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2927
영어의미역 Skinflint Story
이칭/별칭 「자린고비」,「자인고비 이야기」,「구두쇠 이야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한종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설|인물전설
주요 등장인물 자린고비|북어장수
관련지명 어정이들|어정개
모티프 유형 파리·잠자리 추격하다가 어정대기|조기와 밥의 절약

[정의]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자린고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자린고비 이야기」는 인색한 사람을 지칭하는 자린고비를 내세워 그의 행위를 다룬 과장된 전설이다. 조선 인조(仁祖)[1595~1649] 때 태어난 자린고비 조륵(趙肋)의 묘가 신니면 대화리 화치마을에 있다. 충주 지역에는 ‘자린고비’와 관련된 전설이 많다. 자린고비의 출생지는 오늘날 음성군이지만, 예전에는 충주에 속해 있던 지역이다.

[채록/수집상황]

1981년 충주시에서 간행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에는 「자린고비」로, 2002년 충주시에서 간행한 『충주의 구비문학』에는 「자린고비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각각 수록되어 있다.

[내용]

어느 늦은 봄날, 장독대에서 왕파리 한 마리가 된장을 빨아 먹고 있는 것을 자린고비가 목격했다. 자린고비는 얼른 된장독의 뚜껑을 덮었다. 그런데 파리 다리를 살펴보니 된장이 묻어 있었다. 파리를 잡으려는데 갑자기 잠자리가 파리를 잡아챘다. 자린고비는 잠자리를 쫓아 이곳저곳을 어정댔다. 그래서 자린고비가 잠자리를 잡기 위해 어정댔던 곳을 ‘어정이들’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자린고비는 더욱 열을 내어 잠자리를 쫓았다. 10리, 100리, 그렇게 잠자리를 쫓았지만 그만 놓치고 말았다. 날도 이미 어두워졌다. 잠자리를 쫓다 놓친 곳이 지금의 수원 인근이며, 인근 마을에서 자린고비가 이곳저곳을 어정댔다고 해서, 이후 그 마을을 ‘어정개’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어느 날 자린고비가 조기 한 마리를 사왔다. 그러나 그것은 먹기 위한 조기가 아니었다. 조기를 천정에 매달아 놓고 한 번 쳐다보고 밥 한 술을 먹었다. 두 번을 쳐다보지도 못하게 하였다. 또 북어장수가 자린고비의 거동을 보려고 북어 한 마리를 대문 안에 던져주었다. 그랬더니 ‘어느 놈이 밥을 많이 먹게 하려고 밥벌레를 갖다 놓았다’고 소리치며 북어를 거름더미에 파묻어 버렸다.

[모티프 분석]

「자린고비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파리·잠자리 추격하다가 어정대기’, ‘조기와 밥의 절약’ 등이다. 자린고비가 파리 다리에 묻은 된장이 아까워 이를 찾기 위해 파리를 쫒아 다녔다는 인물전설이며, 파리를 잡기 위해 이곳저곳 어정대다가 ‘어정이들’, ‘어정개’ 등의 지명이 생겼다는 지명유래전설이다. 「자린고비 이야기」는 자린고비 조륵의 절약 행위가 주요 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조기를 걸어 놓고 한 번씩만 쳐다보고 밥을 먹으라는 이야기, 공짜로 생긴 북어가 밥벌레라며 거름더미에 파묻었다는 이야기 등이다.

그리고 화소의 유형들이 다채롭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동일 자료들이 매우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종이를 절약한 이야기, 신발이 닳는다고 아무도 안보는 곳에서는 벗어들고 다녔다는 이야기, 길을 갈 때 팔을 젓고 다니면 옷이 닳는다고 뒷짐을 지고 다녔다는 이야기 등의 다양한 절약방법이 전승되고 있다. 이외에 충주의 자린고비로서 검소한 생활로 절약하여 모은 재산을 많은 사람들에게 베풀었다는 「와전된 자린고비」와 한도척의 이야기인 「구두쇠 도척」이 왕성한 전승력을 확보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