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조선 초기 태종에 의한 태자(太子)의 난(亂) 때 신천강씨인 신덕왕후 강씨(康氏)의 일족이 화를 입게 되어 발산리로 피란하여 숨어 살았는데, 그 후 송시열(宋時烈) 등 많은 학자들의 탄원에 의하여 관원(官員)의 등용(登用)이 허락되었다. 그때 영조조(英祖朝)의 후손인 강씨부자(康氏父子)가 거듭 대과(大科)[과거(科擧)의 문과와 무과를...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등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의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경부고속철도가 고등터널로 통과한다. 고등고개는 소정면 고등리에서 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라는 의미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등산(高登山)[229.9m]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일부 향토지에는 고등이고개·고등...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바람재·백중재·백령재·백정재라고도 불린다.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 청룡안에서 금천리에 있는 금강대도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 산적이 많아 장정 백 명이 모여야 무사히 넘을 수 있었다 하여 백정이고개라 불렀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죽림리에 있는 바르게살기운동 세종시 협의회. 바르게살기운동 세종시협의회는 1989년 바르게살기운동 충청남도 연기군협의회를 창립하면서 활동을 시작하였고, 이후 국토 대청결 운동과 바른삶 실천대회 등을 통하여 시민의식개혁운동을 펼치고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시민운동단체이다. 바르게살기운동 세종시협의회의 설립 목적은 진실·질서·화합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죽림리에 있는 바르게살기운동 세종시 협의회. 바르게살기운동 세종시협의회는 1989년 바르게살기운동 충청남도 연기군협의회를 창립하면서 활동을 시작하였고, 이후 국토 대청결 운동과 바른삶 실천대회 등을 통하여 시민의식개혁운동을 펼치고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시민운동단체이다. 바르게살기운동 세종시협의회의 설립 목적은 진실·질서·화합의...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은용리에 있는 저수지. 바탕골저수지는 본래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은용리에 속하여 있던 저수지였으나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하여 장군면으로 속하게 되었다. 바탕골저수지의 제방 구조는 흙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홍수 조절을 위하여 여수로(餘水路)[수력 발전소나 저수지 등에서 물이 일정량을 넘을 때 여분의 물을 빼내기...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열녀. 박기정의 부인으로, 남편은 무안박씨이다. 혼례 후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이 죽자 수절하였다. 홀로 시모를 극진히 봉양하고 양자를 들여 가문의 대를 잇게 한 열녀이다. 아버지는 광산(光山) 사람 김귀택(金龜澤)이다. 광산김씨는 무안 사람 박기정(朴基鼎)과 혼례를 치르고 3일 만에 남편과 재행(再行)[혼인한 뒤에 신랑이 처음으로...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노일(朴魯一)[1923~1976]은 한국광복군에 참여한 인물이다. 박노일은 중국의 허난성[河南省] 카이펑[開封]에서 문상명(文相明), 박일득(朴逸得), 왕세일(王世一), 이건국(李建國), 문수열(文洙烈), 박용운(朴龍雲), 유익배(柳益培), 정희섭(鄭熙燮) 등과 초모(招募)[의병이나 군대에 지망하는 사람을 모집함] 활...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박산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다. 자연마을로는 박산[작약동], 고래뜰[고래실] 등이 있다. 『한국지명총람』에서는 박산리(朴山里)[박산, 작약동]라는 지명과 관련하여 뒷산에 밀양박씨 박참판의 묘소가 있어 박산으로 불렀다고 하고, 또는 산 모양이 작약처럼 생겼다 하여 작약골이라 불렀다고도 하였다. 박참...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박산리 작약골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탑에 지냈던 마을 제사.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마을의 할아버지탑과 할머니탑에서 지내는 마을 제사로, 10여 년 전에 중단되었다. 마을 입향조인 유씨가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하여 탑을 쌓았다고 전한다. 탑은 마을 입구에 2기가 있다. 마을의 버스 정류장 옆에 있는 탑을 윗탑, 남탑, 할아버지탑이라고 부...
-
조선 전기 세종 지역의 순천박씨 입향조. 박안생(朴安生)[?~1439]은 전의면 관정리에 세거하는 순천박씨의 입향조이다. 사육신의 한 명인 박팽년의 조부로, 호는 한석정(寒石亭)이다. 박안생은 순천박씨 1대조 박숙정(朴淑貞)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고려에서 공조전서를 지낸 박원상(朴元象)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로 남양군 언유(彦猷)의 딸이다. 전의 지...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무신이자 효자. 박이명(朴履命)[1823~1890]은 본관이 고령(高靈)이고, 자는 성지(性之)이다. 1857년(철종 8) 무과에 급제한 뒤 남포현감을 지냈다. 박이명은 영성군 박문수(朴文秀)[1691~1756]의 증손이자 박승규의 아들이며, 처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대장의 딸이다. 박이명은 어려서부터 먹을 것이 있으면...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장희(朴壯熙)[1895~1950]는 광복단에 참여하여 군자금을 모집하였다. 박장희는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읍내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서 출생하여 1915년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이후 광복단 등에 참가하여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1년 유하현 삼원포에 설립된 신흥무관학교는 신민회에서 추진한...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으로 사육신 박팽년의 아버지. 박중림(朴仲林)[?~1456]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호는 한석당(閑碩堂), 시호(諡號)는 문민(文愍)이다. 1423년(세종 5)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한 후 많은 관직을 역임하다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 후 아들인 박팽년(朴彭年)을 비롯하여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단종복위운동에...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무신. 박천붕(朴天鵬)[1545~1592]은 본관(本貫)이 밀양이다. 자는 익호(翼乎), 호는 규정(樛亭)이다. 1554년(명종 9) 충청도 연기군 북이면 신리 두옥동[현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서 태어났다.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스승인 조헌의 종사관이 되어 8월 청주전투에서 선봉장으로 적진에 뛰어들었다가 순국(殉國)[나라를...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으로 사육신 중 한 명. 박팽년(朴彭年)[1417~1456]의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자는 인수(仁叟), 호는 취금헌(醉琴軒)이다. 1432년(세종 14)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447년에 문과 중시에 을과로 다시 급제하였다. 1453년(단종 1) 우승지를 거쳐 이듬해 형조참판이 되었으며 많은 관직을 역임 후 집현전에 들어가 당대...
-
금강 중류에 위치한 반곡리는 여양진씨 중심으로 경주김씨, 의성김씨 등 130여 호가 모여 사는 마을이었다. 2005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특별법에 따라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반곡리 주민들은 인근 또는 대전·공주·조치원 등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후 반곡리는 인근의 석삼·장재·반곡·봉기·석교·황용리 일부와 합쳐져 반곡동이 되고 일...
-
금강 중류에 위치한 반곡리는 여양진씨 중심으로 경주김씨, 의성김씨 등 130여 호가 모여 사는 마을이었다. 2005년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특별법에 따라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반곡리 주민들은 인근 또는 대전·공주·조치원 등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후 반곡리는 인근의 석삼·장재·반곡·봉기·석교·황용리 일부와 합쳐져 반곡동이 되고 일...
-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반곡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사랑과 열정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민주시민으로 소통·공감·나눔·배려를 실천하는 반곡인, 배움을 즐기고 탐구·융합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반곡인, 심신이 건강하고 예술적인 감성이 풍부한 반곡인, 자신을 존중하고 꿈을 키우며 진로를 개척하는 반곡인 육...
