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에 있는 낮은 통로. 고개는 대체로 산등성이를 넘는 곳을 말하며, 재[岾]·영(嶺)·마루·현(峴)·치(峙)·안부(鞍部)·티·항(項)이라고도 한다.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한 옛날에 산으로 막힌 이웃 지역을 오가는 데 고개를 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편리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차령산맥의 주맥과 지맥이 통과하는 지...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매포역은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부강역과 신탄진역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울기점 144.4㎞ 지점에 있다. 매포역의 역명은 노호리 자연마을 지명 매포에서 유래하였다. 부강면 노호리 남쪽을 흐르는 금강변에는 과거 내륙수로로 이용한 나루터가 있던 매포리(梅浦里)·노포리(蘆浦里)·마포리(馬浦里) 등이 있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매포역은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부강역과 신탄진역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울기점 144.4㎞ 지점에 있다. 매포역의 역명은 노호리 자연마을 지명 매포에서 유래하였다. 부강면 노호리 남쪽을 흐르는 금강변에는 과거 내륙수로로 이용한 나루터가 있던 매포리(梅浦里)·노포리(蘆浦里)·마포리(馬浦里) 등이 있었다....
-
세종특별자치시에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여 지역공동체 이익을 효과적으로 거두기 위하여 설립한 마을 단위 기업. 마을 기업은 지역 주민이 각종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하여 공동의 지역문제 해결, 소득 및 일자리 창출, 지역공동체 이익의 효과 높은 실현을 위하여 설립 및 운영하는 마을 단위 기업을 말한다. 2019년 6월 기준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 기업은 27개, 예...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 주민들이 비보 목적으로 조성한 마을숲.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호탄리 마을은 풍수적으로 호리병 모양을 이루고 있다. 예부터 마을에는 “마을 입구가 병마개 모양을 이루고 있는데 이 부분을 막아야 주민들의 재산이 쌓이고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구전이 전하여 내려왔다. 따라서 주민들은 마을 입구에 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하고 호리병의 병마개...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에 걸쳐 있는 산. 금병산(金屛山)[372m]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사이에 있고, 세종특별자치시의 남쪽과 대전광역시의 북쪽을 성벽처럼 두르고 있는 산이다. 금병산 유래비에 의하면 신라시대에는 금평산, 고려시대에는 만인산이라 불리다가 이성계가 팔도명산 기도 중에 비단 병풍을 갖추고 치성...
-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금강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가장 큰 하천이다. 본류는 전라북도 장수군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함께 북쪽으로 흐른다. 충청북도 남서부 지역에서는 북서쪽으로 물길을 바꾸고 지류들과 합쳐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이르러서는 남서 방향으로 물길이 바뀐...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과 충청남도 천안시 수신면 일대에 걸쳐 있는 산. 망경산(望京山)[385m]은 세종특별자치시와 충청남도 천안시의 경계가 되는 산으로, 전동면에서 충청남도 천안시 수신면으로 넘어가는 고소재고개에서 동쪽에 있는 산이다. 산은 낮지만 북쪽의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흑성산과 은석산을 넘어 멀리 서울의 하늘을 바라볼 수 있는 산이라 하여 망경산이라...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의 넓은 들판에 먹이를 찾아 매가 많이 날아와 서식하였으며, 마을 뒷산의 큰 바위에 매가 앉아 있다고 하여 매바위·응암(鷹岩)으로 불리었다. 응암리에는 매바위, 높은정이, 노곡, 가마골 등 자연 마을이 있다. 매바위마을은 매 모양의 지형에 매가 많아서 붙은 명칭으로, 응암이라고도 한다. 높은정이마을은 매바위 북쪽의 높은...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성강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를 연결하는 고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성강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를 이어 주는 고개로, 계룡산 지맥의 산줄기이다. 갈후리 또는 거꾸리라고 하는 마을의 북쪽에 있는 산에서 옛날 도암리 주민들이 꿩사냥을 할 때 꿩을 잡기 위하여 매를 이용하였으며, 사람이 매를 데리고 높은 산에 올...
