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일원에서 생산되는 무로 담근 일본식 짠지. ‘단무지’는 일본식 무 짠지를 일컫는 말이다. 단무지는 일본에서 전래하여 오던 채소절임식품이 일제강점기 한국에 전파되어 대중화된 반찬류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다꽝 또는 다쿠앙으로 불리었으나 광복 후 ‘단맛 나는 무 짠지’라는 뜻의 ‘단무지’로 순화하여 부르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는 일제강점...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달전리(達田里)는 용두미고룡골 또는 구능골이라고도 하며 능성구씨의 묘가 많다. 자연마을로는 암곡마을·사거리마을·용두미마을·상달전마을·하달전마을 등이 있다. 암곡마을은 바위가 많은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사거리마을은 마을에 네 갈래 길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용두미마을은 용의 머리처럼 생긴 산 앞에 자리를 잡...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하천, 강 등의 수로(水路)를 건너는 다리.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세종특별자치시는 조선 건국 이후 600여 년간 한반도의 수도인 서울과 지형이 비슷하다. 한강과 마찬가지로 금강 본류가 도시를 크게 남북으로 가른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국가하천 2개[금강·미호천], 지방하천 6개[제천·방축천·삼성천·용호천·문주천·내삼천], 소하천 7개[고정...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하천, 강 등의 수로(水路)를 건너는 다리.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세종특별자치시는 조선 건국 이후 600여 년간 한반도의 수도인 서울과 지형이 비슷하다. 한강과 마찬가지로 금강 본류가 도시를 크게 남북으로 가른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국가하천 2개[금강·미호천], 지방하천 6개[제천·방축천·삼성천·용호천·문주천·내삼천], 소하천 7개[고정...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다방리(多方里)는 다락동, 신리, 사방동을 병합하여 다락과 사방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자연적으로 나타난 지명으로 비암골은 비암사가 밑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고, 아냉이고개는 수랑골에서 덕학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수직봉은 마을 북쪽에 있으며 비암사를 싸고 있는 산의 뒤쪽에 수직으로 서 있어 지칭한 말이다. 뱀골고개는...
-
세종특별자치시 종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빛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첫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사람을 만든다, 둘째 기초 기본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사람을 기른다, 셋째 문화적 소양을 갖춘 품격 있는 사람을 기른다, 넷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품성 바른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육 비전은 ‘사랑과 열정으로 미래 여는 행복 다빛 교육’이다. 교훈은 ‘뜻을...
-
세종특별자치시 종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빛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첫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사람을 만든다, 둘째 기초 기본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사람을 기른다, 셋째 문화적 소양을 갖춘 품격 있는 사람을 기른다, 넷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품성 바른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육 비전은 ‘사랑과 열정으로 미래 여는 행복 다빛 교육’이다. 교훈은 ‘뜻을...
-
세종특별자치시 종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빛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첫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사람을 만든다, 둘째 기초 기본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사람을 기른다, 셋째 문화적 소양을 갖춘 품격 있는 사람을 기른다, 넷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품성 바른 사람을 기른다’이다. 교육 비전은 ‘사랑과 열정으로 미래 여는 행복 다빛 교육’이다. 교훈은 ‘뜻을...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다정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꿈을 향한 끊임없는 도전, 세상을 향한 힘찬 도약’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꿈을 향하여 도전하는 다정인[진로인], 정의를 구현하는 다정인[정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다정인[행복인], 행동하는 지성으로 성장하는 다정인[행동인], 배려하고 협력하는 다정인[협업인] 육성...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다정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꿈을 향한 끊임없는 도전, 세상을 향한 힘찬 도약’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꿈을 향하여 도전하는 다정인[진로인], 정의를 구현하는 다정인[정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다정인[행복인], 행동하는 지성으로 성장하는 다정인[행동인], 배려하고 협력하는 다정인[협업인] 육성...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다정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다 함께 성장하고 정다운 마음을 가꾸는 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발상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융합적 다정인, 진로를 설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다정인, 교육공동체와 함께 성장하는 다정인, 인성과 지성을 고루 갖춘 교양 있는 다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다정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다 함께 성장하고 정다운 마음을 가꾸는 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발상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융합적 다정인, 진로를 설계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다정인, 교육공동체와 함께 성장하는 다정인, 인성과 지성을 고루 갖춘 교양 있는 다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정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본을 바로 세우는 건강한 학교’이다. 2018년 3월 1일 다정초등학교 개교[24학급, 416명]하였다. 2018년 9월 3일 12학급을 증설[36학급, 762명]하였으며, 2019년 3월 1일 50학급[특수학급 2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다. 현재 교육 활동으로는 협력하고 배려하는 학생문화 형성하...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정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본을 바로 세우는 건강한 학교’이다. 2018년 3월 1일 다정초등학교 개교[24학급, 416명]하였다. 2018년 9월 3일 12학급을 증설[36학급, 762명]하였으며, 2019년 3월 1일 50학급[특수학급 2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다. 현재 교육 활동으로는 협력하고 배려하는 학생문화 형성하...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다정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본을 바로 세우는 건강한 학교’이다. 2018년 3월 1일 다정초등학교 개교[24학급, 416명]하였다. 2018년 9월 3일 12학급을 증설[36학급, 762명]하였으며, 2019년 3월 1일 50학급[특수학급 2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다. 현재 교육 활동으로는 협력하고 배려하는 학생문화 형성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일원에서 생산되는 무로 담근 일본식 짠지. ‘단무지’는 일본식 무 짠지를 일컫는 말이다. 단무지는 일본에서 전래하여 오던 채소절임식품이 일제강점기 한국에 전파되어 대중화된 반찬류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다꽝 또는 다쿠앙으로 불리었으나 광복 후 ‘단맛 나는 무 짠지’라는 뜻의 ‘단무지’로 순화하여 부르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는 일제강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일원에서 생산되는 무로 담근 일본식 짠지. ‘단무지’는 일본식 무 짠지를 일컫는 말이다. 단무지는 일본에서 전래하여 오던 채소절임식품이 일제강점기 한국에 전파되어 대중화된 반찬류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다꽝 또는 다쿠앙으로 불리었으나 광복 후 ‘단맛 나는 무 짠지’라는 뜻의 ‘단무지’로 순화하여 부르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는 일제강점...