-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반곡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사랑과 열정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민주시민으로 소통·공감·나눔·배려를 실천하는 반곡인, 배움을 즐기고 탐구·융합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반곡인, 심신이 건강하고 예술적인 감성이 풍부한 반곡인, 자신을 존중하고 꿈을 키우며 진로를 개척하는 반곡인 육...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번암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있는 법정리로, 번암 1·2리로 나뉘어 있다. 번암(磻岩)은 강바위라는 뜻으로, 조천과 미호천 합수 지점인 번암 배수장 앞에 넓고 평평한 바위가 있는데 예부터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유명한 곳이었다. 자연마을로는 번암, 산직말 등이 있다. 번암마을은 번암리가 시작된 마을로, 지명...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발산리 일대에 있는 산. 발산(鉢山)[108.5m]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발산리에 있는 산으로, 발림봉이라고도 한다. 조선 태종 때 왕자의 난으로 이곳에 숨어 살던 영조의 후손 신천강씨 부자가 거듭 대과에 급제하는 경사가 있어 마을의 뒷산을 중광산(重光山)이라 하고 중광산에 중광사(重光寺)라고 하는 절을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발산리 일대에 있는 산. 발산(鉢山)[108.5m]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발산리에 있는 산으로, 발림봉이라고도 한다. 조선 태종 때 왕자의 난으로 이곳에 숨어 살던 영조의 후손 신천강씨 부자가 거듭 대과에 급제하는 경사가 있어 마을의 뒷산을 중광산(重光山)이라 하고 중광산에 중광사(重光寺)라고 하는 절을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조선 초기 태종에 의한 태자(太子)의 난(亂) 때 신천강씨인 신덕왕후 강씨(康氏)의 일족이 화를 입게 되어 발산리로 피란하여 숨어 살았는데, 그 후 송시열(宋時烈) 등 많은 학자들의 탄원에 의하여 관원(官員)의 등용(登用)이 허락되었다. 그때 영조조(英祖朝)의 후손인 강씨부자(康氏父子)가 거듭 대과(大科)[과거(科擧)의 문과와 무과를...
-
용암강다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서 정월 보름날 행하고 있는 마을 전통 민속놀이이다. 본래 강다리는 충청도의 연기군과 공주 지역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였다. 지금은 세종특별자치시의 용암리만이 맥을 이어 오는 민속행사이다.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400여 년 동안 진행하여 왔다고 한다. 강다리기는 조리지희, 시구지희, 혈하의, 견구, 발하, 줄다리기 등 지역이나 시대에...
-
용암강다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서 정월 보름날 행하고 있는 마을 전통 민속놀이이다. 본래 강다리는 충청도의 연기군과 공주 지역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였다. 지금은 세종특별자치시의 용암리만이 맥을 이어 오는 민속행사이다.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400여 년 동안 진행하여 왔다고 한다. 강다리기는 조리지희, 시구지희, 혈하의, 견구, 발하, 줄다리기 등 지역이나 시대에...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대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성남면 봉양리를 연결하는 고개.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대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성남면 봉양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밤실고개라고도 한다. 봉대저수지 위쪽을 밤실이라 하는데 밤실에서 충청남도 천안시 성남면 봉양리 율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일컫는다. 밤실과 율리는 같은 의미로, 밤실고개·밤고개라고도 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대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성남면 봉양리를 연결하는 고개.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대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성남면 봉양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밤실고개라고도 한다. 봉대저수지 위쪽을 밤실이라 하는데 밤실에서 충청남도 천안시 성남면 봉양리 율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일컫는다. 밤실과 율리는 같은 의미로, 밤실고개·밤고개라고도 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대교리에 있는 저수지. 본래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대교리에 속하여 있던 저수지였으나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하여 장군면 대교리에 속하게 되었다. 대교저수지의 제방 구조는 흙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홍수 조절을 위하여 여수로(餘水路)[수력 발전소나 저수지 등에서 물이 일정량을 넘을 때 여분의 물을 빼내기 위하여 만든 물길]를...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에서 소녀들이 둘러앉아 다듬잇방망이를 잡고 노는 신놀이.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에서 소녀들이 노는 놀이는 다양하다. 보리풍년윷놀이·베틀윷놀이·자릿날세기윷놀이·깍데기벗기기윷놀이·말판윷놀이 등 윷놀이, 풍감놀이·춘향각시 등 방안놀이, 콩농사보리농사, 널뛰기, 깡통차기, 숨기장난, 도랑건너뛰기, 물싸움, 얼음배타기, 사방치기, 땅따먹...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침산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있는 법정리이며, 조치원읍의 교외 지역에 해당한다. 침산리(砧山里)라는 지명은 마을 뒷산이 다듬잇돌처럼 길고 평평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일명 방아미라고도 한다. 조선 후기에는 연기현 북면에 있었으며, 당시는 2019년 현재의 침산리 지역과 원리·정리까지를 아우르...
-
세종 지역에서 고유한 체계를 갖추고 사용되는 지역어. 세종특별자치시는 옛 충청남도의 연기군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충청남도 공주시의 장기면과 충청북도 청원군의 부용면 일부를 수용하면서 인위적으로 형성된 지역이다.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공주시, 남쪽으로는 대전광역시, 북쪽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시 및 아산시와 접하게 된다. 이러한 지리적 특...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서 발원하여 제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방축(方丑)’은 조선 후기 ‘도선’이 마을을 보고 방에 든 소같이 생겼다 하여 ‘방축골’이라 불렀으며, 방죽이 있어 ‘방축’이라고도 한다. 방축마을 이름을 본떠 방축천이 되었다. 방축천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흑운모화강암, 반상화강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류는 신생대 제4기 충적층으로 이루어...
-
세종특별자치시 일대에서 재배되는 과일. 세종특별자치시는 중부 내륙에 위치한 배 생육에 최적지이며, 자연환경과 더불어 재배 기술이 뛰어나 질 좋은 배가 생산되는 곳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배 재배는 30여 년의 역사와 축적된 기술을 자랑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수출 품목인 조치원배는 고품질의 명품 과수로서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있으나 고온현상과 재...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의병. 배경걸은 임진왜란 때 중봉 조헌의 종사관으로 들어가 청주성 전투에서 많은 적병을 무찔러 공(功)을 세웠다. 배경걸[1536~1634]은 성산배씨 14세손으로, 자는 호이(豪而), 호는 노천(蘆川)이다. 연동면 노송리의 성산배씨는 녹야당공파로 4대조인 직제학 배유(裵裕)[1403~1472]를 파조로 한다. 청산현감을 지낸 배달...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과 금남면 영곡리를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지명은 금남면 영곡리에 있는 정자 한림정(翰林亭)에서 유래하였다. 한림이란 명칭은 조선 중종 때 한림학사 신준미(申遵美)가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이곳에 은거 중 정자를 지으려고 터를 닦을 때 마침 그 앞을 지나던 젊은이가 말에서 떨어져 죽자 정자 짓는 것을 중단하였고 후세에 신씨 문중이 그 터에 정자를 지어...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바람재·백중재·백령재·백정재라고도 불린다.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 청룡안에서 금천리에 있는 금강대도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 산적이 많아 장정 백 명이 모여야 무사히 넘을 수 있었다 하여 백정이고개라 불렀다...
