’하며 제사에 쓰일 토지도 하사(下賜)하였다.
김제정의 아들인 김기(金基)도 부친이 순절한 원수를 갚고자 병자호란에 적과 싸우다가 1627년 검천의 고치에서 순절하였다.
김제정의 순절한 행적을 인정받아 1627년(인조 5)에는 병조참의 벼슬을 증직 받았다. 이와 함께 부모와 처자에게는 쌀과 콩 등을 하사하였으며, 깊은 애도와 제사에 쓰일 토지 또한 하사되었다.
그 후 영조 때 ‘충장’이란 시호(諡號)[제왕이나 재상, 유현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가 내려졌다.
1774년(영조 50)에는 같은 충신인 남이흥과 이완이 정려(旌閭)[충신, 효자, 열녀 등을 동네에 정문(旌門)을 세워 표창하던 일]를 받은 것과 다르게 김제정만이 누락되어 한탄스럽다는 김제정의 7세손 김노찬(金魯粲) 등의 상언(上言)과 우승지 조영진(趙英鎭)의 상소(上疏)[임금에게 글을 올리던 일]에 의하여 정려를 명정(銘旌)[충·효·열을 행한 사람에게 나라에서 주는 최고의 포상]받기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