-
단무지는 무를 시들하게 말린 뒤 소금과 쌀겨 등에 절여 만든, 우리나라의 짠지와 비슷한 일본 저장식품의 일종이다. 한국산업규격(KS)에서는 단무지를 ‘건조 또는 소금에 절여 탈수한 무를 소금겨에 담가 절인 것 또는 감미료, 산미료, 향신료 등을 가한 조미액에 담근 것’이라 정의하였다. 일본어로 ‘타쿠앙’ 혹은 ‘타쿠앙쓰게’라고 칭하며, 일제강점기에 국내에 전반적으로 보급되는 과정에...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석종형 부도. 등곡리 부도는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안치한 묘탑으로, 고려 후기부터 건립되어 조선 후기 전국적으로 유행한 석종형(石鐘形) 부도이다. 명문이 없어 부도의 주인공은 알 수 없다. 등곡리 부도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문헌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사찰의 연혁을 확인할 수 없다. 부도 형태로 보아 조...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있는 소류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의 경작지들은 자연마을인 대국터 앞과 달산의 전면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대국터의 농지가 달산의 농지에 비하여 조금 더 넓고, 논이 밭보다 약간 더 많다. 이러한 농지들은 과거 대부분 천수답(天水畓)[빗물에 의하여서만 벼를 심어 재배할 수 있는 논]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김원복이 기증한 땅...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있는 소류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의 경작지들은 자연마을인 대국터 앞과 달산의 전면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대국터의 농지가 달산의 농지에 비하여 조금 더 넓고, 논이 밭보다 약간 더 많다. 이러한 농지들은 과거 대부분 천수답(天水畓)[빗물에 의하여서만 벼를 심어 재배할 수 있는 논]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김원복이 기증한 땅...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있는 소류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의 경작지들은 자연마을인 대국터 앞과 달산의 전면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대국터의 농지가 달산의 농지에 비하여 조금 더 넓고, 논이 밭보다 약간 더 많다. 이러한 농지들은 과거 대부분 천수답(天水畓)[빗물에 의하여서만 벼를 심어 재배할 수 있는 논]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김원복이 기증한 땅...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달전리(達田里)는 용두미고룡골 또는 구능골이라고도 하며 능성구씨의 묘가 많다. 자연마을로는 암곡마을·사거리마을·용두미마을·상달전마을·하달전마을 등이 있다. 암곡마을은 바위가 많은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사거리마을은 마을에 네 갈래 길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용두미마을은 용의 머리처럼 생긴 산 앞에 자리를 잡...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일대에 분포하는 조선시대 가마터. 달전리 가마터는 조선시대 관청에서 운영한 가마가 있던 곳이다. 달전리 가마터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세종골프장 조성사업에 앞서 발견된 유적이다. 숯가마 14기, 재층 1기, 자기가마 1기, 자기가마 퇴적층 2기, 도기가마 3기, 가마 1기, 소성유구 2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부거실 주민들이 금성산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부거실 사람들은 마을 안녕과 주민 발복을 기원하며 금성산 산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매년 음력 10월 1일 시행되는 달전리 부거실 산신제는 마을 주민들이 한 마음으로 참여하는 공동체의례이다. 산신제의 연원은 정확히 알지 못한다. 현재 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일대에 분포하는 조선시대 가마터. 달전리 가마터는 조선시대 관청에서 운영한 가마가 있던 곳이다. 달전리 가마터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세종골프장 조성사업에 앞서 발견된 유적이다. 숯가마 14기, 재층 1기, 자기가마 1기, 자기가마 퇴적층 2기, 도기가마 3기, 가마 1기, 소성유구 2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부거실 주민들이 금성산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부거실 사람들은 마을 안녕과 주민 발복을 기원하며 금성산 산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매년 음력 10월 1일 시행되는 달전리 부거실 산신제는 마을 주민들이 한 마음으로 참여하는 공동체의례이다. 산신제의 연원은 정확히 알지 못한다. 현재 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 창녕성씨 집성촌의 공동체 생활문화 조직. 금남면 달전리는 창녕성씨들의 집성촌으로, 시제(時祭)[음력 10월에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와 함께 마을 주민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운영하는 애향계와 상여계인 연반계가 유지되고 있다. 달전리의 창녕성씨들은 매년 음력 10월 8일 제각(祭閣)[무덤 근처에 제사를 지내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달전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로 관할구역에는 원달전, 닭재, 성동, 망골, 안산, 욧골 등이 있다. 달전리는 조선시대 많은 풍류객(風流客)이 쉬어갔던 곳으로 산막(山幕)이 많았다고 한다. 마을 앞산이 반달같이 생겼다 하여 ‘달밭’ 또는 ‘월전(月田)’이라 하였다. 달전리의 마을이 12개 마을로 형성...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달전리(達田里)는 용두미고룡골 또는 구능골이라고도 하며 능성구씨의 묘가 많다. 자연마을로는 암곡마을·사거리마을·용두미마을·상달전마을·하달전마을 등이 있다. 암곡마을은 바위가 많은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사거리마을은 마을에 네 갈래 길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용두미마을은 용의 머리처럼 생긴 산 앞에 자리를 잡...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 학명은 Celtis Sinensis Persoon이다. 껍질은 흑색 또는 흑회색이다. 약간 거칠고 잘 벗겨지지 않는다. 어린 잔가지에는 잔털이 빽빽이 자란다. 높이 20m 정도로 곧게 서서 자라며, 가지가 넓게 퍼지는 속성이 있다. 잎은 달걀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
-
전득시를 시조로 하고 전춘발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전득시(田得時)를 시조로 하고 전춘발(田春發)[1789~?]을 입향조로 하는 담양전씨는 18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응암리에 터전을 삼아 정착한 이래 2019년 현재까지 후손들이 살고 있다. 담양전씨의 시조 전득시는 전라남도 담양군 출신으로 고려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참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와 보통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와 보통리 사이에 있는 연기향교 뒷산으로 향교 쪽에서 보면 경사가 비교적 가파르다. 앞에 있는 당산(唐山)[156.5m]과 뒤에 있는 당산(堂山)[149.1m]의 두 봉우리이다. 당산(唐山)에는 테뫼식 산성으로 토성과 석성이 있다. 나당 연합군이 쳐들어왔을 때 백...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음력 정월 보름에 마을에 액운을 막기 위하여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장승은 나무나 돌에 무서운 표정의 사람 얼굴 모습을 깎거나 새기고 그려서 마을 어귀에 세운 하당신(下堂神)이다. 장승을 세우는 까닭은 잡귀와 재액으로부터 마을을 방어하기 위하여 이다. 마을 사람들은 장승의 겉모습을 되도록이면 무사(武士), 장군(將軍), 역사(力士), 문수(門守) 등...