-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금강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가장 큰 하천이다. 본류는 전라북도 장수군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함께 북쪽으로 흐른다. 충청북도 남서부 지역에서는 북서쪽으로 물길을 바꾸고 지류들과 합쳐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이르러서는 남서 방향으로 물길이 바뀐...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임명즙(林命楫)[1744~1808]의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백섭(伯涉)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지역인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송담리에서 임종유(林宗儒)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임명즙은 어려서부터 남달리 효심이 지극하였다. 할아버지가 병환으로 눕게 되자 어린 나이에도 곁을 떠나지 않고 정성스럽게 간호하였다. 과거...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동인지로 출발하여 계간 정기 간행물로 발행되고 있는 종합 문예지와 발행 단체의 총칭. ‘백수문학’은 1955년 10월 9일 조치원에서 동인회를 창립하고 1956년 3월 28일 창간호 발행 후 반 연간 정기 간행물 변경을 거쳐 계간지로 발전한 문학회 겸 정기간행 종합 문예지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문학 부흥에 이바지하고, 역량 있는 신인을 발굴·...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학자. 오유립(吳裕立)[1575~1658]의 본관(本貫)은 보성(寶城)이다. 초명은 효립(孝立), 자는 백원(百源), 호는 남산처사(南山處士)와 월송정(月松亭)이다. 15세기 부강면에 입향한 보성오씨(寶城吳氏)의 후손이자 부강면 보성오씨 월송정 진사공파의 파조이다. 오유립은 어려서부터 학식과 문장이 탁월하였다. 1613년(광해군 5)에 벼슬...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바람재·백중재·백령재·백정재라고도 불린다.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 청룡안에서 금천리에 있는 금강대도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 산적이 많아 장정 백 명이 모여야 무사히 넘을 수 있었다 하여 백정이고개라 불렀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에서 금천리로 넘어가는 고개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백정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에서 금천리로 넘어가는 고개에 괴물이 나타나 사람들을 납치하였다는 지명전설이다. 현재는 고개가 막혀 있고 지명유래담만 남아 있다. 1997년 금남향토지발간위원회에서 발행한 『금남면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1990년 1월 15일 금남면...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바람재·백중재·백령재·백정재라고도 불린다.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 청룡안에서 금천리에 있는 금강대도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 산적이 많아 장정 백 명이 모여야 무사히 넘을 수 있었다 하여 백정이고개라 불렀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송리에 있는 운주산성 광장에서 매년 4월에 지내는 제례행사. 백제대제의 기원은 계유년(癸酉年)[673년] 4월 15일 백제 유민들에 의하여 석불비상 8개를 조성하여 비암사(碑巖寺)[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운주산에 있는 사찰]를 짓고 시납(施納)[절에 시주로 금품 등을 바침]하여 국왕·대신과 칠세부모(七世父母)[선대 7세의 죽은 부모들]를...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송리에 있는 운주산성 광장에서 매년 4월에 지내는 제례행사. 백제대제의 기원은 계유년(癸酉年)[673년] 4월 15일 백제 유민들에 의하여 석불비상 8개를 조성하여 비암사(碑巖寺)[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운주산에 있는 사찰]를 짓고 시납(施納)[절에 시주로 금품 등을 바침]하여 국왕·대신과 칠세부모(七世父母)[선대 7세의 죽은 부모들]를...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송리에 있는 운주산성 광장에서 매년 4월에 지내는 제례행사. 백제대제의 기원은 계유년(癸酉年)[673년] 4월 15일 백제 유민들에 의하여 석불비상 8개를 조성하여 비암사(碑巖寺)[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운주산에 있는 사찰]를 짓고 시납(施納)[절에 시주로 금품 등을 바침]하여 국왕·대신과 칠세부모(七世父母)[선대 7세의 죽은 부모들]를...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와 금천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바람재·백중재·백령재·백정재라고도 불린다. 백정이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 청룡안에서 금천리에 있는 금강대도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옛날 산적이 많아 장정 백 명이 모여야 무사히 넘을 수 있었다 하여 백정이고개라 불렀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행산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백천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행산리에서 발원하여 부강리의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금강의 제1 지류이다. 백천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반상화강암, 흑운모화강암, 흑운모편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백천의 하도 양안에는 초본류 등이 덮여 있으며, 하천 주변에 넓은 충적지를 형성하여 주...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버드나무목 버드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관목. 버드나무는 버드나뭇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학명은 Salix Koreensis Andersson이다. 중국에서는 한반도와 가까운 동부와 만주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일본에서는 혼슈 서남부와 규슈 지방에 분포하는 관계로 버드나무 종의 분포 중심지를 우리나라로 본다. 껍질은 암갈색이고 세로로 갈라...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버드나무목 버드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관목. 버드나무는 버드나뭇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학명은 Salix Koreensis Andersson이다. 중국에서는 한반도와 가까운 동부와 만주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일본에서는 혼슈 서남부와 규슈 지방에 분포하는 관계로 버드나무 종의 분포 중심지를 우리나라로 본다. 껍질은 암갈색이고 세로로 갈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번암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있는 법정리로, 번암 1·2리로 나뉘어 있다. 번암(磻岩)은 강바위라는 뜻으로, 조천과 미호천 합수 지점인 번암 배수장 앞에 넓고 평평한 바위가 있는데 예부터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유명한 곳이었다. 자연마을로는 번암, 산직말 등이 있다. 번암마을은 번암리가 시작된 마을로, 지명...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 번암터 마을에서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느티나무 고목에 지내는 마을제사. 와촌리 번암터 목신제는 흥덕장씨 집성촌인 번암터 마을에서 마을 수호신으로 여기는 수령 480년의 느티나무 고목에 매년 정월 열나흗날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이다. 번암터 느티나무는 풍흉을 점치는 나무로도 알려져 있다. 나뭇잎이 선...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둘레가 한아름 넘치는 주민들의 풍족한 주거지역을 바라는 의미에서 아름이라는 한글 명칭이 지어졌다. 아름동은 범지기 마을로도 불리는데, 이는 아름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명칭 가운데 범지기 마을을 활용한 것이다. 고정리에 자리한 범지기 마을의 모습이 범이 누워있는 형상과 닮았다고 보았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
-
세종 지역 주민들이 풍년을 기원하고 한편으로 풍흉을 점치던 풍속. 볏가릿대 세우기는 농사의 풍년 기원과 풍흉을 알아보기 위한 농점속(農占俗)의 일환으로 생겨난 민속이다. 주로 조치원 일대의 너른 들을 보유한 농촌지역에서 행하던 기풍의례(祈豊儀禮)[음력 정월부터 2월까지 2개월에 걸쳐 그해의 농작이 풍년이 들기를 바라며 행하는 의례]이다. 주민들은 볏가릿대 세우...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으로 금산전투에 참전한 무신. 변응정(邊應井)[1557~1592]은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 참전하였던 무신으로 전동면 청람리 일대에 거주하였던 원주변씨(原洲邉氏) 가문의 후손이다. 변응정의 본관(本貫)은 원주(原州)이고 자는 문숙(文淑)이다. 원양군(原陽君) 변사겸(邊士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력(經歷) 변윤계(邊胤季)이며, 아버...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람리에 있는 변응정을 기리기 위해 일제강점기에 세운 사당. 변응정 사당은 임진왜란 당시 금산 전투에서 전사한 충신 변응정(邊應井)[1557~1592]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변응정은 1585년(선조 18) 무과에 응시하여 급제한 후 월송진 만호와 선전관을 지냈다. 해남현감으로 있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관내의...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람리에 있는 변응정을 기리기 위해 일제강점기에 세운 사당. 변응정 사당은 임진왜란 당시 금산 전투에서 전사한 충신 변응정(邊應井)[1557~1592]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변응정은 1585년(선조 18) 무과에 응시하여 급제한 후 월송진 만호와 선전관을 지냈다. 해남현감으로 있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관내의...
-
세종 지역 주민들이 풍년을 기원하고 한편으로 풍흉을 점치던 풍속. 볏가릿대 세우기는 농사의 풍년 기원과 풍흉을 알아보기 위한 농점속(農占俗)의 일환으로 생겨난 민속이다. 주로 조치원 일대의 너른 들을 보유한 농촌지역에서 행하던 기풍의례(祈豊儀禮)[음력 정월부터 2월까지 2개월에 걸쳐 그해의 농작이 풍년이 들기를 바라며 행하는 의례]이다. 주민들은 볏가릿대 세우...