-
조선 전기 단종복위운동에 힘쓰다 죽은 사육신 중 한 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문절사에 제향된 인물. 성삼문(成三問)[1418~1456]의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이후 박팽년·허조 등과 단종복위운동을 계획하다 실패하여 처형된 인물로 사육신 중 한 명이다. 충절의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사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문절사에서 매년 10월 매죽헌 성삼문을 기리기 위하여 개최되는 제례행사. 충문공 매죽헌(梅竹軒) 성삼문(成三問)[1418~1456]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2000년 10월 성씨문중으로 이루어진 문절사발전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제례 형태로 시작되었다. 성삼문은 집현전 학사 출신으로, 고려사 편찬과 한글 창제 등 세종...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성삼문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사당. 문절사(文節祠)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사육신의 한 사람인 매죽헌(梅竹軒) 성삼문(成三問)[1418~1456]을 제향하기 위하여 지어진 사당이다. 공식 명칭은 매죽헌사우(梅竹軒祠宇)이다. 성삼문의 정려인 문절사가 금남면 달전리에 세워진 때는 1903년으로, 사실 달전리는...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매포역은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부강역과 신탄진역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울기점 144.4㎞ 지점에 있다. 매포역의 역명은 노호리 자연마을 지명 매포에서 유래하였다. 부강면 노호리 남쪽을 흐르는 금강변에는 과거 내륙수로로 이용한 나루터가 있던 매포리(梅浦里)·노포리(蘆浦里)·마포리(馬浦里) 등이 있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매포역은 경부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부강역과 신탄진역 사이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울기점 144.4㎞ 지점에 있다. 매포역의 역명은 노호리 자연마을 지명 매포에서 유래하였다. 부강면 노호리 남쪽을 흐르는 금강변에는 과거 내륙수로로 이용한 나루터가 있던 매포리(梅浦里)·노포리(蘆浦里)·마포리(馬浦里) 등이 있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일대에서 재배되는 과일. 머루포도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고복저수지 상류의 청정지역에서 생산되는, 맛과 향이 뛰어나며 당도가 18도 이상인 만생종인 마스캇베리A(일명, 머루포도) 캠벨 품종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농특산물로 지정되어 있다. 2008년 충청남도 연기군이 지역 특산품인 머루포도(MBA) 재배 농가의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비가림시설 등 생산기...
-
세종 지역에서 전통적인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땅을 길지나 흉지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이야기가 서사적 구조를 이루어 전승되고 있는 설화. 세종특별자치시의 명당설화는 지역의 명당과 관련된 설화들이다. 명당은 전통적인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이상적으로 여기는 장소를 의미한다. 명당은 땅이라는 형체를 띠고 있기에 사람이 직접 확인할 수 있고,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예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명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명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바르게 행동하고 더불어 사는 어린이, 감성이 풍부하고 꿈을 지닌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육 지표는 ‘사랑과 배려속에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40년 4월 10일 소화국민학교로 인가하였으며 1947년 7월 3일 조치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명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명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바르게 행동하고 더불어 사는 어린이, 감성이 풍부하고 꿈을 지닌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육 지표는 ‘사랑과 배려속에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40년 4월 10일 소화국민학교로 인가하였으며 1947년 7월 3일 조치원...
-
조선 후기 호서지역 낙론의 대가 중 한명으로,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전재(全齋)·희양재(希陽齋)이다. 유학의 거두로 유림의 추앙을 받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경서(經書)에 몰두하여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직에 나아가 이조참판과 대사헌 등을 지냈으나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
조선 후기 호서지역 낙론의 대가 중 한명으로,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전재(全齋)·희양재(希陽齋)이다. 유학의 거두로 유림의 추앙을 받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경서(經書)에 몰두하여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직에 나아가 이조참판과 대사헌 등을 지냈으나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
조선 후기 연기 지역에 거주한 임헌회와 그 후손의 인장. 임헌회(任憲晦)[1811~1876]는 19세기 말 성리학자이다. 충청남도 연기·공주 일대에서 크게 활약한 성리학, 특히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한 인물이다. 대표적인 문인으로는 간재(艮齋) 전우(田愚), 경의당(敬義堂) 김진수(金振遂) 등이 있다. 임헌회의 문집교지와 함께 인장이 보존되어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명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속하는 법정리이며, 조치원역 앞 번화가가 확장되면서 시가지화된 원도심의 일부이다. 명리(明里)라는 지명은 이곳에 조치원 변전소[산책길 168 일원]가 있어 조치원 일대에 밝은 빛[전기]을 공급한다고 하여 밝을 명(明) 자로 이름 지었다고 한다. 명리는 191...