-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을 잇는 고속도로.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서세종 나들목]에서 금남면 용담리[남세종 나들목]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이다. 당진영덕고속도로는 당진과 영덕을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도로명은 당진과 영덕의 지역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당진영덕고속도로는 고속국도 제30호선으로...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에 속한 법정리. 대곡리(大谷里)는 1914년에 전의군 북면의 대사동과 맹곡리의 이름을 따서 대곡라는 명칭으로 연기군 전의면에 속하여 있다가 소정면이 신설되면서 편입되었다. 자연마을로는 궁말·역말·한적골 등이 있다. 궁말은 역말 서쪽에 있는 마을로 앞에 있는 들에 궁을 지을 만한 좋은 터가 있었다 하여 궁말 또는 궁리라 불린다. 역말은 맹골...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4리 대사동에는 마을을 비보(裨補)[도와서 모자라는 것을 채움]할 목적으로 조성된 마을숲이 있다. 마을숲은 풍수관념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여진다. 마을의 전면이 열려 있어 지기(地氣)가 빠져나가므로 지기를 막아서 안정을 취할 의도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수...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에서 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대사동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에서는 윤년에 한 차례 장승제를 지낸다. 제삿날은 음력 정월 열나흘이다. 마을 어귀에는 본래 숲이 무성하였다. 마을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려면 왼편에 천하대장군, 오른편에 지하대장군을 지나야 한다. 주민들은 마을의...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사지(寺址) 일원에 위치한 삼층석탑이다. 현재 높이가 1.4m로 보존 상태가 좋지 못하여 기단부를 시멘트로 보수하는 등 본래의 모습은 알 수 없다. 기단부 가운데 복련[꽃부리가 아래로 향한 것처럼 그린 연꽃 모양 또는 무늬]이 새겨진 상층갑석 위에 3층의 탑신과 덮개돌이 올려져 있...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에서 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대사동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에서는 윤년에 한 차례 장승제를 지낸다. 제삿날은 음력 정월 열나흘이다. 마을 어귀에는 본래 숲이 무성하였다. 마을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려면 왼편에 천하대장군, 오른편에 지하대장군을 지나야 한다. 주민들은 마을의...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 신후윤(愼後尹)[1640~1713]의 호는 야수(野獸)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취촌·대곡리에서 살았으므로 모두 신후윤을 대곡선생이라 하였다. 숙종 대의 복잡다단한 정파적 이해관계 속에서 스승 타우 이상과 우암 송시열을 향한 사은(師恩)[스승의 은혜]으로 충효와 더불어 유자(儒者)[유학을 공부하는 선비]의 책무인 스...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등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의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경부고속철도가 고등터널로 통과한다. 고등고개는 소정면 고등리에서 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라는 의미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등산(高登山)[229.9m]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일부 향토지에는 고등이고개·고등...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속한 법정리. 대교리는 장군면의 중동부에 있고, 평기리·도계리·봉안리와 맞닿아 있는 마을이다. 대교리와 도계리의 경계에는 있는 대교(大橋)라는 다리의 이름을 따서 마을 이름을 대교리로 명명하였다. 대교리는 백제시대 때 웅천에 속한 들이었다. 신라시대 때는 웅주에 해당하는 지역이었으며, 고려시대 때는 공주목에 속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에서 음력 정월 보름날 동틀 무렵에 풍년을 비는 뜻에서 농기에 지내는 고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 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보름날 새벽에 유사 집 마당에 세워 둔 기를 들고 ‘위하는 샘’으로 향한다. 샘 앞에 기를 세워 놓고 기고사를 지낸 후 샘에서 용왕제를 지낸다. 정월 보름날이면 마을에서는 기고사를 지내고 샘에도...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 주민들이 음력 1월 15일에 샘의 용신에게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1리 밤실의 샘제는 예로부터 전승되어오는 공동체 의례이다. 샘제와 기고사를 지내기 위하여 먼저 유사를 뽑는다. 유사는 깨끗하고 부정이 없으며 가정이 안정된 인물로 가린다. 한때는 부정이 없어야 한다는 명분 때문에 노부부를 유사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 주민들이 음력 1월 15일에 샘의 용신에게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1리 밤실의 샘제는 예로부터 전승되어오는 공동체 의례이다. 샘제와 기고사를 지내기 위하여 먼저 유사를 뽑는다. 유사는 깨끗하고 부정이 없으며 가정이 안정된 인물로 가린다. 한때는 부정이 없어야 한다는 명분 때문에 노부부를 유사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밤실 주민들이 음력 1월 15일에 샘의 용신에게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1리 밤실의 샘제는 예로부터 전승되어오는 공동체 의례이다. 샘제와 기고사를 지내기 위하여 먼저 유사를 뽑는다. 유사는 깨끗하고 부정이 없으며 가정이 안정된 인물로 가린다. 한때는 부정이 없어야 한다는 명분 때문에 노부부를 유사로 선정하기도 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 정계에서 음력 정월 보름날 동틀 무렵에 풍년을 비는 뜻으로 농기에 지내는 고사. 정계 마을에서는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날이면 마을회관 앞마당에 기를 세워 놓고 정성을 드린다. 기고사를 지낸 뒤에 마을회관 마당의 고목(古木)에도 정성껏 위한다. 언제부터 기고사를 지냈는지 연원은 알 수 없다. 기고사를 지낸 뒤에는 반드시 마을회관 앞...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에 있는 저수지. 본래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대교리에 속하여 있던 저수지였으나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하여 장군면 대교리에 속하게 되었다. 대교저수지의 제방 구조는 흙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홍수 조절을 위하여 여수로(餘水路)[수력 발전소나 저수지 등에서 물이 일정량을 넘을 때 여분의 물을 빼내기 위하여 만든 물길]를...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을 거쳐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대교천은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의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의 경계에 있는 다리의 이름을 따 ‘대교(大橋)’라고 명명한 장군면 대교리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의 대국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대국터」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의 대국터가 신선들이 바둑을 둔 곳이며, 연개소문이 고구려의 도읍으로 여겨 대국지라 불리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15년 부강면지발간위원회에서 발간한 『부강면지』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상황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의 대국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대국터」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의 대국터가 신선들이 바둑을 둔 곳이며, 연개소문이 고구려의 도읍으로 여겨 대국지라 불리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15년 부강면지발간위원회에서 발간한 『부강면지』에 수록되어 있다. 채록 상황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문리에 있는 마을 주민들의 식수원이던 우물.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문리 송정 안샘은 마을 중앙에 있다. 송정 안샘은 예로부터 송정마을의 주요 식수원이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매년 정월 열나흗날 오후에 송정 안샘 앞에서 샘고사를 지내었다. 샘제의 관행은 1990년대 들어와 중단되었다. 우물은 여전히 원형이 보존되고 있으나 식수원의 기...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대동초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평생 행복의 기초를 세우는 좋은학교’이다. ‘평생행복’이란 누구나 바라는 목표로 교육의 궁극적 목표이며, ‘기초’는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로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좋은학교’는 이상적인 학교, 머무르고 싶은 학교라는 비전을 담고 있다. 1915...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대동초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평생 행복의 기초를 세우는 좋은학교’이다. ‘평생행복’이란 누구나 바라는 목표로 교육의 궁극적 목표이며, ‘기초’는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로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좋은학교’는 이상적인 학교, 머무르고 싶은 학교라는 비전을 담고 있다. 1915...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대박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이자 행정리이다. 관할구역으로는 함박구미, 초정 등이 있다. 2011년 대전광역시 대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기능 지구로 선정된 후 지역 변화가 시작되었다. 대박리(大朴里)는 대박리의 산 모양이 함박꽃과 같다 하여 함박금 또는 함박금이로 불리다가 큰 마을이란 뜻에서 ‘대...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4리 대사동에는 마을을 비보(裨補)[도와서 모자라는 것을 채움]할 목적으로 조성된 마을숲이 있다. 마을숲은 풍수관념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여진다. 마을의 전면이 열려 있어 지기(地氣)가 빠져나가므로 지기를 막아서 안정을 취할 의도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수...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에서 한식날 후손 없이 죽은 할머니를 위하여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에 춘심이 할머니가 머슴 현영감과 같이 들어와 살다가 죽을 때 모든 재산을 마을에 기증하였다. 마을에서는 춘심이 할머니와 머슴 현영감을 마을 수살 밖의 양지바른 작골에 묘를 만들고 매년 벌초도 하고 한식날 제사를 지내주고 있다. 춘심이...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금강대도의 창시자. 이승여(李承如)[1874~1934]는 세종 지역에서 신종교 금강대도를 창시한 종교인이다. 이승여의 본관(本貫)은 한산(韓山)으로, 고려 후기 유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18세손이다. 1874년 5월 19일 강원도 통천군 답전면 포항리에서 태어나서 자랐다. 1906년 종교적 체험을 통해 대도(大道)[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신방리에 있는 가톨릭 계열의 4년제 사립 대학교. 교육 이념은 비움, 배움, 섬김이다. 교육 목적은 성숙한 인간, 성숙한 그리스도인,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사제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자신을 비우는 겸손한 사제, 둘째 하느님께 전적으로 신뢰하는 깨끗한 사제, 셋째 하느님 백성을 섬기는 사제이다. 생활지표는 기도하는 삶, 일하는 삶, 건전한 취미생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신방리에 있는 가톨릭 계열의 4년제 사립 대학교. 교육 이념은 비움, 배움, 섬김이다. 교육 목적은 성숙한 인간, 성숙한 그리스도인,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사제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자신을 비우는 겸손한 사제, 둘째 하느님께 전적으로 신뢰하는 깨끗한 사제, 셋째 하느님 백성을 섬기는 사제이다. 생활지표는 기도하는 삶, 일하는 삶, 건전한 취미생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신방리에 있는 가톨릭 계열의 4년제 사립 대학교. 교육 이념은 비움, 배움, 섬김이다. 교육 목적은 성숙한 인간, 성숙한 그리스도인,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사제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자신을 비우는 겸손한 사제, 둘째 하느님께 전적으로 신뢰하는 깨끗한 사제, 셋째 하느님 백성을 섬기는 사제이다. 생활지표는 기도하는 삶, 일하는 삶, 건전한 취미생활...