-
세종 지역에서 병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하는 무속 의례. 병굿은 병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굿이다. 세종 지역에서는 치병굿, 환자굿이라고도 한다. 질병의 원인이나 유형에 따라 미친굿이나 주당풀이와 같은 병굿도 세종 지역에 전승된다. 보통 무당은 병굿을 하기 직전에 환자가 어떠한 이유로 병에 걸리게 되었는가를 파악하는데 이를 무당의 행동을 점친다고 한다. 점친 후 무당이...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성기운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 병산사는 금남면 달전리 출신의 일제강점기 항일의사 성기운(成璣運)[1877~1956]의 영정(影幀)[제사나 장례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쓰는, 사람의 얼굴을 그린 족자]을 봉안(奉安)[신주(神主)나 화상(畫像)을 받들어 모심]하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1972년 성기운의 학문과 정신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성기운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 병산사는 금남면 달전리 출신의 일제강점기 항일의사 성기운(成璣運)[1877~1956]의 영정(影幀)[제사나 장례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쓰는, 사람의 얼굴을 그린 족자]을 봉안(奉安)[신주(神主)나 화상(畫像)을 받들어 모심]하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1972년 성기운의 학문과 정신을...
-
1946년 현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인근의 금강 제방이 홍수로 붕괴된 수해 사건.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은 조선시대 공주목 양야리면(陽也里面)에 속하였다. 1908년에 감성장(4일, 9일)을 폐지하고 대평장(2일, 7일)을 신설하면서 5일장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충청남도 연기군으로 편입되면서 명탄면과 합하여 금남면 관할이 되었다. 이때 대평...
-
조선시대 세종 지역 출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와 병마절도사 등 고위직을 지낸 무신. 류형(柳珩)[1566~1615]의 본관(本貫)은 진주(晋州), 자는 사온(士溫), 호는 석담(石潭)이다. 27세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창의사 김천일을 따라 강화에서 활동하다가 선조가 있는 의주 행재소로 가서 선전관에 임명되었다. 1594년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선조의 친유(親諭)[임금이나 군...
-
세종특별자치시 주민의 신체·정신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하여 행하는 제반 활동.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 젊은 층 유입으로 출생률 증가, 인구 성장률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등 도시 성장에 따라 젊은 층 인구 유입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젊은 대상자를 중점으로 하는 건강증진사업 전략이 필요한 가운데 노년층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관리 및...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에 속한 법정리. 보덕리(寶德里)는 넓은 들과 큰 보(洑)가 있어서 농사가 잘된다 하여 ‘보덕’이라고 불렀다. 자연마을로는 봇들·서당골·지프내·위지프내 등이 있다. 봇들은 보덕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앞에 넓은 들과 큰 보가 있어서 봇들 또는 한자어로 보평이라 불린다. 서당골은 보평 뒤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서당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
-
1950년 7월 연기 지역 주민들이 학살 당한 사건. 국민보도연맹은 좌익 활동을 한 전력이 있는 사람들을 전향시키려는 목적에서 창설되었다. 당시 이승만 정권에서는 6·25전쟁이 발발한 이후 북한군에 협조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군과 경찰을 동원하여 국민보도연맹원을 색출하고 학살을 자행하였다. 조치원경찰서는 6.25전쟁이 발발한 직후 연기 지역 주민 대상으로 국민...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보람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서로 손잡고 꿈을 향해 전진하는 창의적 융합 인재’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함께 성장하며 미래사회의 변화를 준비하는 학생[미래인],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능력을 갖춘 학생[창조인], 바른 인성을 갖추고 타인을 배려하며 존중하는 학생[도덕인], 심신을 단련하며 절제할 줄...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보람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서로 손잡고 꿈을 향해 전진하는 창의적 융합 인재’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함께 성장하며 미래사회의 변화를 준비하는 학생[미래인],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능력을 갖춘 학생[창조인], 바른 인성을 갖추고 타인을 배려하며 존중하는 학생[도덕인], 심신을 단련하며 절제할 줄...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보람동은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의 중심지로서 일을 마무리하여 좋은 결과나 만족감을 얻어 보람 있는 행정타운 이미지를 강조하는 명칭이다. 보람동은 호려울마을로도 불리는데, 보람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명칭 가운데 호려울을 활용한 것이다. 마을이 산으로 둘러싸여 병의 목과 같다고 하여 병 호(壺)자와 금강이 여울졌다고 해서 호려울 또는 호탄...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보람중학교의 학교 비전은 ‘더불어 성장하며, 미래를 열어가는 행복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인성과 역량을 갖춘 미래 인재 육성’이다. 학교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성찰하는 습관과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 및 비판적 사고 습관을 가진 학생[도덕인], 적극적인 도전과 전략적 사고를 가지고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생[창의...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보람중학교의 학교 비전은 ‘더불어 성장하며, 미래를 열어가는 행복교육’이고, 교육 지표는 ‘인성과 역량을 갖춘 미래 인재 육성’이다. 학교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성찰하는 습관과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 및 비판적 사고 습관을 가진 학생[도덕인], 적극적인 도전과 전략적 사고를 가지고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생[창의...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보람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롭게 성장하는 행복공동체’이다. 교훈은 ‘배움을 열망하라’이다. 2016년 3월 1일 개교[6학급]하여 2017년 3월 1일 24학급으로 편성되었다. 2017년 9월 1일 37학급으로 편성되었고, 2018년 3월 1일 47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다. 2019년 3월 1일 55학급...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보람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롭게 성장하는 행복공동체’이다. 교훈은 ‘배움을 열망하라’이다. 2016년 3월 1일 개교[6학급]하여 2017년 3월 1일 24학급으로 편성되었다. 2017년 9월 1일 37학급으로 편성되었고, 2018년 3월 1일 47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다. 2019년 3월 1일 55학급...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보람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롭게 성장하는 행복공동체’이다. 교훈은 ‘배움을 열망하라’이다. 2016년 3월 1일 개교[6학급]하여 2017년 3월 1일 24학급으로 편성되었다. 2017년 9월 1일 37학급으로 편성되었고, 2018년 3월 1일 47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다. 2019년 3월 1일 55학급...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36호는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한반도 중부지역을 서해에서 동해로 연결하는 국도 제36호는 지역 개발과 물동량 수송, 관광 진흥에 이바지하고 있다. 세종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봉안리에서 조치원읍 상리를 지난...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36호는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한반도 중부지역을 서해에서 동해로 연결하는 국도 제36호는 지역 개발과 물동량 수송, 관광 진흥에 이바지하고 있다. 세종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봉안리에서 조치원읍 상리를 지난...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누리리와 연동면 용호리를 잇는 미호천의 교량. 세종특별자치시 보롬교는 연기면 누리리[행정중심복합도시 6-1 생활권]에서 연동면 용호리[행정중심복합도시 5-3 생활권]를 잇는 미호천의 교량이다. 보롬교는 세종특별자치시 시도 제1호선 도로상의 교량이다. 2012년 9월 19일에 개통된 교량이다. 설계 시에는 가칭 미호천1교라 하였고...
