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1192 |
---|---|
한자 | 路祭 |
영어공식명칭 | Religious Ritual for a Way |
이칭/별칭 | 거리제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영수 |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에서 매년 정월보름날 마을 앞 큰길 삼거리에서 마을 사람들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예부터 길은 많은 사람이 오고가면서 희로애락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길을 떠나는 사람과 길로 들어오는 사람 모두 이용하는 곳이기에 좋은 일이 있을 수 있지만 나쁜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래서 길신에게 대접하여 좋은 일만 있도록 부탁하는 것이 노제(路祭)이다.
노제와 목신제는 한 해를 시작하는 정초에 지낸다. 마을을 지키는 나무신과 거리신에게 1년을 무사히 보내도록 하여 달라는 부탁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노제는 마을 사람 모두가 지내는 동제의 모습도 있지만 개개인이 직업의 특수성 때문에 가족이 홀로 제사를 지내는 경우도 많다. 집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이 있거나 집을 나가 먼 길을 돌아다니는 직업을 택한 사람이 가족인 경우에 해당한다.
과거 말을 타거나 우마차를 끄는 일을 한 것처럼 오늘날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들에게 길에서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비는 제사가 노제이기 때문이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과거 마을 앞 큰 도로에서 정월보름[음 1월 14일] 저녁에 촛불을 켜고 노제를 지내는 곳이 많았다. 그러나 동제 중 가장 많이 사라진 것이 노제이다.
현재 전동면 심중리, 연서면 와촌리, 연기면 수산리, 소정면 운당리, 전의면 서정리, 장군면 송학리 등지에서 정월보름날 노제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