-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에 있는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 공동 출연 종합정책연구기관. 대전세종연구원은 2001년 대전발전연구원으로 설립된 것을 기반으로 하여 2016년에 개원하였다. 대전세종연구원은 자치와 행정, 경제와 산업, 도시계획과 도시재생, 교통, 환경, 문화, 복지, 과학정책, 여성과 아동, 공동체, 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대...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남리에 있는 초·중등 대안학교. ‘숲과 나들이로 크는 아이들’이라는 제목으로 아이들이 숲 냄새 및 바람소리를 느끼며 꽃과 곤충, 자연과 친구가 되어 자라는 것이다. 또한 책과 나들이를 통해서 지식이 아닌 지혜로 나와 타인을 사랑하고 인정하며 적극적으로 살아가는 삶의 기초를 다지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서 대전자유학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대전지방법원 산하의 등기 사무 기관. 등기사무를 취급하는 국가기관이며, 세종특별자치시를 관할하는 등기소이다. 대전지방법원 세종등기소는 세종특별자치시 관할의 등기 업무 및 등기부 등·초본 발급 등에 대한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47년 1월 1일 대전지방심리원 조치원 등기소로 개설되고 1948년 6월 1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대전지방법원 산하 법원. 대전지방법원의 사무 중 세종특별자치시 관할 내에서 발생하는 일부 사무를 처리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1915년 공주지방법원 조치원 출장소로 개소하였으며, 1938년 7월 1일 대전지방법원 조치원 출장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광복 후 1947년 1월 1일 대전지방 심리원 조치원 등기소로 출범하였고...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대전지방법원 산하의 등기 사무 기관. 등기사무를 취급하는 국가기관이며, 세종특별자치시를 관할하는 등기소이다. 대전지방법원 세종등기소는 세종특별자치시 관할의 등기 업무 및 등기부 등·초본 발급 등에 대한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47년 1월 1일 대전지방심리원 조치원 등기소로 개설되고 1948년 6월 1일...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대통령기록물 전문 보존 기관. 대통령기록관은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의 국정운영 기록을 철저히 수집·관리하여 국민에게 적극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역사인식의 기틀을 마련하고, 국정운영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여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 설립 목적이 있다. 2007년 12월에 대통령기록관을 설립(성남 서울기록관)하였고, 2015년 11...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과 나성동을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대평리에 있는 나루라는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대평리나루의 금강 건너편 나성리(羅城里)에는 나성나루가 있었다. 나성나루[羅里津]는 나리포(羅里鋪)가 있던 곳이다. 본래 나리포는 1720년경 진휼청에서 흉년에 대비하여 공주와 연기의 접경 지역에 설치한 창고였다. 선박으로 인근 지방의 곡물을 매...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대평동은 이전의 대평리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대평동은 해들마을로도 불리는데, 해가 대평동 지역을 따스하게 비춘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대평동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소비포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공주군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기군 금남면에 편입되었다. 2012년 7월...
-
1946년 현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인근의 금강 제방이 홍수로 붕괴된 수해 사건.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은 조선시대 공주목 양야리면(陽也里面)에 속하였다. 1908년에 감성장(4일, 9일)을 폐지하고 대평장(2일, 7일)을 신설하면서 5일장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충청남도 연기군으로 편입되면서 명탄면과 합하여 금남면 관할이 되었다. 이때 대평...
-
1950년 6·25전쟁 당시 금강에서 벌어진 전투. 개미고개 전투 이후 조치원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던 미군은 금강 방어를 위하여 1950년 7월 12일 금강의 남쪽인 공주와 대평리[대평동]로 이동하였다. 미군은 금강을 건넌 후 금강의 다리들을 폭파하고 금강 남쪽 제방에서 포격 준비를 하였다. 1950년 7월 13일 낮 미군 제24사단 제19연대는 제21...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과 나성동을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대평리에 있는 나루라는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대평리나루의 금강 건너편 나성리(羅城里)에는 나성나루가 있었다. 나성나루[羅里津]는 나리포(羅里鋪)가 있던 곳이다. 본래 나리포는 1720년경 진휼청에서 흉년에 대비하여 공주와 연기의 접경 지역에 설치한 창고였다. 선박으로 인근 지방의 곡물을 매...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대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타인과 어울리는 학생, 민주적 참여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과 마음이 성장하는 민주적인 우리이다. 2018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고, 인증지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2019년...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대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타인과 어울리는 학생, 민주적 참여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과 마음이 성장하는 민주적인 우리이다. 2018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고, 인증지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2019년...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대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타인과 어울리는 학생, 민주적 참여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과 마음이 성장하는 민주적인 우리이다. 2018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고, 인증지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2019년...