-
오현필을 시조로 하고 오유립, 오상건, 오숙노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오현필(吳賢弼)[1175~?]을 시조로 하는 보성오씨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노호리와 전동면 심중리에 정착하였고, 지금까지 부강 지역에서 600년 동안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는 대표 성씨이다. 보성오씨의 시조 오현필은 고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해 화...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속한 법정리. 보통리는 보통용수(洑通用水)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보물과 같은 냇물이 흐르고 연기리에서 오는 보(洑)가 마을을 지나가서 보통이라 불렸다. 보통리에는 잣띄, 보통이, 큰뜸, 새뜸, 윗뜸, 아래뜸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잣띄는 성산 북쪽의 기슭에 자리하며 마을에 잣나무[柏子木]가 있어서 붙여진 명칭이다. 보통이는 보통리 들이...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보통2리 주민들이 음력 1월 14일 용신에게 지내는 고사.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보통2리 주민들은 선대부터 샘고사를 지내어 왔다. 주민들 가운데 깨끗한 사람을 정하여 고사를 지내도록 하였다. 고사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저녁에 마을 공동샘에서 지낸다. 샘고사 비용은 각 가정에서 거두어 충당하다가 2014년부터 마을 자금으로 사용하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 일대에 있는 산. 복두산(幞頭山)[281.4m]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 자창의 북쪽에 있는 산으로, 부강면 동쪽 지역 방어에 중요한 곳이었다. 복두산은 산 정상부의 석축부가 마치 족두리 모양 모자인 복두리를 쓴 여인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붙은 이름으로, 일명 족두리산으로도 불린다. 복두산 정상에 있는 복두산성은 부...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과 충청북도 청주시 남이면에 걸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과 충청북도 청주시 남이면 사이에 있는 복두산(幞頭山)[281m]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서북쪽 능선에 축성된 테뫼식 산성이다. 복두산성에서 서쪽으로는 성재산성이 위치하고 동쪽으로는 독안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성재산성에서 복두산성, 독안산성이 동서 방향...
-
1907년 11월 7일 세종 지역인 연기 복룡 일대에서 의병과 일본 경찰대가 벌인 전투.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에 분개하여 권정남(權正南)이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 지역인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송담리 표석동 일대에서 의병을 모아 봉기하였다. 임대수(林大洙)[1882~1911] 등 의병 30여 명이 조치원에서 파견된 일본군 수비대, 경찰대와 복룡(伏龍) 일대에서...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매년 4월경 개최하는 마라톤 대회. 복사꽃 전국마라톤대회는 2003년 11월 연기군민 건강마라톤대회로 처음 개최되었다. 첫 개최 경위는 당시 지역민의 건강 증진 및 마라톤 동호인 저변 확대와 희망을 주는 연기군의 이미지를 심어 주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육상연맹에서 주최·주관하고 세종특별자치시체육회에서 후원하는 행...
-
세종특별자치시 일대에서 재배되는 과일.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 복숭아의 재배 역사는 한국과수원예의 태동기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12년 기준으로 334㏊ 면적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생산량은 4,960톤으로 보고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복숭아 재배 역사는 1908년 수원 원예실험장 과수과의 모체인 권업모범장 과수시험포가 조치원읍 봉산리에 설...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김익정(金益精)[?~1436]의 자는 문비(文斐), 호는 운암(雲庵)이다. 경기도 개성군 송도면에서 태어난 김익정은 1396년(태조 5)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태종의 의중을 잘 알아 세종의 치세를 준비하였다. 성종조에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복창군(福昌君)에 봉하여졌다. 김익정은 김휴...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에서 윷놀이로 한 해 농사의 풍년을 점치는 놀이. 봉답 수답놀이는 윷놀이에서 두 편으로 나눈다. 한쪽 편은 봉답 편이고 다른 한쪽은 수답 편이다. 봉답은 마을에서 높은 지대에 있는 논을 지칭하고 수답은 낮은 지역에 있는 논을 지칭한다.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 마을 사람들은 옛날부터 정월 대보름이 되면 마을회관에 모여...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에서 윷놀이로 한 해 농사의 풍년을 점치는 놀이. 봉답 수답놀이는 윷놀이에서 두 편으로 나눈다. 한쪽 편은 봉답 편이고 다른 한쪽은 수답 편이다. 봉답은 마을에서 높은 지대에 있는 논을 지칭하고 수답은 낮은 지역에 있는 논을 지칭한다.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 마을 사람들은 옛날부터 정월 대보름이 되면 마을회관에 모여...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에 속한 법정리. 봉대리(鳳臺里)는 ‘서봉’과 ‘만경대[망경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봉대리의 자연마을로는 고소재, 서방골마을 등이 있다. 고소재 마을은 봉대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전동면에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으로 넘어가는 큰 고개를 고소재라 부른다. 고소재는 운주산과 만경대 중간에 있는 고개이며, 고개 아래에 마을이 있다고...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주변에 봉황을 닮은 바위가 있어 봉바위, 부엉바위, 봉암 등으로 불리었다. 봉암(鳳岩)은 봉바위[부엉바위]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봉암리에는 봉암, 주막거리 등 자연 마을이 있다. 봉암리는 1리·2리·3리로 되어 있다. 처음 사람이 살면서 마을을 형성한 곳은 봉암2리이다. 현재의 봉암마을이다. 주막거리마을은 봉암 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봉산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있는 법정리로, 과수의 중심지이자 집산지이다. 오봉산(五峰山)[262m]의 이름을 따서 봉산리라는 마을 이름이 생겼다. 오봉산은 조치원읍의 진산으로, 전동면·연서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풍수설에 의하면 오행[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에 해당하는 오행연주형(五行連珠形)...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의 강화최씨 집성마을. 강화최씨 집성마을로, 최완[1510~1570]이 기묘사화를 피하여 서울에서 이거·입향 후 500여 년간 발전하여 8대에 걸쳐 15명의 효자와 열부를 배출한 특별한 마을이다. 동족조직이 강한 모습이 숭모단 제향, 시제(時祭)[음력 10월에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 마을 샘 제사로 전하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고복리에 있는 조선 후기 결성장씨 문중 서당. 봉서재(鳳棲齋)는 1600년대 말 장원주(張元冑)[1634~1700]가 만년에 창건하여 자제와 인근 마을 학동들을 가르치던 서당이다. 장원주는 연서면 고복리 결성장씨(結城張氏) 연기파(燕岐派) 입향조이다. 자는 자장(子將), 호는 봉옹(鳳翁)이다. 또한 장원주는 결성장씨 옛 연기 입...
