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1338 |
---|---|
한자 | 北門-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신정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기대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7년 12월 26일 - 『전의향토지』 630~631면 수록 |
---|---|
관련 지명 | 북문고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신정리
![]() |
성격 | 고개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북문고개 거주 주민들|운주산 절의 승려 |
모티프 유형 | 지명유래담|흔적에 대한 유래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신정리에서 북문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북문고개의 피」는 승려가 북문고개 근처로 시주하러 왔다가 주민들이 시주하지 않자 뜬소문을 내었고, 이로 인하여 마을이 망하였다는 지명설화이다.
현재 북문고개에는 사람이 살고 있지 않지만 집터 흔적이 발견되는 이유에 대한 유래담이기도 하다.
1997년 전의향토지발간추진위원회에서 발간한 『전의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전의향토지』에는 유석주가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되어 있다.
운주산에 절이 있었는데 한 승려가 다른 승려들의 만류에도 북문고개로 시주를 받으러 갔다. 승려는 동네 집집마다 시주를 부탁하였지만 누구도 시주하려 하지 않았다. 한 집에서는 시끄럽다고 면박을 주기까지 했다.
승려는 북문고개의 흙으로 무덤을 만들면 부자가 된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동네 사람들은 소문처럼 북문고개를 파 보았지만 땅에서는 붉은 피만 흘러나왔다. 이후 북문고개에 있던 집들에서 환자가 속출하고 농사는 흉년이 들었으며, 제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었다.
몇 년이 흘러 동네에는 사람들이 살지 않게 되었고, 집이 있던 곳은 모두 밭으로 변하였다고 전하여진다.
북문고개에 사람이 살지 않게 된 유래를 전하고 있으며, 승려에게 시주하지 않은 이후 마을이나 집안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