-
세종특별자치시 종촌동에 있는 장애인 종합 복지 센터. 세종특별자치시 종촌종합복지센터 내 5개 시설 중 하나이다. 장애인주간보호센터에서는 기초서비스 지원, 일상서비스 지원, 건강서비스 지원, 자립서비스 지원, 여가서비스 지원 등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장애인주간보호센터는 자비의 빛으로 나눔과 사랑을 실천하며 서로의 치유·자립·...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곡리 모시터마을 주민들이 서낭신에게 지내던 고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곡리 모시터마을의 산신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오후 5시경에 지낸다. 예전에는 주민 가운데 깨끗한 사람을 가려 제관으로 삼고 서낭제를 지내게 하였다. 그러다가 2016년부터 마을 전체 가구 35호를 7개 조로 나누고 조별로 돌아가며 서낭제를 지내도록 하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와 유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덕고개는 돛고개 또는 덕현이라 한다. 높고 험한 차령산맥이 지나가면서 중부 충청남도 천안시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연결하는, 우마차가 다닐 수 있는 낮은 고개이다. 남한에서 추풍령 다음 가는 분수령이다. 덕고개나 덕현(德峴)이라는 지명은 보통 크고 중요한 곳 또는 으뜸인 곳에 ‘덕(德)’자가...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 덕용동 마을 앞길에서 둥구나무와 거리에서 지내는 제사. 덕용동 거리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 덕용동 마을 앞으로 이어지는 대로 입구에서 지내는 거리제다. 거리제를 지내기 전 마을 내에 있는 느티나무에서 둥구나무제를 지내는데 매년 정초에 길일을 정하여 지낸다. 둥구나무제를 지내는 느티나무는 1996년 보호수로 지...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 덕용동 마을 앞길에서 둥구나무와 거리에서 지내는 제사. 덕용동 거리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 덕용동 마을 앞으로 이어지는 대로 입구에서 지내는 거리제다. 거리제를 지내기 전 마을 내에 있는 느티나무에서 둥구나무제를 지내는데 매년 정초에 길일을 정하여 지낸다. 둥구나무제를 지내는 느티나무는 1996년 보호수로 지...
-
통일신라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적오현(赤烏縣)은 통일신라시대 지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149권, 지리지(地理志) 충청도(忠淸道) 공주목(公州牧)에 “덕진(德津)은 본래 백제시대에 소비포현(所北浦縣)이었는데...
-
통일신라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적오현(赤烏縣)은 통일신라시대 지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149권, 지리지(地理志) 충청도(忠淸道) 공주목(公州牧)에 “덕진(德津)은 본래 백제시대에 소비포현(所北浦縣)이었는데...
-
일제강점기 활동하였던 유학자이자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의 병산사에 봉안된 인물. 성기운(成璣運)[1877~1956]은 일제강점기 활동하였던 유학자로 한말의 유학자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의 문인으로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났다. 1917년 5월 24일 호적령(戶籍令)에 반대하여 호적을 거부하다 네 차례에 걸쳐 구속과 석방을 반복하였다. 1928년에는...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와 유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덕고개는 돛고개 또는 덕현이라 한다. 높고 험한 차령산맥이 지나가면서 중부 충청남도 천안시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연결하는, 우마차가 다닐 수 있는 낮은 고개이다. 남한에서 추풍령 다음 가는 분수령이다. 덕고개나 덕현(德峴)이라는 지명은 보통 크고 중요한 곳 또는 으뜸인 곳에 ‘덕(德)’자가...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속한 법정리. 도계리는 장군면의 중앙부에 있으며, 송문리·평기리·대교리·봉안리·은용리·하봉리·송정리와 맞닿아 있는 마을이다. 도계(道溪)라는 명칭은 한다리의 맑은 계류(溪流)를 높이 샀다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도계리는 백제시대 때 웅천, 신라시대 때 웅주에 해당하였다. 고려시대 때는 공주목에 속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공주군 장...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에서 사회적 경제 기능을 수행하던 거대한 규모의 장터 두레.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 장터 두레는 도계들 전역에 걸쳐 있던 거대한 규모의 두레로 범위가 1,000마지기에 달하고 80여 호의 민가를 아울렀다고 전한다. 장을 포함한 두레인 탓에 경제적인 면에서 상당히 활성화된 두레였으며, 다양한 문화가 뒤섞여 있었다는 특징을 띤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도남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로 『한국지명총람』에서 확인되는 마을 이름으로는 남월[나몰, 목동], 불티[불재, 되너머, 화티], 성강재[성재, 성티], 안골[안지울, 반영] 등이 있다. 산의 남쪽에 있다 하여 도남(道南)이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불티, 성강재, 안골마을 등이 있다. 금남면 도남리는...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도담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Glocal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공동체 의식으로 소통하고 배려하는 사람[더불어 사는 사람], 건전한 가치관으로 심신이 조화로운 사람[건강한 사람],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고 즐길 줄 아는 사람[교양 있는 사람], 다양한 발상으로 새로운...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도담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Glocal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공동체 의식으로 소통하고 배려하는 사람[더불어 사는 사람], 건전한 가치관으로 심신이 조화로운 사람[건강한 사람], 문화와 예술을 이해하고 즐길 줄 아는 사람[교양 있는 사람], 다양한 발상으로 새로운...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도담동이라는 명칭에는 야무지고 탐스럽게 살기 좋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도담동은 도램 마을로도 불리는데, 이는 도담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 명칭 가운데 도램말을 활용한 것이다. 도램말은 방축리의 지형이 황소의 뚜레[고삐]와 닮아 불리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 조선시대에는 연기현에 속했다. 1...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도담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다양한 빛깔의 도전,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도·담·인 육성’이다. 도담중학교는 혁신학교로서 ‘존중과 배려의 민주적 학교 운영, 자율과 협력의 생활공동체 운영, 배우고 나누고 성장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 창의·지성의 행복한 교육과정 운영’을 학교 혁신 4대 과제로 삼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도담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다양한 빛깔의 도전,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도·담·인 육성’이다. 도담중학교는 혁신학교로서 ‘존중과 배려의 민주적 학교 운영, 자율과 협력의 생활공동체 운영, 배우고 나누고 성장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 창의·지성의 행복한 교육과정 운영’을 학교 혁신 4대 과제로 삼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도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소질과 재능을 키워 진로를 탐색하는 학생,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는 건강한 학생,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며 ‘큰 꿈을 키워 미래를 여는 도담교육’이다. 교훈은 높게, 넓게, 함께이다. 도담초등학교는 2013년 3월 1일 7학급으로 개교하여 20...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도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소질과 재능을 키워 진로를 탐색하는 학생,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는 건강한 학생,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며 ‘큰 꿈을 키워 미래를 여는 도담교육’이다. 교훈은 높게, 넓게, 함께이다. 도담초등학교는 2013년 3월 1일 7학급으로 개교하여 20...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도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소질과 재능을 키워 진로를 탐색하는 학생,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는 건강한 학생,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며 ‘큰 꿈을 키워 미래를 여는 도담교육’이다. 교훈은 높게, 넓게, 함께이다. 도담초등학교는 2013년 3월 1일 7학급으로 개교하여 20...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도담동이라는 명칭에는 야무지고 탐스럽게 살기 좋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도담동은 도램 마을로도 불리는데, 이는 도담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 명칭 가운데 도램말을 활용한 것이다. 도램말은 방축리의 지형이 황소의 뚜레[고삐]와 닮아 불리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 조선시대에는 연기현에 속했다. 1...
