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1005 |
---|---|
한자 | 自畵像 |
영어공식명칭 | Self portrait |
이칭/별칭 | 길 위의 자화상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미술과 공예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민희 |
작가 생년 시기/일시 | 1917년 11월 26일 - 장욱진 출생 |
---|---|
작가 몰년 시기/일시 | 1990년 12월 27일 - 장욱진 사망 |
창작 시기/일시 | 1951년![]() |
성격 | 서양화 |
양식 | 유화 |
작가 | 장욱진 |
재질 | 캔버스 |
소유자 | 유족 |
관리자 | 유족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출신 서양화가 장욱진의 대표작.
「자화상」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출신 화가 장욱진(張旭鎭)[1917~1990]의 대표작으로, 6·25전쟁 시 고향으로 피란 와 있던 1951년에 그린 작품이다.
크기는 세로 14.8㎝, 가로 10.8㎝로 매우 작다. 종이가 삭아서 건드리면 부서질 정도로 보존 상태가 심각하다.
하지만 발색만큼은 여전하여 아직도 처음의 높은 채도와 색조를 유지하고 있다.
무르익은 벼의 황금빛 들판에 한번 크게 구부러진 빨간색의 논길이 있고, 하늘에는 네 마리의 새들이 날고 뭉게구름이 몇 점 둥실 떠다닌다.
여기까지는 지극히 한가로운 가을날의 시골 풍경이다. 그런데 그림의 앞 한복판 빨간 길 위에 머리는 단정히 가르마를 탄 채 콧수염을 기르고, 한 손에는 우산을 다른 한 손에는 19세기 서양식 모자를 들고 연미복을 날렵하게 입은 삐쩍 말라 조금은 우스꽝스러운 신사가 정확한 콘트라포스토(contraposto)[미술에서 인체를 표현할 때 무게를 한쪽 발에 집중시키고 다른 쪽 발은 편안하게 놓는 구도]의 자세로 서 있다.
그리고 신사 뒤에 역시 삐쩍 마른 개 한 마리가 신사를 따른다.
제작 당시 전쟁의 참화 속에 각박한 현실 모습은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절박한 생활상보다는 황금빛으로 익어 가는 벼를 통하여 시골의 이상적인 풍경을 목가적으로 담아냈다.
장욱진은 그림 「자화상」에서 ‘외롭지 않은 대자연 속의 완전 고독’을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가 전란의 혼란과 무질서인 점을 감안하면 「자화상」은 온통 모순이다.
우선 전쟁의 와중에 풍요롭게 물들어 있는 논이 있을 리 만무하며, 더욱 기이한 것은 논 사이의 길로 영국 신사풍의 정장을 입은 채 걸어가는 작가의 존재이다.
장욱진의 부인은 ‘전쟁의 혼란 중에서도 화가 자신이 꿈꾸는 삶을 그린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하였다. 부인의 기억으로는 부부의 결혼식 날 실제로 그림 속 신사와 비슷한 정장을 입었다고 이야기하였다.
전쟁의 흔적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목가풍의 배경에 서양식 예복을 입고 박쥐우산을 든 채 제 갈 길을 걸어가는 화자의 설정에서 우리는 그림의 낭만성을 넘어 강한 해학성마저 느낄 수 있다.
피폐하고 궁핍하던 전쟁 시기에 그려졌음에도 오히려 평화롭고 풍요롭기까지 한 작품 「자화상」은 파격적인 구도와 자유로운 표현을 통하여 동양철학이 깃든 향토적이고 서정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한 장욱진의 예술관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
「자화상」은 장욱진의 대표작이자 「나룻배」(1951), 「연동풍경」(1955), 「황토길」(1989) 등과 함께 세종특별자치시에 높은 장소성을 띠고 있는 작품으로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