-
세종 지역에서 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서사 구조 형식 이야기. 세종특별자치시의 명산설화는 지역 인근의 산에 대한 설화들이다. 설화 내용은 산의 명칭에 대한 유래나 산에 자생하는 나무, 산에 속한 신령스러운 존재들에 대한 이야기로 되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명산설화를 통하여 세종 지역에 내려오는 지역민들의 민간 신앙과 삶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김사준(金師俊)[1439~1520]의 본관은 안동, 자는 명숙(明叔), 호는 사암(思庵)이다. 예조참의 김구년(金龜年)의 둘째 아들이다. 김사준의 아버지 김구년은 1455년 단종 폐위, 사육신 처형, 집현전 폐지 사건을 보고 난 뒤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전의면 양곡리로 돌아와 은거(隱居)[세상을 피해 숨어서 삶]하였다. 어머...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명학리는 마을과 주변의 형상이 학(鶴)과 닮아 원명학 또는 알봉골로 불리었다. 마을은 학이 앉아 있는 형국이고 뒷산의 바위는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다. 주변은 학이 날아가는 형국으로 뒷산은 머리에 해당하고 양쪽 산은 날개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명학리에는 명학, 황우재, 외태, 내태, 서당말, 원당골 등 자연 마을이 있...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장수황씨가 세종 지역으로 입향한 이후 집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만든 모임과 조직. 장수황씨 연기종회는 친족간 친목을 도모 하고, 종중 재산을 관리 보존하고, 선조 제향봉행 및 기념사업 시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장수황씨 세종특별자치시 입향조 황첩(黃堞)의 시제는 음력 10월 10일로, 묘소에서 지낸다. 묘소는 세종특별자치...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와 내판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명학일반산업단지는 「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 제15조 규정에 의거하여 산업단지계획을 [변경]수립하였으며,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제8조 및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2조 규정에 의거하여 조성된 일반산업단지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자동차부품, 전자,...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와 내판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명학일반산업단지는 「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 제15조 규정에 의거하여 산업단지계획을 [변경]수립하였으며,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제8조 및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2조 규정에 의거하여 조성된 일반산업단지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자동차부품, 전자,...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와 내판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명학일반산업단지는 「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 제15조 규정에 의거하여 산업단지계획을 [변경]수립하였으며, 「토지이용규제 기본법」 제8조 및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2조 규정에 의거하여 조성된 일반산업단지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자동차부품, 전자,...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속한 법정리.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심권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미래의 심장부라는 상징을 담아 세종특별자치시 명칭의 근간인 세종대왕에서 두 글자를 가져왔다. 세종리는 모롱지마을로도 불리는데, 세종 지역의 고유어 전래 명칭 가운데 모롱지산을 활용한 것이다. 송담리에 있는 모롱지산은 산모퉁이를 휘어 돌린 곳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금강과 만나는...
-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에서 정월 보름날 나무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 마을마다 둥구나무[크고 오래된 정자 나무]가 있다. 한여름에 그늘을 드리워서 쉼터 역할도 하지만 대개는 몇 백년 동안 마을을 지켜보고 있었기 때문에 마을 사정을 잘 알 뿐만 아니라 영험이 있어 마을사람들이 소원하는 것을 들어준다고 생각하여 정월보름날 이곳에서 목신제를 지낸다. 세...
-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평안북도 신의주시를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1호는 일제강점기에 정비된 도로에서 시작되었다. 1905년 조치원에 경부선 철도역이 설립되고, 조치원과 주변 도회지를 연결하는 도로망이 정비되면서 조치원을 중심으로 한 옛 연기군 지역은 충청남도·충청북도 도로 교통의 거점이 되었다. 1920년대에는 조치원을 중심으로 당시 상업...
-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평안북도 신의주시를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1호는 일제강점기에 정비된 도로에서 시작되었다. 1905년 조치원에 경부선 철도역이 설립되고, 조치원과 주변 도회지를 연결하는 도로망이 정비되면서 조치원을 중심으로 한 옛 연기군 지역은 충청남도·충청북도 도로 교통의 거점이 되었다. 1920년대에는 조치원을 중심으로 당시 상업...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학리 몸티 마을에서 정월 대보름에 향나무에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학1리의 자연마을인 몸티를 중심으로 창말과 유계리 종고개 주민들이 음력 정월 보름날 마을의 안과태평·풍년을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동틀 무렵에 기고사를 지내고 오전 중에 수령 400년의 향나무에도 고사를 지낸다. 정확한 유래는 전하지 않는다. 향...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학리 몸티 마을에서 정월 대보름에 향나무에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학1리의 자연마을인 몸티를 중심으로 창말과 유계리 종고개 주민들이 음력 정월 보름날 마을의 안과태평·풍년을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동틀 무렵에 기고사를 지내고 오전 중에 수령 400년의 향나무에도 고사를 지낸다. 정확한 유래는 전하지 않는다. 향...
-
고려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 이혼(李混)[1252~1312]의 자는 거화(去華)·일우(一宇)·태초(太初), 호는 몽암(蒙菴)이다. 본관은 전의(全義)인데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짐으로써 분파하여 예안이씨 시조가 되었다. 할아버지는 보승별장(保勝別將)을 지낸 이순(李順)이고, 아버지는 응양군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지낸 이천(李仟)이다. 어머니는 문하시랑평장사(門...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와 장군면 대교리를 연결하는 고개.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와 장군면 대교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물이 넘어갔다는 의미의 이름이다. 무너미고개는 둔덕이 마을 서쪽의 국사봉(國師峰)[214.6m]에 있는 청룡굴로 물이 넘어갔다 하여 무너미고개라 하였다. 그런데 무너미고개는 동네 중간에 있는 고개로, 훗날 마을 한쪽에 저수지가...