-
세종 지역에서 보행 및 자동차 통행의 편리를 위해 시설을 갖춘 길. 세종 지역의 도로라 함은 인적·물적 교통에 이용되는 것으로 관계 법령에 의거하여 해당 위치의 신설 또는 변경에 관한 사항이 고시된 것을 일컫는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도로는 시민의 보행 및 자동차 통행의 편리를 위해 일정한 너비·터널·교량 등의 시설을 갖추고 관계 법령에 따라 고시가 이루어진 것이...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뒷산이 성(城)과 같아서 성재·성작골·도맥(道脈)이라고도 불렀는데 남양홍씨 학자 가운데 성제(性劑)라는 사람이 있어 마을을 성제로 많이 호칭하였다. 마을 명칭에서 제가 재로 바뀐 것은 한자 표기의 오류이다. 성제리에는 둥구리재, 서당골, 새말, 골말, 성뜸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둥구리재마을은 성제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
세종 지역의 금강이나 미호천 등에서 배가 건너다니던 곳. 내륙수로 교통 기능을 담당하였던 나루와 나루터는 비교적 수심이 얕고 물의 흐름이 빠르지 않은 연안에 있었다. 나룻배는 이웃 마을을 연결해주는 중요 교통수단이었다. 금강과 미호천 연안의 나루는 뱃길과 육로[조선시대의 역로]교통이 교차하는 요충지였다. 세종특별자치시 남쪽을 동서로 흘러 서해로 유입하는 금강은 조선시대...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대평동은 이전의 대평리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대평동은 해들마을로도 불리는데, 해가 대평동 지역을 따스하게 비춘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대평동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소비포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공주군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기군 금남면에 편입되었다. 2012년 7월...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소담동은 생김새가 탐스럽고, 행복이 가득한 풍요로운 주거 단지를 의미하는 한글 명칭이다. 소담동은 새샘마을로도 불리는데, 소담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 명칭 가운데 새샘골을 활용한 것이다. 석삼리의 새삼골은 새로 판 샘이 있는 골짜기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소담동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소비포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 고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도암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이다. 자연마을 외촌은 도암1리, 자연마을 내촌은 도암2리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지명총람』에서는 마을의 지명 유래에 관해 명암리는 바위에 구멍이 있어 소리를 지르면 울려 나오는 울바위[鳴巖]가 있고, 행정[행정리, 바깥말, 외촌]은 도암리 바깥쪽에 있는 마을로 은행나무...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에 있는 화순최씨 집안의 제사를 위한 계.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 화순최씨 집안에서 제사를 위하여 계를 만들고 금전출납부를 남겼다.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의 화순최씨는 매년 음력 10월 10일에 시제(時祭)[음력 10월에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를 지낸다. 시제날에는 일가친척을 포함하여 대략 40~...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화순최씨 종중 재실. 금남 모인당(慕忍堂)은 도암리 화순최씨(和順崔氏) 입향조인 최은(崔垠)[1400년대 후반]과 부친 도승지 최중온(崔重溫), 조부 참판공 최한정(崔漢禎)[1427~1486], 최은의 아들 최세계(崔世溪)의 화순최씨 집안 재실(齋室)[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이다. 화순최씨는 고려 때 경주최...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화순최씨 종중 재실. 금남 모인당(慕忍堂)은 도암리 화순최씨(和順崔氏) 입향조인 최은(崔垠)[1400년대 후반]과 부친 도승지 최중온(崔重溫), 조부 참판공 최한정(崔漢禎)[1427~1486], 최은의 아들 최세계(崔世溪)의 화순최씨 집안 재실(齋室)[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이다. 화순최씨는 고려 때 경주최...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종도원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심신으로 꿈과 끼를 키우는 학생, 기초 기본실력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며 즐기는 학생,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더불어 사는 학생’이다. 창의인성교육으로 미래인재를 키우는 행복자람 세종도원교육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훈은 ‘더 크게! 보다 새롭게! 모두...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종도원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심신으로 꿈과 끼를 키우는 학생, 기초 기본실력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며 즐기는 학생,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더불어 사는 학생’이다. 창의인성교육으로 미래인재를 키우는 행복자람 세종도원교육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훈은 ‘더 크게! 보다 새롭게! 모두...
-
조선 후기 독락정의 기문을 새긴 현판. 독락정은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금강 변에 있는 누정(樓亭)이다. 양양도호부사(襄陽都護府使)를 지낸 임목(林穆)[1371~1448]이 고려 멸망 후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부친 임난수(林蘭秀)[1342~1407]의 절의를 기리기 위하여 가묘(家廟)와 함께 세웠다고 전해진다. 수많은 시인묵객(詩人墨客)이 이 정자를 다녀갔으며, 시문(詩文...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에서 일제에 항거하여 전개된 일제 저항 운동.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면서 전국 도처에서 항일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1910년 일제가 대한제국을 병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하자 일제에 대한 불만과 저항의식은 최고조에 달하였다. 그런 가운데 1919년 한반도의 진정한 주인은 한국민임을 대외에 천명하는 일대 사건이 일어났다. 바로 3·1 운동이었다. 이때부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동교리는 구교동·동촌·모산리 등을 병합하고 동촌과 구교동의 이름을 따서 동교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동촌·도램말·산직말 등이 있다. 동촌은 전의면 읍내리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도램말은 동촌의 동남쪽 산 모롱이를 돌아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산직말마을은 산직집이 있었다고 하여...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보통리와 연동면 용호리를 이어 주던 미호천의 나루. 연기면의 동쪽, 즉 연동면[옛 동면]에 있는 나루[津]라는 뜻에서 유래한 나루이다. 동진나루는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용호리의 서쪽에 있던 미호천 연안의 나루이다. 옛 연기의 주민들은 동진나루를 거쳐 부강과 문의로 가거나 연동면 문주리와 내판리를 거쳐 청주로 오갔다. 조선시대에는...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과 충청북도 청주시 옥산면에 남북으로 뻗은 능선과 북서쪽으로 분기한 지맥의 산이다. 동림산(東林山)[457.3m]은 동쪽에 있는 숲이 우거진 산이라는 의미이지만 처음엔 오동나무가 많아 오동나무 동(桐)자를 써서 동림산(桐林山)이라 불렀다고 한다. 지질은...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과 충청북도 청주시 옥산면에 남북으로 뻗은 능선과 북서쪽으로 분기한 지맥의 산이다. 동림산(東林山)[457.3m]은 동쪽에 있는 숲이 우거진 산이라는 의미이지만 처음엔 오동나무가 많아 오동나무 동(桐)자를 써서 동림산(桐林山)이라 불렀다고 한다. 지질은...
-
세종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 세종특별자치시의 포유류는 식육류, 설치류, 식충류, 익수류 등이 서식하고 있다. 식육류로는 족제비, 수달, 오소리, 산달, 갯과, 너구리 등이 있다. 설치류로는 산토끼, 다람쥐, 쥐, 시궁쥐, 곰쥐, 생쥐, 등줄쥐 등이 있다. 식충류로는 두더지가 세종특별자치시 전역에 걸쳐 서식하고 있으며, 고슴도치 또한 세종특별자치시 내에 다...
