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1363 |
---|---|
한자 | 盧湖里- |
영어공식명칭 | Nohori Dugggeobi Bawi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진오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17년 -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소속 유병덕 연구원 조사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5년 - 『부강면지』 수록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7년 - 『세종민속문화유산 DB화 사업 최종보고서』 하권 수록 |
관련 지명 | 화봉산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 산1·2·223·224-1·224-2![]() |
성격 | 암석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어미 두꺼비|새끼 두꺼비 두 마리 |
모티프 유형 | 암석유래담|치성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에서 두꺼비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노호리 두꺼비 바위」는 부강면 노호리에 있는 두꺼비 모양을 한 세 개의 바위에 전해지는 암석유래담이다.
2015년 부강면지발간위원회에서 발행한 『부강면지』와 2017년 세종특별자치시에서 발행한 『세종민속문화유산 DB화 사업 최종보고서』 하권에 실려 있다.
『세종민속문화유산 DB화 사업 최종보고서』에는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소속 유병덕 연구원이 조사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노호리 가루개 마을에는 두꺼비 형상을 한 바위가 있다. 어미 두꺼비 모양의 바위 하나와 새끼 두꺼비 모양의 바위 두 개로 구성되어 있다.
화봉산에서 어미 두꺼비 한 마리와 새끼 두 마리가 내려와 바위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가루 마을에는 탕건바위, 말바위, 거북바위 등도 존재하여 마을에서 고사를 지내는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두꺼비 바위는 개인의 치성 대상으로 모셔져 왔다고 한다.
「노호리 두꺼비 바위」는 두꺼비를 닮은 바위의 형상을 주요 모티프로 삼은 암석유래담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