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
-
세종 지역에서 땅의 기운을 가두거나 부족한 땅의 기운을 보완하여 안정과 풍요를 도모하며 행한 술법. 비보(裨補)란 풍수이론에서 나온 용어로, “도와서 모자람을 채운다”는 의미다. 주로 장소나 공간의 기운이 모자랄 때 안정을 취하게 할 목적으로 비보가 이루어진다. 비보 유형에는 크게 수구비보(水口裨補), 지세비보(地勢裨補), 형국비보(形局裨補), 화기비보(火氣裨補), 살기...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 부강약수터 정자 밑에 있던 넓은 바위. 넉바위는 넓은 바위란 뜻인 ‘넙바위’, ‘넉바우’에서 변형된 것으로 짐작된다. ‘넉바우’, ‘넉바위’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넉바우마을’ 또는 ‘넉바위 마을’로도 불리었다. 넉바위는 외지 사람들도 찾는 명소인 부강약수터의 정자 밑에 있었으며, 바위에 얽힌 이야기가 전하여진다. 196...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4리 대사동에는 마을을 비보(裨補)[도와서 모자라는 것을 채움]할 목적으로 조성된 마을숲이 있다. 마을숲은 풍수관념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여진다. 마을의 전면이 열려 있어 지기(地氣)가 빠져나가므로 지기를 막아서 안정을 취할 의도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수...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마을숲은 전주이씨가 집성하면서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을 북동쪽이 지나치게 개방된 것을 막기 위하여 곡교천 변에 왕버들나무를 심어 비보숲을 만들었다. 비보숲 일대는 1985년 충청남도 천연자원 보호림으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관련 법이 개정되어 산림유전자원...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원성리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느티나무숲 또는 대허리숲으로 불리는 전의면 원성리 마을숲은 마을 진입로 인근에 조성되어 있다. 조천과 덕현천의 합류 지점에 위치한 숲은 고목과 느티나무 10여 그루로 이루어져 있다. 주민들은 숲이 마을의 지기(地氣)를 가둘 목적으로 조성된 수구막이라고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원성리 느티나...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 마을은 풍수적으로 호리병 모양을 이루고 있다. 예부터 마을에는 “마을 입구가 병마개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이 부분을 막아야 주민들의 재산이 쌓이고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구전이 전하여 내려왔다. 따라서 주민들은 마을 입구에 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하고 호리병의 병마개...
무속 신앙
-
세종 지역에서 병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하는 무속 의례. 병굿은 병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굿이다. 세종 지역에서는 치병굿, 환자굿이라고도 한다. 질병의 원인이나 유형에 따라 미친굿이나 주당풀이와 같은 병굿도 세종 지역에 전승된다. 보통 무당은 병굿을 하기 직전에 환자가 어떠한 이유로 병에 걸리게 되었는가를 파악하는데 이를 무당의 행동을 점친다고 한다. 점친 후 무당이...
-
세종 지역에서 살이 낀 사람을 대상으로 액살을 제거하여 주는 무속 의례. 살(煞)은 사람이 상황이나 때에 따라 겪게 되는 일종의 기운이나 운수이다. 보통 액운을 살이라고 하지만 좋은 운수를 뜻하는 길살도 있다. 살의 종류는 재살(災煞), 겁살(劫煞), 역마살(驛馬煞), 반안살(攀鞍煞), 육해살(六害煞), 화개살(華盖煞), 망신살(亡身煞), 천살(天煞), 지살(地煞) 등...
-
세종 지역에서 개인의 사주를 기초로 운명이나 길흉을 점쳐 삼재에 들었을 경우 풀어 내는 무속 행위. 삼재란 수재(水災)·풍재(風災)·화재(火災)를 말한다. 역서의 12간지 주기법을 기초로 삼재의 들고 남을 확인한다. 개인의 사주(四柱)[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에 근거하여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점]를 바탕으로 삼재를 확인하여 삼재에 든 것이 확인되면 삼재를 해소하기 위하여 굿...
-
세종 지역에서 가정 주부가 집안 가신에게 가족의 건강과 무탈, 집안 번영 등을 기원하며 지내는 고사. 안택고사는 집안 안정, 가족 건강, 가정 번영 등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고사이다. 유사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의례로 안택굿을 꼽을 수 있지만 굿은 무당이 의례를 주도한다고 하는 점에서 안택고사와 구별된다. 안택고사는 해당 가정의 주부가 중심이 되어 비손[손을 비비며...
-
세종 지역에서 무당이나 법사가 앉은 채로 꽹과리와 북을 두드리고 무경을 구송하며 진행하는 무속 의례. 앉은굿이라는 용어는 무당이나 법사가 굿을 진행할 때 취하는 자세에 근거하여 나온 말이다. 본래 앉은굿은 여성 무당보다 경객(經客)이나 법사(法師)가 중심이 되어 행하였다. 경객이나 법사는 북이나 꽹과리를 앞에 두고 두드리면서 경문을 구송하는 방식으로 굿을 진행하였다. 앉...
-
세종 지역에서 주당을 맞은 환자를 주술적으로 치료하는 무속 의례. 초상집이나 잔치집 등을 다녀와서 갑자기 아프게 되면 주당(周堂)[혼인, 장례, 굿 등 의례에서 꺼리는 주변 귀신]을 맞은 것이라고 여긴다. 환자 집에서는 무당이나 법사를 불러다가 주당풀이를 한다. 주당풀이는 환자를 죽은 사람으로 간주하여 간단한 모의 상장례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모의 상장례 방식은...
가정 신앙
-
세종 지역에 거주하는 창녕성씨가 1년 중 행하는 가족 의례.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창녕성씨가 세거하는 곳은 금남면 달전리와 연서면 와촌리이다. 창녕성씨는 달전리와 와촌리 마을에서 수백 년 동안 살아 오면서 가정 신앙을 지키고 있다. 주로 시어머니에서 며느리로 전승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창녕성씨 가정에서 최고의 가신(家神)으로 성주를 모신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에서 한식날 후손 없이 죽은 할머니를 위하여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에 춘심이 할머니가 머슴 현영감과 같이 들어와 살다가 죽을 때 모든 재산을 마을에 기증하였다. 마을에서는 춘심이 할머니와 머슴 현영감을 마을 수살 밖의 양지바른 작골에 묘를 만들고 매년 벌초도 하고 한식날 제사를 지내주고 있다. 춘심이...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곡리에서 음력 7월 7일 마을 사람들이 함께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곡리 칠석제사는 외지에서 마을로 들어온 이석경이라는 사람이 마을에 땅 600여 평을 기증하고 자신이 죽으면 마을에서 본인의 제사를 지내 달라고 부탁한 것을 마을사람들이 동네 칠석 제사로 지내게 된 것이다. 그러니 1990년부터 시작한 것이 30년 가까이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