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교리 정계 기고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185
한자 大橋里淨溪旗告祀
영어공식명칭 Sacrificial Rite for the Farming Flag of Daegyori Jeonggye Villiage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민정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대교리 정계 기고사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마을회관 앞마당지도보기
성격 고사
의례 시기/일시 음력 정월 보름날 동틀 무렵
신당/신체 농기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정계에서 음력 정월 보름날 동틀 무렵에 풍년을 비는 뜻으로 농기에 지내는 고사.

[개설]

정계 마을에서는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날이면 마을회관 앞마당에 기를 세워 놓고 정성을 드린다. 기고사를 지낸 뒤에 마을회관 마당의 고목(古木)에도 정성껏 위한다.

[연원 및 변천]

언제부터 기고사를 지냈는지 연원은 알 수 없다. 기고사를 지낸 뒤에는 반드시 마을회관 앞 고목에도 정성을 드린다.

[신당/신체의 형태]

마을에는 두 개의 기가 있다. 1932년[임신년]에 지은 낡은 기와 2014년[갑오년]에 장만한 새 기이다. 임신년의 기는 너무 오래되어서 깃발의 일부가 찢겨 나갔다. 기폭에는 기를 제작한 시기와 동명(洞名), ‘위신농지언자(爲神農之言者)’라는 한자가 묵서되어 있다. 묵서는 구선호의 필적이다. 해마다 임신년 기에 정성을 드리다가 2014년[갑오년] 동짓달에 새로 기를 지었다. 전체적으로 옛 기와 유사하다. 기폭의 중앙에는 ‘위신농지언자’라고 한자로 묵서하고 왼쪽에 ‘정계(淨溪)’, 오른쪽에 ‘갑오동지(甲午冬至)’라고 썼다. 각각 마을 이름과 제작 연도이다.

[절차]

마을에서는 정초에 회의를 열어서 깨끗한 집으로 유사를 선출한다. 유사는 기고사를 지내기 전까지 집안에서 근신한다. 유사 집 대문 앞에는 부정을 막기 위하여 황토를 펴 놓고 금줄을 쳤다. 이즈음에는 마을회관에서 제물을 장만한다. 마을 사람들은 고사를 지내기 전에 마을 청소를 하고 금줄을 여러 발 꼬아서 마을회관 앞의 고목에 두른다. 왼새끼로 꼰 금줄 사이사이에는 백지[길지]를 드린다. 바닥에는 황토를 군데군데 펴 놓는다. 나무 옆 공터에 기를 세워 놓고 똑같이 황토를 펴 놓는다. 가운데 펴 있는 황토 위에 열 십(十)자로 짚을 깔고 청수 한 그릇을 떠올린다.

정월 열나흗날 해가 지면 마을회관으로 사람들이 모인다. 유사는 정성껏 제물을 장만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방 안에 모여서 밤을 지새운다. 보름날 동틀 무렵이 가까워오면 제물을 들고 마당으로 나간다. 제물은 두 몫으로 나누어 준비한다.

먼저 농기 앞에 고사상을 차린다. 상 위에는 떡 한 시루[백설기 한 말]를 올리고 시루 손잡이 양쪽에 명태 대가리가 하늘을 향하도록 한 마리씩 꽂는다. 떡시루 앞에는 대추, 밤, 곶감, 사과, 배 등을 진설한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유사가 앞으로 나아가서 유교식으로 정성을 드린다. 마지막에는 새해에도 농사가 잘되고 마을이 평안하길 빌며 소지(燒紙)[종교·신앙 목적으로 종이를 태우는 행위]를 올린다. 기고사를 지낸 뒤에 고목 앞에도 똑같이 정성을 드린다. 유사가 앞으로 나아가서 잔을 올리고 절한다. 마을의 안과태평을 빌며 소지 한 장을 올린다. 유사는 준비하여 둔 백지에 명태, 떡, 밤, 대추 등을 싸서 깃대에 묶는다. 고사를 지낸 뒤에 간단히 음복하고 나서 상을 치운다. 마을 사람들은 정월 보름날이면 회관에 모여서 함께 어울려 논다.

[현황]

정계에서는 이즈음에도 음력 정월 보름날 동틀 무렵에 기고사를 지낸다. 주민들은 매년 풍년을 비는 뜻에서 농기에 정성을 드리고 고목도 정성껏 위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