-
세종 지역의 동을 관할하는 행정기관의 명칭. 주민센터는 종전의 동사무소 명칭을 개칭한 용어라 할 수 있다. 종전의 동사무소는 최일선 행정기관으로서 단순민원 등 행정업무를 처리하였다. 이러한 행정사무에 덧붙여 복지·문화·평생교육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하고 그에 걸맞게 2007년 7월부터 주민센터라는 용어로 바꾼 것이다. 1955년 시 단위 동...
-
고려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수군 명장. 이천은 대몽 항쟁기(對蒙抗爭期)의 수군 명장으로 응양군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역임하였다. 이후 지례부사(知禮部事) 등의 관직을 거쳐 1260년(원종 원년)에 중서시중문화평장사(中書侍中門下平章事)를 역임하였다. 이천(李仟)의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수덕(樹德), 호는 동암수(東巖叟)이며 『고려사(高麗史)』에는 이름이...
-
세종 지역에서 같은 성씨가 오랜 기간 한 마을을 이루어 살고 있는 마을. 집성촌은 혈연관계가 있는 동성 집단이 이룬 마을로서 하나의 성씨가 특정 마을의 주도권을 가지고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마을이다. 집성촌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에 형성되어 500~600년의 전통을 지닌 마을들과 임진왜란 이후 조선 후기에 이거 정착하여 300~400년의 전통을 지닌 마을들로 이루어져...
-
세종 지역의 동을 관할하는 행정기관의 명칭. 주민센터는 종전의 동사무소 명칭을 개칭한 용어라 할 수 있다. 종전의 동사무소는 최일선 행정기관으로서 단순민원 등 행정업무를 처리하였다. 이러한 행정사무에 덧붙여 복지·문화·평생교육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하고 그에 걸맞게 2007년 7월부터 주민센터라는 용어로 바꾼 것이다. 1955년 시 단위 동...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보통리와 연동면 용호리를 이어 주던 미호천의 나루. 연기면의 동쪽, 즉 연동면[옛 동면]에 있는 나루[津]라는 뜻에서 유래한 나루이다. 동진나루는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용호리의 서쪽에 있던 미호천 연안의 나루이다. 옛 연기의 주민들은 동진나루를 거쳐 부강과 문의로 가거나 연동면 문주리와 내판리를 거쳐 청주로 오갔다. 조선시대에는...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보통리와 연동면 용호리를 이어 주던 미호천의 나루. 연기면의 동쪽, 즉 연동면[옛 동면]에 있는 나루[津]라는 뜻에서 유래한 나루이다. 동진나루는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용호리의 서쪽에 있던 미호천 연안의 나루이다. 옛 연기의 주민들은 동진나루를 거쳐 부강과 문의로 가거나 연동면 문주리와 내판리를 거쳐 청주로 오갔다. 조선시대에는...
-
1894년 세종 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굳어 가자 일본인들은 지배자 행세를 시작하였고, 특히 조선에 이민 온 하층민의 행패가 심하였다. 청나라 군대의 진입을 막기 위하여 잠시 물러난 동학군은 이번에는 일본군과 무능한 조정에 저항하기 위하여 갑오년 9월 일제히 봉기하였다. 전라도의 남접과 충청도의 북접이 힘을 합하였으며, 2대 교주 최시형의 교령을 받...
-
1894년 세종 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굳어 가자 일본인들은 지배자 행세를 시작하였고, 특히 조선에 이민 온 하층민의 행패가 심하였다. 청나라 군대의 진입을 막기 위하여 잠시 물러난 동학군은 이번에는 일본군과 무능한 조정에 저항하기 위하여 갑오년 9월 일제히 봉기하였다. 전라도의 남접과 충청도의 북접이 힘을 합하였으며, 2대 교주 최시형의 교령을 받...
-
1894년 세종 지역에서 일어난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굳어 가자 일본인들은 지배자 행세를 시작하였고, 특히 조선에 이민 온 하층민의 행패가 심하였다. 청나라 군대의 진입을 막기 위하여 잠시 물러난 동학군은 이번에는 일본군과 무능한 조정에 저항하기 위하여 갑오년 9월 일제히 봉기하였다. 전라도의 남접과 충청도의 북접이 힘을 합하였으며, 2대 교주 최시형의 교령을 받...
-
세종 지역의 동을 관할하는 행정기관의 명칭. 주민센터는 종전의 동사무소 명칭을 개칭한 용어라 할 수 있다. 종전의 동사무소는 최일선 행정기관으로서 단순민원 등 행정업무를 처리하였다. 이러한 행정사무에 덧붙여 복지·문화·평생교육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하고 그에 걸맞게 2007년 7월부터 주민센터라는 용어로 바꾼 것이다. 1955년 시 단위 동...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와 유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덕고개는 돛고개 또는 덕현이라 한다. 높고 험한 차령산맥이 지나가면서 중부 충청남도 천안시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을 연결하는, 우마차가 다닐 수 있는 낮은 고개이다. 남한에서 추풍령 다음 가는 분수령이다. 덕고개나 덕현(德峴)이라는 지명은 보통 크고 중요한 곳 또는 으뜸인 곳에 ‘덕(德)’자가...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두루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창의적인 사고로 꿈을 실현하는 두루인 양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품성이 바르고 서로 배려하며 존중하는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사람[도덕인], 알찬 실력으로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창의인], 인성·지성·감성으로 꿈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진로인], 스스로...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두루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창의적인 사고로 꿈을 실현하는 두루인 양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품성이 바르고 서로 배려하며 존중하는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사람[도덕인], 알찬 실력으로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창의인], 인성·지성·감성으로 꿈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진로인], 스스로...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두루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바른 품성으로 꿈을 키우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적 탐구로 꿈을 이루기 위한 실력을 갖춘 창의인, 자기이해와 개성을 바탕으로 내일을 준비하는 자주인, 대화와 협력으로 공동체와 더불어 사는 배려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문화적 소양을 갖춘 건강인 육성을 구현 중...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두루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바른 품성으로 꿈을 키우는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적 탐구로 꿈을 이루기 위한 실력을 갖춘 창의인, 자기이해와 개성을 바탕으로 내일을 준비하는 자주인, 대화와 협력으로 공동체와 더불어 사는 배려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문화적 소양을 갖춘 건강인 육성을 구현 중...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두루초등학교의 교훈은 ‘높게 따뜻하게 함께’이다. ‘높게’는 신나게 배우며 창의적인 생각으로 건강한 꿈을 키워 가는 두루 어린이, ‘따뜻하게’는 배려와 예를 가슴에 품고 사랑을 펼치는 두루 어린이, ‘함께’는 공감하고 경청하며 즐거움을 나누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교육 목표를 담고 있다. 2015년 2월 17일 준공식을 갖고 20...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두루초등학교의 교훈은 ‘높게 따뜻하게 함께’이다. ‘높게’는 신나게 배우며 창의적인 생각으로 건강한 꿈을 키워 가는 두루 어린이, ‘따뜻하게’는 배려와 예를 가슴에 품고 사랑을 펼치는 두루 어린이, ‘함께’는 공감하고 경청하며 즐거움을 나누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교육 목표를 담고 있다. 2015년 2월 17일 준공식을 갖고 20...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두루초등학교의 교훈은 ‘높게 따뜻하게 함께’이다. ‘높게’는 신나게 배우며 창의적인 생각으로 건강한 꿈을 키워 가는 두루 어린이, ‘따뜻하게’는 배려와 예를 가슴에 품고 사랑을 펼치는 두루 어린이, ‘함께’는 공감하고 경청하며 즐거움을 나누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교육 목표를 담고 있다. 2015년 2월 17일 준공식을 갖고 20...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두만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이다. 두만1리에는 자연마을 원두만이 있고 두만2리에는 자연마을 산동이 있다. 『한국지명총람』에서는 두만리[두메안, 두만]의 지명 유래에 대해 산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두메안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두만이라 하였다고 설명한다. 원두만은 두만리의 원 마을이다. 옛날 두만리 지...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연기현(燕岐縣)은 조선 건국 이후 1413년(태종 13) 전국적인 지방제도 개편 때 제정되어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으며, 1895년(고종 32) 현(縣)을 군(郡)으로 일괄 개칭할 때 연기군으로 개칭되어 유지되다가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세종특별자치시에 흡수·폐지되었다. 1...