-
조선시대 지역에서 긴급한 상황을 중앙에 전하던 군사 통신 시설. 전통 시대의 통신 시설로 밤에는 횃불을 올리고 낮에는 연기를 이용하여 산봉우리에서 산봉우리로 신호를 보내 변경의 위급을 중앙에 통보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는 용수산(龍帥山) 봉수가 있었다. 봉수(烽燧)는 위급한 상황이 생기면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속한 법정리. 봉안리는 장군면의 중동부에 있으며, 산학리·은용리·도계리·대교리와 맞닿아 있는 마을이다. 봉안이라는 명칭은 예부터 수려한 산수(山水)로 인하여 봉황이 찾는 곳이라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봉안리는 조선 후기에 공주군 장척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장척면(長尺面) 봉산리(鳳山里)·구월현동(舊月峴...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주변에 봉황을 닮은 바위가 있어 봉바위, 부엉바위, 봉암 등으로 불리었다. 봉암(鳳岩)은 봉바위[부엉바위]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봉암리에는 봉암, 주막거리 등 자연 마을이 있다. 봉암리는 1리·2리·3리로 되어 있다. 처음 사람이 살면서 마을을 형성한 곳은 봉암2리이다. 현재의 봉암마을이다. 주막거리마을은 봉암 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봉암교회는 1905년 인천 출신의 오해두가 연기군 토옥골[현 연서면 봉암리]에서 전도 활동을 하던 중 마을 주민 윤태만, 김상운, 이종문, 윤철균을 전도하여 윤태만의 집에서 함께 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연기군 토옥골[현 연서면 봉암리] 지역의 예배와 농촌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봉암교회는 1905년 인천 출신의 오해두가 연기군 토옥골[현 연서면 봉암리]에서 전도 활동을 하던 중 마을 주민 윤태만, 김상운, 이종문, 윤철균을 전도하여 윤태만의 집에서 함께 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연기군 토옥골[현 연서면 봉암리] 지역의 예배와 농촌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봉암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다.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마을 중앙을 지나는 용수천 연변의 평야 지대에 봉암 등 자연마을이 들어서 있다. 봉황새가 앉아서 우는 봉황바위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봉암(鳳岩)이라 하였다. 조선 후기 공주군 반포면(反浦面) 지역으로, 1914년 반포면 덕천리(德川里)와 송곡리(松谷里)...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주변에 봉황을 닮은 바위가 있어 봉바위, 부엉바위, 봉암 등으로 불리었다. 봉암(鳳岩)은 봉바위[부엉바위]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봉암리에는 봉암, 주막거리 등 자연 마을이 있다. 봉암리는 1리·2리·3리로 되어 있다. 처음 사람이 살면서 마을을 형성한 곳은 봉암2리이다. 현재의 봉암마을이다. 주막거리마을은 봉암 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조선시대 설립된 봉암서원의 터. 봉암서원(鳳巖書院)은 1651년(효종 2)에 건립되어 1665년(효종 6) 연기현에서는 유일하게 사액을 받은 서원이다. 제향 인물은 한충(韓忠), 김장생(金長生),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時烈) 등이었다. 봉암서원은 다른 서원 사우들과 마찬가지로 1864년 대원군의 훼철령으로 훼...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에서 발원하여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봉암(鳳岩)’은 주막거리 앞에 있는 마을이며, 주막거리는 예전부터 주막과 가게가 많아 사람들이 서성대는 거리라 하여 명명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서면 봉암리 동쪽의 봉황산에 봉황[鳳]바위가 있어서 봉암이라고 불리었으며, 봉암천의 명칭은 마을 이름 ‘봉암’에서 유래하였다. 봉암천 주변의 지질은...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결성장씨 연기파의 입향조이자 학자. 장원주(張元胄)[1634~1700]의 자는 자장(子將), 호는 봉옹(鳳翁)이다. 결성장씨 연기파 연서면 고복리의 입향조이다. 고복리에는 창녕성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세거하였으나 장원주 이후 결성장씨가 세거하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향촌(鄕村)[시골 마을]에 은거(隱居)[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
-
조선시대 지역에서 긴급한 상황을 중앙에 전하던 군사 통신 시설. 전통 시대의 통신 시설로 밤에는 횃불을 올리고 낮에는 연기를 이용하여 산봉우리에서 산봉우리로 신호를 보내 변경의 위급을 중앙에 통보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는 용수산(龍帥山) 봉수가 있었다. 봉수(烽燧)는 위급한 상황이 생기면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남성골 마을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남성골 마을에 있는 북쪽의 야산을 둘러싼 테뫼식 산성이다. 부강 남성골산성의 정상부에서 금강에 면한 강안과 멀리 서쪽으로 공주 계룡산이 바라다보인다. 북쪽에서는 남북으로 이어진 능선 상에 성재산성, 복두산성, 독안산성이 마주 보고 있다. 남쪽과 남동쪽...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와 서원의 건립 내력 및 연원을 적은 비석. 보만정(保晩亭)은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1606~1672]이 강학 공간으로 이용한 정자이다. 이 자리에는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검담서원(黔潭書院)이 있었다. 보만정은 1682년(숙종 9) 왕명에 따라 간행한 『동춘당집』의 목판을 보관하던 곳이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에서 연동면 예양리를 잇는 시도.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지방도 제591호선이 세종특별자치시 시도(市道) 제13호로 편입·승격되었다. 도로의 기점은 부강면이며 종점은 연동면에 있다. 노선명은 부강~연동선이 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시도 제13호[노선명 부강~연동선]는 총연장 16.4㎞의 포장도로이다. 2018년...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세종하이텍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올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미래의 기술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올바른 인성과 배려로 아름다운 정신을 소유한 사람[도덕인], 독창성과 창의력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줄 아는 사람[창조인], 현장 직무능력을 갖추고 도전정신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세종하이텍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올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미래의 기술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올바른 인성과 배려로 아름다운 정신을 소유한 사람[도덕인], 독창성과 창의력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줄 아는 사람[창조인], 현장 직무능력을 갖추고 도전정신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던 포구. 부강포구는 부용강(芙蓉江)과 부강(芙江)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세종특별자치시를 동서로 흐르는 금강은 비교적 수심이 깊고 수량도 풍부하여 돛단배가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부강은 금강 내륙수로의 가항(可航)[운항이 가능한] 종점으로 내륙지방과 돛단배 왕래가 잦은 전국 8대 포구 가운데 하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와 부강면 부강리를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부용나루의 명칭은 부용산(芙蓉山)과 부용강(芙蓉江)에서 유래하였다. 부용나루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芙蓉里)에서 부강면 부강리[옛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를 잇던 금강의 나루였다. 연꽃이 물에 뜬 생김새를 한 부용산 아래의 마을인 부용리와 금강 건너 부강리를 잇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부강리(芙江里)는 부강면의 읍내가 있는 곳이며 9리로 나뉜다. 부강리에는 다음과 같은 마을이 있다. 새텃말은 부강1리 지역으로 부강의 북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부촌은 부강1리 지역으로 새텃말 남동쪽에 자리한다. 삼버들은 부강4리와 7리 경계에 있는 마을로 부강 남쪽에 있다. 예부터 버드나무가 많았는데, 그중 세 그루가 유독...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남성골 주민들이 정월 열나흘과 칠석날 용신에게 지내는 고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남성골 샘고사는 정월 열나흘과 칠석날 저녁에 지낸다. 대부분의 주민이 샘고사에 참여하고 이장의 주도하에 고사가 시행된다. 남성골 마을에는 샘고사 비용의 기반이 되는 ‘샘제계’가 조직되어 있다. 고사 당일 오전에 이장이 징을 치면 동네...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면. 부강면(芙江面)의 명칭은 원래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芙蓉面)이었다.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문의현(文義縣)에 속하였다가, 1896년 충청도가 남북으로 나누어질 때 충청북도 문의군 삼도면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문의군이 청주군에 편입되면서...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서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용신에게 노고봉 정상에서 지내는 제사. 부강면은 기우제를 문곡리에 있는 노고봉 정상에서 지내었다. 농사 짓는 농가가 많은 가운데 농사 중에서 벼농사를 짓는 농가가 많다 보니 물이 필요하며, 물은 곧 비를 의미한다. 부강면은 장마철에만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고 장마 전후로는 가뭄이 계속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부강일반산업단지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원에 조성한 일반산업단지로, 지방화 시대의 미래 지향적인 생산 기지로 개발하고 중부권의 낙후 지역에 대한 경제 기반을 강화하며 세종특별자치시의 장기적인 발전과 사업의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부강일반산업단지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원에 조성한 일반산업단지로, 지방화 시대의 미래 지향적인 생산 기지로 개발하고 중부권의 낙후 지역에 대한 경제 기반을 강화하며 세종특별자치시의 장기적인 발전과 사업의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세종하이텍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올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미래의 기술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올바른 인성과 배려로 아름다운 정신을 소유한 사람[도덕인], 독창성과 창의력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줄 아는 사람[창조인], 현장 직무능력을 갖추고 도전정신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 있는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세종하이텍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올바른 인성과 창의성을 갖춘 미래의 기술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올바른 인성과 배려로 아름다운 정신을 소유한 사람[도덕인], 독창성과 창의력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줄 아는 사람[창조인], 현장 직무능력을 갖추고 도전정신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서원지구 소속 성당. 1957년 4월 21일 청주 본당[현 수동성당]에서 분리하여 본당으로 설정되었다.