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1381 |
---|---|
한자 | 龍潭里城內男妹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용담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광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용담리의 남쪽에 있는 높은 봉우리에 남매가 쌓았다는 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용담리 성내 남매」는 용담리 남쪽에 있는 봉우리에 용담산성이라는 산성을 쌓은 남매에 관한 이야기이다.
남매의 경쟁심으로 산성이 쌓아졌지만 지나친 경쟁심이 비극으로 끝난 성곽전설이다.
1997년 금남향토지발간위원회에서 발간한 『금남면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1994년 임영수가 수집하였다.
먼 옛날 용담리에는 경쟁심이 강한 남매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남매는 목숨을 건 내기를 하게 되었다. 누이는 마을 앞산 위에 높은 산성을 쌓고 오빠는 빈손으로 한양에 가서 검은 소 한 마리를 끌고 오기로 한 것이다.
누이는 산 주위에 있는 모든 돌을 번쩍 들어올려 성을 쌓기 시작하였고, 오빠는 검은 소를 사려고 한양으로 달려가서 닥치는 대로 일을 하고 품삯을 모으는 등 애를 썼다.
그러나 어머니는 억센 딸이 이기는 것보다 집안의 대를 이을 아들이 이기기를 원했다.
누이가 내기에서 이기려 하자 어머니는 뜨거운 팥죽을 딸에게 주어 성 쌓기가 지연되도록 유도하였다.
팥죽을 식혀 먹느라 완성을 미루고 있던 누이의 눈에 오빠가 검은 소를 끌고 산을 오르는 것이 보였다.
누이는 진 것을 인정하고 혀를 물고 자결하였다 한다.
「용담리 성내 남매」의 주요 모티프는 ‘남매와 용담산성’이다.
우리 설화에는 산성에 얽힌 이야기가 많이 전하여 온다. 남매는 목숨 건 내기의 조건 중 하나로 성 쌓기를 한다.
오빠가 한양으로 달려가서 검은 소를 끌고 오기로 한 것은 성을 쌓기 위해서는 자금이 필요하다는 비유로 볼 수 있으며, 누이가 성을 다 쌓지 못하고 자결한 이야기는 돌로 성을 쌓는다는 게 목숨을 바치는 중노동임을 비유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