-
세종 지역에서 무덤과 관련해 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덤설화’는 무덤이 성황당(城隍堂)으로 민속화하거나 명당 자리에 묘를 쓰면 나라와 자손이 번성한다고 믿는 풍수지리 사상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전설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무덤설화는 역사 인물과 관련되는 「말봉산의 말무덤」, 「권봉장군과 말무덤」 등이 있다. 「용호리의 아기무덤」처럼 무덤이 성황당으로 민...
-
조선 후기 전의현감을 지낸 문신. 정천경(鄭天卿)[1547~1600]은 충장공 정분(鄭苯)의 5세손이다. 아버지는 영동현감을 지낸 조봉대부 정인덕(鄭麟德)이다. 정천경은 1585년(선조 18) 을유 식년시 진사3등으로 합격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으로 참가하여 적군을 무찌른 공으로 선무원종 2등공신에 책록되었다. 1597년 임천군수로 부임하였고 1598...
-
조선시대 세종 지역 출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와 병마절도사 등 고위직을 지낸 무신. 류형(柳珩)[1566~1615]의 본관(本貫)은 진주(晋州), 자는 사온(士溫), 호는 석담(石潭)이다. 27세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창의사 김천일을 따라 강화에서 활동하다가 선조가 있는 의주 행재소로 가서 선전관에 임명되었다. 1594년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선조의 친유(親諭)[임금이나 군...
-
박진승을 시조로 하고 박선일과 박행일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박선일(朴善一)[1628~1708]과 박행일(朴行一)을 입향조로 하는 무안박씨 상서공파(尙書公派)가 16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응암리에 정착하여 2019년 현재까지 세거지를 이루며 살아오고 있다. 무안박씨의 시조(始祖)는 박진승(朴進昇)이다.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
조선 후기 성리학의 6대가 중 한 명으로, 세종 지역에 묘를 쓴 학자. 임성주(任聖周)[1711~1788]의 자는 중사(仲思), 호는 녹문(鹿門)이다. 본관(本貫)은 풍천(豊川)이다. 18세기 조선의 저명한 유학자로, ‘조선 성리학의 6대가’로 불렸다. 도암(陶菴) 이재(李縡)[1680~1746]의 문하에서 공부하며 학문을 익혔다. 만년인 1782년(정조 6)...
-
조선 후기 호서지역 낙론의 대가 중 한명으로,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전재(全齋)·희양재(希陽齋)이다. 유학의 거두로 유림의 추앙을 받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경서(經書)에 몰두하여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직에 나아가 이조참판과 대사헌 등을 지냈으나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
조선 후기 호서지역 낙론의 대가 중 한명으로,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전재(全齋)·희양재(希陽齋)이다. 유학의 거두로 유림의 추앙을 받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경서(經書)에 몰두하여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직에 나아가 이조참판과 대사헌 등을 지냈으나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문곡리(文谷里)는 부강리 동쪽에 자리하며 세 개의 리로 나뉜다. 부강약수터는 문곡1리 지역이고 새뜸 서쪽에 있다. 새뜸은 서남쪽에 새로 생긴 마을이다. 문곡1리에 속하며 세종하이텍고등학교[옛 부강공업고등학교] 앞 신작로 옆에 있다. 재챙이는 문곡1리 지역으로 새뜸 동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옹기점은 옹기를 구워 파는 가게라는...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 달미 주민들이 노고봉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 달미 마을은 노고봉 아래에 위치한다. 달미 마을 사람들은 예부터 노고봉 산신에게 안과태평과 질병퇴치를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었다. 제사는 매년 음력 10월 보름에 지내다가 20여 년 전부터 음력 1월 14일 저녁으로 일자를 옮겨 지내고 있다. 제의 비용은...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에서 발원하여 백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문곡천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을 흐르는 소하천에 해당하며, 조금만 가물어도 이내 물이 마르는 건천형 하천이다. 문곡천 주변의 지질은 흑운모편암과 중생대 쥐라기 반상화강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곡리 동쪽에 복두산이 있다. 문곡천의 주변에는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고, 곡저평야인 문곡...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거주한 문인. 이상(李翔)은 조선 후기 문인으로, 충청도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일대]에 세거하는 우봉이씨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숙종 대 정치적으로 서인 노론계 입장을 취하다 파직과 복직을 반복하고 끝내 기사환국(己巳換局)[1689년 남인이 희빈장씨의 소생인 원자 정호 세자의 책봉 문제로 서인을 몰아내고 재집권한 일]으로 옥사...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으로 사육신 박팽년의 아버지. 박중림(朴仲林)[?~1456]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호는 한석당(閑碩堂), 시호(諡號)는 문민(文愍)이다. 1423년(세종 5)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한 후 많은 관직을 역임하다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 후 아들인 박팽년(朴彭年)을 비롯하여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단종복위운동에...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김익정(金益精)[?~1436]의 자는 문비(文斐), 호는 운암(雲庵)이다. 경기도 개성군 송도면에서 태어난 김익정은 1396년(태조 5)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삼사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태종의 의중을 잘 알아 세종의 치세를 준비하였다. 