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남이면·현도면·문의면을 관할하였고, 상삼·매포·비룡·문의·문동 등지에 공소를 두었다. 1961년 5월 현재 위치의 대지를 매입하여 8월부터 성당 건립을 시작하였다. 성당 건물은 195...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서 용출되는 탄산 함유 샘물.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의 부강약수는 전의면의 전의초수, 충청북도 청주시의 초정약수와 함께 충청 지역의 유명한 약수 중 하나이다. 부강약수가 음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고구려의 연개소문이 맛을 보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실제 부강면 일대에 다수의 고구려식 산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부강역은 경부선과 지선 철도인 부강화물선이 분기하는 기차역이다. 내판역과 매포역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울 기점 139.8km 지점에 있다. 부강역의 역명은 부강리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일본은 일제강점기에 경부선철도를 건설하면서 철도 용지(用地)[어떤 일에 쓰기 위한 토지]가 무상수취(無償收聚)...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있던 이만원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웠던 사당. 이만원(李萬元)[1651~1708]은 연안이씨 태자첨사공파로,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후곡리에서 출생하였다. 이만원의 고조부 이광정(李光庭)은 호성공신에 녹훈(錄勳)[훈공을 장부나 문서에 기록함]되고 연원부원군에 봉해진 인물이며, 이광정의 딸은 숙종 계비인 인...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부강일반산업단지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원에 조성한 일반산업단지로, 지방화 시대의 미래 지향적인 생산 기지로 개발하고 중부권의 낙후 지역에 대한 경제 기반을 강화하며 세종특별자치시의 장기적인 발전과 사업의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 일...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전통 재래시장. 당초 부강장은 공주목 명탄면 지역[현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이었다. 그러나 홍수로 인한 금강 물길의 변화로 시장터가 부강면 쪽으로 몇 차례 이전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905년 경부선 철도가 부설되고 부강역이 운영되면서 현재 위치에 시장터가 형성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충북 청주군 부용면이 되었...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부강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바른 품성과 미래의 꿈을 키워가는 자연 속 행복학교’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꿈과 끼를 찾아 계획하고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미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람[창의인], 문·예·체로 다져진 감성적인 사람[문화인], 더불어 소통·배려·협력할 수 있는 사람[세계인] 육성...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부강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바른 품성과 미래의 꿈을 키워가는 자연 속 행복학교’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꿈과 끼를 찾아 계획하고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미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람[창의인], 문·예·체로 다져진 감성적인 사람[문화인], 더불어 소통·배려·협력할 수 있는 사람[세계인] 육성...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부강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학생, 기초 기본 능력을 갖추고 새로움에 탐구 도전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키우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1917년 8월 2일 부강공립보통학교의 설립을 인가받아 같은 해인 1917년 10월 2일 부강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부강초등학교 내에 있는 일제강점기 학교 건물. 부강초등학교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부강초등학교 강당은 근대 교육의 초창기인 1926년에 건축된 학교 건물이다.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조선 후기의 익공식 형태를 잘 반영하여 건축하였다. 강당은 건축 당시의 역사·건축연도·건립동기 등이 기록된 실기(實記)에 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부강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학생, 기초 기본 능력을 갖추고 새로움에 탐구 도전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키우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1917년 8월 2일 부강공립보통학교의 설립을 인가받아 같은 해인 1917년 10월 2일 부강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부강초등학교 내에 있는 일제강점기 학교 건물. 부강초등학교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부강초등학교 강당은 근대 교육의 초창기인 1926년에 건축된 학교 건물이다.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조선 후기의 익공식 형태를 잘 반영하여 건축하였다. 강당은 건축 당시의 역사·건축연도·건립동기 등이 기록된 실기(實記)에 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부강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키우는 학생, 기초 기본 능력을 갖추고 새로움에 탐구 도전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키우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1917년 8월 2일 부강공립보통학교의 설립을 인가받아 같은 해인 1917년 10월 2일 부강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193...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 부강초등학교 내에 있는 일제강점기 학교 건물. 부강초등학교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부강초등학교 강당은 근대 교육의 초창기인 1926년에 건축된 학교 건물이다.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조선 후기의 익공식 형태를 잘 반영하여 건축하였다. 강당은 건축 당시의 역사·건축연도·건립동기 등이 기록된 실기(實記)에 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던 포구. 부강포구는 부용강(芙蓉江)과 부강(芙江)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세종특별자치시를 동서로 흐르는 금강은 비교적 수심이 깊고 수량도 풍부하여 돛단배가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부강은 금강 내륙수로의 가항(可航)[운항이 가능한] 종점으로 내륙지방과 돛단배 왕래가 잦은 전국 8대 포구 가운데 하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던 포구. 부강포구는 부용강(芙蓉江)과 부강(芙江)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세종특별자치시를 동서로 흐르는 금강은 비교적 수심이 깊고 수량도 풍부하여 돛단배가 자유로이 통행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부강은 금강 내륙수로의 가항(可航)[운항이 가능한] 종점으로 내륙지방과 돛단배 왕래가 잦은 전국 8대 포구 가운데 하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부거실 주민들이 금성산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달전리 부거실 사람들은 마을 안녕과 주민 발복을 기원하며 금성산 산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매년 음력 10월 1일 시행되는 달전리 부거실 산신제는 마을 주민들이 한 마음으로 참여하는 공동체의례이다. 산신제의 연원은 정확히 알지 못한다. 현재 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부동리(釜洞里)는 가마골 또는 부동으로도 불리었다. 명칭 유래는 가마골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옛날에 그릇 가마를 묻은 장소가 있었고, 고려시대 연기대첩 때는 밥을 짓기 위하여 큰 가마를 설치한 곳이다. 부동리에는 가마골, 치암, 방죽안, 산수골, 오룡골, 홍촉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하천 북쪽에 위치한 가마골마을은...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부동리(釜洞里)는 가마골 또는 부동으로도 불리었다. 명칭 유래는 가마골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옛날에 그릇 가마를 묻은 장소가 있었고, 고려시대 연기대첩 때는 밥을 짓기 위하여 큰 가마를 설치한 곳이다. 부동리에는 가마골, 치암, 방죽안, 산수골, 오룡골, 홍촉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하천 북쪽에 위치한 가마골마을은...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일대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전월산과 함께 시민들에게 휴식과 행복도시의 전망을 제공하는 구릉성 산지이다. 원수산은 차령산맥의 정기를 이어받은 명산으로, 일명 부모산 또는 형제산이라 불린다. 고려 때인 1293년 몽골 합단적이 침입해 왔을 때 연서면 쌍전리에서 1차 전투를 하여 대패한 합단적이 금강을 건너 도망갔다. 그러나...
-
임계미를 시조로 하고 임난수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임계미(林季美)를 시조로 하고 임난수(林蘭秀)[1342~1407]를 입향조로 하는 부안임씨는 1300년대 후반 600여 년 세거지인 연기군 남면 양화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정착한 이래 전서공파(典書公派)를 형성하여 지금까지 명실공히 세종 지역을 대표하는 성씨이자 유력한 성씨로...