-
백제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두잉지현(豆仍只縣)은 백제시대 지명으로, 오늘날 정부세종청사를 포함한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의 백제시대 지명이다. ‘두잉지’의 어의와 어형에 대한 언어학 연구를 통하여 ‘두 내가 합쳐진다’는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된 바 있다. 연기면이 ‘미호천’과 ‘금강’이 합류하는 지역에 해당...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금사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어물리,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원덕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금사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어물리,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원덕리 등 3개 시의 경계 선상에 있는 산이다. 국사봉(國士峰)[402.7m] 누리길 안내에 의하면 고려 후기에 어지러운 국운을 바로잡기 위하여 3정...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속한 법정리. 한별은 큰 별을 의미하는 한글 명칭으로, 큰 별처럼 푸르고 아름다운 주거단지를 상징한다. 한별리는 둔지미 마을로도 불린다. 둔지미는 ‘둔전으로 부치던 밭이 있는 마을’에서 유래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신라시대 경덕왕 때는 연산군, 조선 전기에는 연기현에 속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연기군 군내면 지역이었고 1914년에는 연기...
-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에서 정월 보름날 나무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 마을마다 둥구나무[크고 오래된 정자 나무]가 있다. 한여름에 그늘을 드리워서 쉼터 역할도 하지만 대개는 몇 백년 동안 마을을 지켜보고 있었기 때문에 마을 사정을 잘 알 뿐만 아니라 영험이 있어 마을사람들이 소원하는 것을 들어준다고 생각하여 정월보름날 이곳에서 목신제를 지낸다. 세...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평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수원지 주변 마을과 서창1리 배수장 주변 마을을 통칭하는 지명으로, 일명 후평(後坪) 또는 ‘뒷말’이라고도 불리었다. 평리는 『추운실기(鄒雲實記)』에 의하면 청주목 서강외 일하면 장대리 지역으로, 일명 조치원으로도 불리던 곳이다.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장원...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등곡리(登谷里)는 부강리 남동쪽에 있으며 등곡1리와 등곡2리로 나뉜다. 등곡리에는 다음과 같은 마을이 있다. 존들은 등곡1리 지역으로 등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갓점은 등곡2리 지역으로 갓을 만들어 파는 가게라는 뜻이다. 등골은 등곡 2리의 중심을 이루는 마을로 화봉산 아래에 있다. 오야고개는 등곡2리 지역으...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서 정월대보름 동제의 하나로 행하던 불꽃 놀이.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서 정월대보름 동제의 하나로 달집 태우기 및 탑제와 함께 행하는 놀이이다. 관화형(觀火型) 줄불놀이에 속한다. 낙화놀이는 뽕나무 숯가루, 사금파리가루, 소금, 목화솜 등을 넣어 만든 낙화봉을 줄에 매달아 놓고 불을 붙여 불꽃을 내리는 놀이다. 등곡리 주민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석종형 부도. 등곡리 부도는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안치한 묘탑으로, 고려 후기부터 건립되어 조선 후기 전국적으로 유행한 석종형(石鐘形) 부도이다. 명문이 없어 부도의 주인공은 알 수 없다. 등곡리 부도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문헌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사찰의 연혁을 확인할 수 없다. 부도 형태로 보아 조...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 조은들마을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돌탑에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는 노고봉(老姑峰)[305.1m] 밑으로 골짜기를 따라서 논과 밭이 늘어선 가운데에 윗말과 아랫말이 있다. 등곡1리 마을회관 부근이 아랫말이다. 아랫말 어귀에 있는 탑이 1기를 아랫탑 또는 아랫말탑이라고 부른다. 탑 뒤편에는 고목(古木)이 있다....
-
1974년 조치원 YWCA 내에 설립된 민간 사회 교육 시설. 사랑의 공간을 제공하여 인간의 기본적 권리인 교육을 받을 권리를 지지하며, 숭고한 사랑의 실천을 교육 이념으로 하는 야간학교이다. 1974년 5월 1일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 YWCA가 주축이 되어 직업여성 야간학교를 설립하였다. 예산 확보와 교재 구입의 어려움 때문에 서점에서 외상으로 2만원 상당의 교재를 구입하였는데...
-
세종특별자치시 일대에서 재배되는 과일. 세종특별자치시 농특산물로 지정되어 있는 딸기는 단맛과 신맛이 잘 조화되고 맛이 산뜻하며 향기가 좋은 장미과 다년초이다. 연서면, 연동면의 100여 농가 시설하우스에서 주로 재배된다. 20여 년 전부터 한 집 두 집 딸기를 재배하여 2018년에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역에 100곳이 넘는 딸기농장이 있으며, 세종특별자치시 특상품으로 자리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상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법정리이며, 상1리[상리 북부, 위뗏집거리]와 상2리[상리 남부, 아래뗏집거리]로 나뉜다. 상리 동쪽에 조천이 있으며, 조천교를 통해 충청북도 청주시와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이다. 상리는 일제강점기에 마을이 형성되기 전에는 하천이었던 자리였다. 하천을 둑으로 막으면서 부지가...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용암리 띠울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느티나무 고목에 지내는 마을 제사.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용암2리 띠울마을에서 수령 550년의 느티나무 고목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올리는 마을 제사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신목인 느티나무는 세종특별자치시 보호수 1982-3호로 지정되어 있다. 띠울 둥구나무제의 연원...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용암리 띠울마을에서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느티나무 고목에 지내는 마을 제사.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용암2리 띠울마을에서 수령 550년의 느티나무 고목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올리는 마을 제사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신목인 느티나무는 세종특별자치시 보호수 1982-3호로 지정되어 있다. 띠울 둥구나무제의 연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상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법정리이며, 상1리[상리 북부, 위뗏집거리]와 상2리[상리 남부, 아래뗏집거리]로 나뉜다. 상리 동쪽에 조천이 있으며, 조천교를 통해 충청북도 청주시와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이다. 상리는 일제강점기에 마을이 형성되기 전에는 하천이었던 자리였다. 하천을 둑으로 막으면서 부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