성종조에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복창군(福昌君)에 봉하여졌다. 김익정은 김휴...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으로 금산전투에 참전한 무신. 변응정(邊應井)[1557~1592]은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 참전하였던 무신으로 전동면 청람리 일대에 거주하였던 원주변씨(原洲邉氏) 가문의 후손이다. 변응정의 본관(本貫)은 원주(原州)이고 자는 문숙(文淑)이다. 원양군(原陽君) 변사겸(邊士謙)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력(經歷) 변윤계(邊胤季)이며, 아버...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이자 학자. 송명흠(宋明欽)[1705~1768]은 조선시대 학자이다. 자는 회가(晦可), 호는 역천(櫟川)이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현손(玄孫)[증손자의 아들]이며,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문인이었다. 임성주(任聖周), 신소(申韶), 김양행(金亮行), 송명휘(宋明輝), 송환기(宋煥箕) 등...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문의현(文義縣)은 충청북도 청원군 부강면 일대가 소속되어 있던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백제 때 일모산군(一牟山郡)이었으나 757년(신라 경덕왕 16) 연산군(燕山郡)으로 고쳐지고 고려시대인 1260년(고종 46)에 문의현으로 고쳐졌다. 그 뒤 여러 차례 변천을 거쳐 1895년(고종 32) 군으로 승...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 이경억(李慶億)[1620~1673]은 본관(本貫)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석이(錫爾), 호는 화곡(華谷)이다. 1644년 25세 때 정시문과에서 장원급제한 후 고위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경윤(李燝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대건(李大建)이다. 아버지는 판서 이시발(李時發)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 신응거(申應榘)의 딸이...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 김경여(金慶餘)[1596~1653]의 자는 유선(由善), 호는 송애(松厓), 시호(諡號)[제왕이나 재상, 유현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는 문정(文貞)이다. 조선 후기 문신으로, 병자호란 당시 인조를 호종(扈從)[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여 따르던 일]하여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였다가 이듬해 청나라에 항복한 뒤에는...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 남이웅(南以雄)[1575~1648]은 병자호란을 전후한 시기에 정치권의 핵심에 있던 인물이다. 남이웅은 본관(本貫)이 의령(宜寧)이고, 자는 적만(敵萬), 호는 시북(市北)이다. 할아버지는 증좌찬성 남응운(南應雲)이다. 아버지는 군자주부(軍資主簿)를 지내고 참판에 추증된 남위(南瑋)이고, 어머니는 청주한씨이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앞에 맑고 아름답게 흐르는 미호천(美湖川)을 문관(文官)이 배를 타고 떠나는 것에 비유하여 문주(文舟)라고 하였다. 많은 인물이 배출된다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문주리에는 갈말, 골말, 건넝, 치마바우마을 등 자연 마을이 있다. 갈말마을은 문주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앞에 갈대가 많아서 붙은 명칭이다. 처음에 인천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일대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전월산과 함께 시민들에게 휴식과 행복도시의 전망을 제공하는 구릉성 산지이다. 원수산은 차령산맥의 정기를 이어받은 명산으로, 일명 부모산 또는 형제산이라 불린다. 고려 때인 1293년 몽골 합단적이 침입해 왔을 때 연서면 쌍전리에서 1차 전투를 하여 대패한 합단적이 금강을 건너 도망갔다. 그러나...
-
세종 지역과 관련하여 언어와 문자로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한 예술. 세종특별자치시의 문학은 세종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세종 지역에서 출생·거주하는 등 연고가 있는 사람이 언어를 활용하여 남긴 작품을 의미한다. 지역의 문학은 입으로 전승될 수도 있고 문자를 통하여 지금까지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전체를 포괄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문자화 된 작품을 중심...
-
세종 지역에서 문학 활동 발전과 회원 상호 간 친목 도모를 위한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 문학단체는 시, 소설, 희곡, 수필, 평론 등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활동을 하는 단체이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백수문학회’와 ‘한국문인협회 세종특별자치시 지회’가 대표적인 단체라 할 수 있다. 세종 지역에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전 연기군 시절부터 문학...
-
세종 지역에서 문학과 관련한 유적.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세종문화원 앞에는 조치원 청년회의소에서 건립한 성기조 시인의 시 「조치원에서」를 새긴 비가 건립되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 침산공원에는 보훈회에서 건립한 박경석 시인의 시 「충절의 고장에 보훈의 빛이」를 새긴 비가 건립되어 있다. 또한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람리...
-
세종 지역에 거주하는 문인과 소속 단체가 주관·운영하는 행사. 백수문학 동인회 중심으로 창설된 한국문인협회 조치원지부는 봄에 ‘도원 문화제’, 가을에 ‘가을 예술제’를 주관하였다. 봄에는 백일장, 가을에는 시화전·시낭송회·문학심포지엄으로 나누어 개최하였다. 그중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는 ‘학생 백일장’은 개최자와 참여자의 인적 구성 대부분이...