-
임계미를 시조로 하고 임난수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임계미(林季美)를 시조로 하고 임난수(林蘭秀)[1342~1407]를 입향조로 하는 부안임씨는 1300년대 후반 600여 년 세거지인 연기군 남면 양화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정착한 이래 전서공파(典書公派)를 형성하여 지금까지 명실공히 세종 지역을 대표하는 성씨이자 유력한 성씨로...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에 있는 부안임씨 2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부안임씨 쌍효 정려는 효자 임자의(林自儀)[1672~1717]와 임태선(林太先)[1675~1720] 형제의 효성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졌다. 임자의·임태선 형제는 임난수(林蘭秀)의 후손으로 본관이 부안이고, 아버지는 임상담(林尙談)이다. 동생 임태선의 본명은 태의(太...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주변에 봉황을 닮은 바위가 있어 봉바위, 부엉바위, 봉암 등으로 불리었다. 봉암(鳳岩)은 봉바위[부엉바위]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봉암리에는 봉암, 주막거리 등 자연 마을이 있다. 봉암리는 1리·2리·3리로 되어 있다. 처음 사람이 살면서 마을을 형성한 곳은 봉암2리이다. 현재의 봉암마을이다. 주막거리마을은 봉암 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와 부강면 부강리를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부용나루의 명칭은 부용산(芙蓉山)과 부용강(芙蓉江)에서 유래하였다. 부용나루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芙蓉里)에서 부강면 부강리[옛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를 잇던 금강의 나루였다. 연꽃이 물에 뜬 생김새를 한 부용산 아래의 마을인 부용리와 금강 건너 부강리를 잇던...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리에 있는 농공 단지. 농촌 균형 발전을 지향하며 농외 소득원 개발로 농가 소득을 증대하고, 유효 노동력의 고용 창출 및 지방 세수 증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종이 분야 농공단지를 조성·개설하였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사업 기간을 정하였으나 국유지[국토교통부] 유상매입 지연에 따른 준공 업무 연기에 따라 2019년 12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부용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로, 초오개마을이 있는 부용1리와 원부용이 있는 부용2리로 이루어져 있다. 부용리(芙蓉里)는 연꽃이 물에 뜬 듯한 연화정수형(蓮花淨水形)의 명당이 있는 부용봉(芙蓉峰)이 있다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부용리의 옛 이름인 초오개는 산이 깊어 약초가 많이 나는데, 특히 다섯...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 원부용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 원부용에서는 1990년대 말까지만 하여도 음력 정월 열나흘에 목장승을 세우고 제사를 지내었다. 그러나 마을 형편상 점차 목장승을 새로 깎아서 모시기가 어려워서 화강암 장승을 건립하였다. 석장승 뒤편에 인근에서 채취한 돌들을 많이 세워 놓았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 일대에 있는 산. 부용산은 연화부수형의 명당이 있는 높이 222m의 산으로, 정상에 오르기 전 구덩이가 있는 곳까지를 부용봉이라고 한다. 부용리 마을 뒤에 있는 산으로, 연꽃이 물에 뜬 형국의 명당이라 하여 명산으로 꼽힌다. 연꽃 형국인 부용봉이 무거워서 가라앉는다 하여 전해오는 풍수지리적 생각에 따라 부용봉 주위에 묘를 쓸 때는 비석이라든지...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책임행정기관. 북세종 통합행정복지센터는 조치원읍 소관 업무 및 세종특별자치시 북부권 5개 읍·면에 대하여 위임받은 업무를 처리하는 책임행정기관이다. 북세종 통합행정복지센터는 세종특별자치시 청사가 조치원읍 교리에서 보람동으로 이전함에 따라 북부권 지역 주민들에게 생활과 밀접한 일부 업무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
세종 지역에서 활동하는 석가모니를 교조로 하는 종교. 불교는 세종 지역의 사상과 신앙의 중심이 되어 전통문화와 갖가지 지방문화를 형성하여 왔다. 세종 지역에 불교가 들어온 것은 백제시대이다. 침류왕 원년(384)에 마라난타가 불교를 들여옴으로써 백제불교가 시작되었다. 불교가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웅진도읍시대라고 보는 것이 무난하다. 지역적으로 백제 수도와 인접하여 정치,...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이자 학자. 이재구(李載九)[1837~1887]의 자는 계범(季範), 호는 불궤재(不匱齋)이다. 조치원읍 봉산리에서 출생하였다. 전재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아래에서 수학하며 학문과 의행 실천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학문이 일취월장하였으나 과거는 포기하고 경전 연구에만 몰두하여 강론과 후진 양성에 전...
-
1909년 여양진씨의 재실을 새롭게 건립하고 그 내력을 새긴 현판. 불목동여양진씨묘실신건기(佛木洞驪陽陳氏墓室新建記)는 여양진씨(驪陽陳氏)의 선영(先塋)[조상의 무덤 또는 조상의 무덤 근처의 땅]이 있던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반곡리[현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의 불목동(佛木洞)에 재실(齋室)[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을 신축한 것을 기록한 현판이다. 불목동여양진씨묘실...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의 갈산리 불무골 주민들이 음력 1월 14일에 샘의 용신에게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갈산리 불무골 사람들은 식수원이 마르지 않게 하여 달라는 소망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샘제를 지내 왔다. 제의 일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오후 6시경이다. 이장은 샘제를 지내기 위하여 제관 1인을 선정한다. 부녀회장은 주민들과 함께 제수를 준...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남리와 장군면 금암리를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불티나루’라는 명칭은 근처의 고개 화치(火峙) 혹은 화치진(火峙津)에서 유래하였다. 옛날에 속칭 ‘꺼먹배’로 불리는 상선이 소금을 싣고 나루에 들어오면 옛 공주시 반포면 산골 사람들이 인산인해(人山人海)를 이루어 소금이 ‘불티나게’ 팔렸다는 데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남리와 장군면 금암리를 잇는 금강의 교량. 불티교는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었다. 2002년 공주시 반포면 도남리[현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남리]와 장기면 금암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를 연결하던 교량으로 건설되었다. 조선시대 불티교 근처의 금강에는 불티나루가 있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남리와 장군면 금암리를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불티나루’라는 명칭은 근처의 고개 화치(火峙) 혹은 화치진(火峙津)에서 유래하였다. 옛날에 속칭 ‘꺼먹배’로 불리는 상선이 소금을 싣고 나루에 들어오면 옛 공주시 반포면 산골 사람들이 인산인해(人山人海)를 이루어 소금이 ‘불티나게’ 팔렸다는 데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
-
세종 지역에서 땅의 기운을 가두거나 부족한 땅의 기운을 보완하여 안정과 풍요를 도모하며 행한 술법. 비보(裨補)란 풍수이론에서 나온 용어로, “도와서 모자람을 채운다”는 의미다. 주로 장소나 공간의 기운이 모자랄 때 안정을 취하게 할 목적으로 비보가 이루어진다. 비보 유형에는 크게 수구비보(水口裨補), 지세비보(地勢裨補), 형국비보(形局裨補), 화기비보(火氣裨補), 살기...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 마을은 풍수적으로 호리병 모양을 이루고 있다. 예부터 마을에는 “마을 입구가 병마개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이 부분을 막아야 주민들의 재산이 쌓이고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구전이 전하여 내려왔다. 따라서 주민들은 마을 입구에 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하고 호리병의 병마개...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마을숲은 전주이씨가 집성하면서 조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을 북동쪽이 지나치게 개방된 것을 막기 위하여 곡교천 변에 왕버들나무를 심어 비보숲을 만들었다. 비보숲 일대는 1985년 충청남도 천연자원 보호림으로 지정되었다가 2001년 관련 법이 개정되어 산림유전자원...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운주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의 말사. 비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운주산에 있다. 백제의 마지막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국보 제106호로 지정된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을 보유한 사찰로 유명하다. 비암사는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 에 속한 법정동. 산울동은 산울타리에서 유래한 한글 명칭으로 푸르고 포근한 주거단지를 의미한다. 산울동은 빗돌마을로도 불린다. 갈운리에 위치한 빗돌거리는 돌로 만든 할아버지 미륵과 할머니 미륵이 있는 양지말이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 조선시대에는 연기현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