-
조선 후기 충청오현 중의 한 명으로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 이유태(李惟泰)[1607~1684]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태지(泰之), 호는 초려(草廬)이다. 신독재 김집(金集)의 천거(薦擧)[어떤 일을 맡아 할 수 있는 사람을 그 자리에 쓰도록 소개하거나 추천함]로 1634년(인조 12) 희릉참봉(禧陵參奉)이 되었다. 이어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 대군...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예술 활동, 문화 정책, 문화 예술과 관련된 단체와 제도. 세종특별자치시는 옛 충청남도 연기군 전체와 공주시 일부[현 장군면], 충청북도 청원군 일부[현 부강면]을 편입하여 2012년 7월 1일 출범하였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역할을 기대하며 세종대왕의 묘호를 딴 도시이다. 세종특별자치시는 2019년부터 2045년...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새롬동은 새로움의 준말로 생생하고 산뜻한 느낌이 있는 주거지역을 뜻하는 명칭이다. 새롬동은 새뜸마을로도 불리는데, 새롬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명칭 가운데 새뜸을 활용한 것이다. 송원리에 있었던 새뜸마을은 새로 닦은 터를 의미한다. 새롬동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과 웅천,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에 속했다. 191...
-
류차달을 시조로 하고 류의관과 류호인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류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고 류의관(柳義寬)과 류호인(柳好仁)을 입향조로 하는 문화류씨 후손이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전리와 성제리에 정착한 이후 집성촌을 형성하며 살아왔다. 문화류씨의 시조(始祖)[한 겨레나 가계에 맨 처음이 되는 조상]는 황해도 유주(儒州)의 호족 류...
-
류차달을 시조로 하고 류의관과 류호인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류차달(柳車達)을 시조로 하고 류의관(柳義寬)과 류호인(柳好仁)을 입향조로 하는 문화류씨 후손이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전리와 성제리에 정착한 이후 집성촌을 형성하며 살아왔다. 문화류씨의 시조(始祖)[한 겨레나 가계에 맨 처음이 되는 조상]는 황해도 유주(儒州)의 호족 류...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에 속한 법정리. 미곡리(美谷里)는 지역 계곡에 풍류가 있어서 선비들이 즐겨 찾던 곳이다. 미곡이란 시조(時調)와 학이 있듯 아름다운 계곡이라는 의미로 통칭하여 왔다. 자연마을로는 미륵당이·수구동·조일말·학당이 등이 있다. 미륵당이는 조일말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모퉁이에 미륵이 있어서 붙여진 지명이다. 수구동은 임진왜란 때 피난하였던...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무수골에서 매년 10월 무수골 산신령에게 마을의 평안과 주민 발복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무수골은 운주산 산자락에 조성된 마을이다. 무수골 마을 사람들은 예로부터 무수골[운주산] 산신에게 마을 평안과 주민 발복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었다. 제사는 매년 10월 중 길일을 택하여 운주산 중턱의 느티나...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미륵댕이 마을에서 매년 정월 열나흗날 미륵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1리 미륵댕이 마을에서 정월 열나흘에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위하여 마을 수호신으로 모시는 할아버지 미륵과 할머니 미륵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할아버지 미륵과 할머니 미륵은 미륵당이라 부르는 당집에 나란히 모셔져 있다. 두 가지 설이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에서 매년 정월에 마을 내 느티나무에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1구(제일말) 입구의 느티나무에서 매년 음력 정월에 길일을 택해 목신제를 모신다. 예전에는 미곡리 마을에 아름드리 느티나무가 있었다. 아름드리 나무에서 목신제를 지내왔는데 1970년 대에 땅 소유주가 느티나무를 베어 버렸다. 나무가 없으니 목신제는...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세종특별자치시에 글로벌 지식 경쟁력을 갖춘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지역특화산업 육성, 경제활성화 유도, 지역이미지 제고를 도모,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세종미래일반산업단지 관리...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세종특별자치시에 글로벌 지식 경쟁력을 갖춘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지역특화산업 육성, 경제활성화 유도, 지역이미지 제고를 도모,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세종미래일반산업단지 관리...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교과서 전문 박물관. 선조들이 서당에서 사용한 교재들과 개화기, 일제강점기, 8·15 광복 이후 시대, 제1차 교육과정기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 현장에서 사용한 교과서들을 수집·보관하고 있는 우리나라 유일의 교과서 박물관이다. 우리나라 교육 문화 발전사를 한눈에 살펴보고 미래의 한국 교육 발전을 책임진다는 인식 아래 미래엔에서 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세종특별자치시에 글로벌 지식 경쟁력을 갖춘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지역특화산업 육성, 경제활성화 유도, 지역이미지 제고를 도모,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세종미래일반산업단지 관리...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깊은 지성[배움의 즐거움을 알아요], 넓은 심성[세상의 아름다움을 느껴요], 높은 시민성[우리의 행복을 만들어요]’이다. 교육 비전으로 ‘즐거운 배움, 함께 나아가는 우리’이다. 2014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미르초등학교는 개교와 함께 지역사회 세종천연가스발전소, 세종우체국, 한국국악협회, 이마...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깊은 지성[배움의 즐거움을 알아요], 넓은 심성[세상의 아름다움을 느껴요], 높은 시민성[우리의 행복을 만들어요]’이다. 교육 비전으로 ‘즐거운 배움, 함께 나아가는 우리’이다. 2014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미르초등학교는 개교와 함께 지역사회 세종천연가스발전소, 세종우체국, 한국국악협회, 이마...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깊은 지성[배움의 즐거움을 알아요], 넓은 심성[세상의 아름다움을 느껴요], 높은 시민성[우리의 행복을 만들어요]’이다. 교육 비전으로 ‘즐거운 배움, 함께 나아가는 우리’이다. 2014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미르초등학교는 개교와 함께 지역사회 세종천연가스발전소, 세종우체국, 한국국악협회, 이마...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은 1960년 당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되었다. 발견된 비상 중 크기가 가장 작다. 1962년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
세종 지역에서 마을 또는 개인이 미륵을 신앙 대상으로 삼아 올리는 제사. 미륵 신앙은 미륵불과 미륵보살에 대한 불교 신앙이 민간화된 것이다.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머물고 있는 도솔천(兜率天)에 태어나기를 바라는 상생신앙(上生信仰)과 미래 인간 세계에 태어나 중생을 교화할 미륵불의 구원을 갈망하는 하생신앙(下生信仰)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 이래 미륵...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예양리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동평리를 잇는 미호천의 교량. 옛 충청북도 지방도 591호선 구간에 건설되었던 교량이다. 1994년 5월 25일 공사를 시작하여 1995년 11월 22일 완공하였다. 미호교는 미호천을 가로질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동평리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예양리를 연결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시도 13호선 도로상의 교...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문주리와 충청북도 청원군 흥덕구 오송읍을 잇는 미호천의 교량. 미호대교 지명은 미호천(美湖川)에서 유래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건설된 교량으로 교량 형식은 5주탑 1면 콘크리트 사장교(斜張橋)[Cable-Stayed Bridge]이며. 교량 길이는 800m, 교량 폭은 33.7m이다. 미호대교는 세종특별...
-
충청북도 음성군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의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미호천은 보강천과 합류하여 흐르다가 충청북도 청주시의 무심천(無心川)과 합류한 후 병천천과 만난다. 이후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으로 흘러 조천 등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미호천은 아름다운 호수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지만 문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누리리와 연동면 용호리를 잇는 미호천의 교량. 세종특별자치시 보롬교는 연기면 누리리[행정중심복합도시 6-1 생활권]에서 연동면 용호리[행정중심복합도시 5-3 생활권]를 잇는 미호천의 교량이다. 보롬교는 세종특별자치시 시도 제1호선 도로상의 교량이다. 2012년 9월 19일에 개통된 교량이다. 설계 시에는 가칭 미호천1교라 하였고...
-
세종 지역에서 예부터 사람들 사이에 전하여 내려오는 질병 치료법. 민간에는 다양한 경험적 질병 치료법이 전승되고 있다. 대부분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이 질병에 당면하여 자가치료 방식으로 민간요법을 활용한다. 약초나 약물성 식재료로 자가 처방하는 사례가 지배적이고 주술적인 방법이지만 무당을 초청하여 치료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지압·안마·사혈과 같은 물리적 요법도 전한다...
-
세종 지역에서 예부터 사람들 사이에 전하여 내려오는 질병 치료법. 민간에는 다양한 경험적 질병 치료법이 전승되고 있다. 대부분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이 질병에 당면하여 자가치료 방식으로 민간요법을 활용한다. 약초나 약물성 식재료로 자가 처방하는 사례가 지배적이고 주술적인 방법이지만 무당을 초청하여 치료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지압·안마·사혈과 같은 물리적 요법도 전한다...
-
세종 지역에서 예부터 사람들 사이에 전하여 내려오는 질병 치료법. 민간에는 다양한 경험적 질병 치료법이 전승되고 있다. 대부분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이 질병에 당면하여 자가치료 방식으로 민간요법을 활용한다. 약초나 약물성 식재료로 자가 처방하는 사례가 지배적이고 주술적인 방법이지만 무당을 초청하여 치료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지압·안마·사혈과 같은 물리적 요법도 전한다...
-
세종 지역에서 예부터 사람들 사이에 전하여 내려오는 질병 치료법. 민간에는 다양한 경험적 질병 치료법이 전승되고 있다. 대부분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이 질병에 당면하여 자가치료 방식으로 민간요법을 활용한다. 약초나 약물성 식재료로 자가 처방하는 사례가 지배적이고 주술적인 방법이지만 무당을 초청하여 치료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지압·안마·사혈과 같은 물리적 요법도 전한다...
-
세종 지역에 예부터 사람들 생활 속에서 비롯된 신앙, 관혼상제, 기예 및 놀이, 세시풍속, 의식주, 공예, 구비전승, 음악 등 전승 문화 전반을 이르는 말. 민속은 예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대중들이 살면서 집적한 문화 전반을 뜻한다. 의식주를 비롯하여 관혼상제, 민간신앙, 속신, 세시풍속, 생산의례, 민속놀이, 구비전승 등 인간 제반 삶과 관련되어 있다. 세...
-
세종 지역에 전하여 내려오는 민속놀이. 세종 지역 사람들이 놀고 있는 민속놀이 중에는 일본 놀이가 우리 놀이로 잘못 알려진 것이 많다.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 전통 놀이를 놀지 못하게 하고 일본 놀이만 놀게 한 정책 때문이다. 우리의 전통 놀이로 윷놀이·팽이치기·연날리기 등이 보편적이지만 조선 후기까지 세종 지역 사람들의 놀이에는 승경도·쌍육·저포·고누·장치기·...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에 있는 문화예술단체. 한국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 세종지회는 세종시의 민족예술인들이 결성한 문화예술단체이다. 최고 의결기구인 총회가 있으며, 지회장·운영위원회·사무처 등을 두고 있다. 운영위원회 산하에는 음악지부, 미술지부, 대중예술지부, 문학지부 등 각 지부가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과 자유와 평등적 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
세종 지역에 예부터 사람들 생활 속에서 비롯된 신앙, 관혼상제, 기예 및 놀이, 세시풍속, 의식주, 공예, 구비전승, 음악 등 전승 문화 전반을 이르는 말. 민속은 예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대중들이 살면서 집적한 문화 전반을 뜻한다. 의식주를 비롯하여 관혼상제, 민간신앙, 속신, 세시풍속, 생산의례, 민속놀이, 구비전승 등 인간 제반 삶과 관련되어 있다. 세...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민후건(閔後騫)[1571~1652]의 본관은 여흥(驪興)이고, 호는 월하(月河)이다. 민후건은 사마시에 입격한 이후 공조정랑으로서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원종공신이 되었고, 낙향 후 병자호란 때 연기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키는 등 적극적인 향촌 활동을 전개하였다. 평소 효성이 지극하던 민후건은 26세 때 모친이 병석에...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전망대. 밀마루전망대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앙행정타운을 조망(眺望)[먼 곳을 바라봄]하는 전망대로 중앙행정타운의 전경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전망대의 높이는 42m 이고 가장 높은 곳의 높이는 98m이다. 층수는 9층이다. 2009년에 완공되었고 2009년 3월 29일 개관하였다. 중앙행정타운이 건설되는 동안에도 개방되어 관람객을 받...
-
박언침을 시조로 하고 박건원, 박명, 박승조, 박자동, 박동온, 박치신 부인 청주한씨, 박지오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밀양박씨는 한국의 토착 성씨로,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원조로 하고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한다. 박언침은 신라 경명왕의 맏아들로,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밀양으로...
-
박언침을 시조로 하고 박건원, 박명, 박승조, 박자동, 박동온, 박치신 부인 청주한씨, 박지오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밀양박씨는 한국의 토착 성씨로,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원조로 하고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한다. 박언침은 신라 경명왕의 맏아들로,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밀양으로...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예양리에 있는 밀양박씨 5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밀양박씨 오충 정려(密陽朴氏五忠旌閭)는 충청도 연기군 북이면 두옥동(斗玉洞) 혹은 두도동(斗櫂洞)[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 출신으로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가 청주 상당산성(上黨山城)에서 전사한 박천붕(朴天鵬)[1545~1592]과 병자호란 때 전사한...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예양리에 있는 밀양박씨 5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밀양박씨 오충 정려(密陽朴氏五忠旌閭)는 충청도 연기군 북이면 두옥동(斗玉洞) 혹은 두도동(斗櫂洞)[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 출신으로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가 청주 상당산성(上黨山城)에서 전사한 박천붕(朴天鵬)[1545~1592]과 병자호란 때 전사한...
-
손순을 시조로 하고 손창조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밀양손씨 시조 손순(孫順)의 선계는 신라 개국 당시 사로국 6촌 촌장의 한 사람인 무산대수촌장(茂山大樹村長) 구례마(俱禮馬)이다. 구례마는 박혁거세를 신라의 왕으로 추대하여 개국공신이 되었고, 32년(유리왕 9)에 사성(賜姓)[임금이 공신에게 성(姓)을 내려 주는 일 또는 임금으로부터 성을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