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 지역 아이들이 넓은 마당에서 역할을 나누어 하는 술래잡기 놀이. ‘아기 때리기’ 놀이에 대하여 1990년 1월 15일 금남면 장재리의 김광휘가 제보한 내용이다. 아기 때리기 놀이는 어린이들이 사시사철 노는 놀이로, 평탄하고 넓은 곳에서 원을 두 개 겹쳐 그린다. 안쪽 가운데 원은 지름이 1m 정도 크기로 그리고 바깥 원은 30~50㎝ 정도 더 크게 원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와 금남면 집현리를 잇는 금강의 교량. 아람찬교는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금강 구간에 네 번째로 건설된 가칭 금강4교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시도제1호선 도로상의 교량이다. 2016년 1월 5일에 개통되었으며,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중심으로 한 환상형 내부순환도로상에 놓인 교량이다. 예부터 하늘·땅·사람을 상징하는 삼태극[天,...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아름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세종의 중심! 명문 아름고!’이고, 교육 목표는 ‘지성·감성·덕성을 겸비한 창의적 아름인 육성’이다. 아름고등학교는 2014년 3월 3일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남녀 공학으로 개교하였다. 아름고등학교는 특색 교육활동으로 미소, 칭찬, 배려의 행복 바이러스 3 운동을...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아름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세종의 중심! 명문 아름고!’이고, 교육 목표는 ‘지성·감성·덕성을 겸비한 창의적 아름인 육성’이다. 아름고등학교는 2014년 3월 3일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남녀 공학으로 개교하였다. 아름고등학교는 특색 교육활동으로 미소, 칭찬, 배려의 행복 바이러스 3 운동을...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둘레가 한아름 넘치는 주민들의 풍족한 주거지역을 바라는 의미에서 아름이라는 한글 명칭이 지어졌다. 아름동은 범지기 마을로도 불리는데, 이는 아름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명칭 가운데 범지기 마을을 활용한 것이다. 고정리에 자리한 범지기 마을의 모습이 범이 누워있는 형상과 닮았다고 보았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책임행정기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처리하는 행정 업무 외에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위임받은 154개 업무를 처리하는 책임행정기관이다. 기존의 아름동에서 처리하던 사무에 더하여 기존에 시청에서 처리하던 154개 사무를 아름동장 책임 아래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책임행정 관할구역은 아름동, 도담동, 고운동, 종촌동, 어진동 등...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책임행정기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처리하는 행정 업무 외에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위임받은 154개 업무를 처리하는 책임행정기관이다. 기존의 아름동에서 처리하던 사무에 더하여 기존에 시청에서 처리하던 154개 사무를 아름동장 책임 아래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책임행정 관할구역은 아름동, 도담동, 고운동, 종촌동, 어진동 등...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아름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소중한 우리! 즐거운 배움! 꿈꾸는 학교!’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나’를 발견하고 ‘너’를 인정하며 함께 성장하는 ‘우리’, 하나가 만드는 우리, 우리가 만드는 하나, 함께 배우는 교실, 꿈꾸는 아름인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학교장의 경영관은 학생 스스로 기획하고 실천하는 학...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아름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소중한 우리! 즐거운 배움! 꿈꾸는 학교!’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나’를 발견하고 ‘너’를 인정하며 함께 성장하는 ‘우리’, 하나가 만드는 우리, 우리가 만드는 하나, 함께 배우는 교실, 꿈꾸는 아름인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학교장의 경영관은 학생 스스로 기획하고 실천하는 학...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아름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로운 어린이, 더불어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도전하는 어린이’이다. 교육 비전으로는 ‘나를 사랑하고 배려하는 행복한 아름공동체’를 제시한다. 2014년 3월 1일 13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문적학습공동체 선도학교로 지정·운영되었다. 특색교육으로 ‘따뜻한 무지개빛 인...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아름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로운 어린이, 더불어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도전하는 어린이’이다. 교육 비전으로는 ‘나를 사랑하고 배려하는 행복한 아름공동체’를 제시한다. 2014년 3월 1일 13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문적학습공동체 선도학교로 지정·운영되었다. 특색교육으로 ‘따뜻한 무지개빛 인...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아름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로운 어린이, 더불어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도전하는 어린이’이다. 교육 비전으로는 ‘나를 사랑하고 배려하는 행복한 아름공동체’를 제시한다. 2014년 3월 1일 13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문적학습공동체 선도학교로 지정·운영되었다. 특색교육으로 ‘따뜻한 무지개빛 인...
-
이주좌를 시조로 하고 이명홍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이주좌(李周佐)[?~1040]를 시조로 하고 이석번(李碩磻)을 파조로 하는 아산이씨 아성군파(牙城君派)가 1600년대에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문주리 입향 이래 지금까지 살고 있다. 아산이씨의 시조 이주좌는 경주이씨(慶州李氏) 중시조 이거명(李居明)의 5세손이다. 고려 목종 때 과거...
-
신익휴를 시조로 하고 신경환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신익휴(申益休)를 시조로 하고 신간(申幹)을 파조로 하는 아주신씨 직장공파가 1800년대 후반에 세종 지역인 연동면 송용리에 정착하여 살고 있다. 아주신씨는 평산신씨(平山申氏)에서 분관한 성씨이다. 시조는 평산신씨 12세손 신익휴로, 고려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문하시랑(門...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안광조(安光祚)[1884~1920]는 채응언의 의병부대에서 활동한 의병가이다. 1919년에 안광조가 36세인 점으로 미루어 1884년 무렵에 출생한 것으로 짐작된다. 출신 가문이나 성장 과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안광조는 1907년 헤이그 특사 의거와 광무황제 강제 퇴위를 계기로 전국적으로 의병 전쟁이 격화되어 갈 때...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 주변에 있던 나무로 된 넓은 다리에서 유래하는 명칭이다. 다리 이름은 너더리로, 마을 안쪽에 위치하여 안너더리 또는판교(板橋)·내판(內板)으로 불리었다. 내판리에는 너더리, 역전, 새말, 연못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너더리는 널다리[板橋]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마을 앞에 널로 만든 다리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역전...
-
권행을 시조로 하고 권은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고 권은(權訔)을 입향조로 하는 안동권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와 청송리 등을 중심으로 번성하여 지금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는 전동 지역의 대표 성씨이자 유력 성씨이다. 안동권씨의 시조는 권행이지만 원래 이름은 김행(金幸)이며, 신라의 왕성(王城)...
-
권행을 시조로 하고 권은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고 권은(權訔)을 입향조로 하는 안동권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와 청송리 등을 중심으로 번성하여 지금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는 전동 지역의 대표 성씨이자 유력 성씨이다. 안동권씨의 시조는 권행이지만 원래 이름은 김행(金幸)이며, 신라의 왕성(王城)...
-
김숙승을 시조로 하고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고 김방경(金方慶)[1212~1300]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김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소정면 운당리, 연동면 내판리에 정착하여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현재 전서공파(典書公派),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 익원군파(翼元公派) 후손들이 세종특별자치시 전 지역에...
-
김숙승을 시조로 하고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고 김방경(金方慶)[1212~1300]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김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소정면 운당리, 연동면 내판리에 정착하여 집성촌을 형성하였다. 현재 전서공파(典書公派),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 익원군파(翼元公派) 후손들이 세종특별자치시 전 지역에...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에 있는 안동김씨 2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안동김씨 쌍효 정려는 안동김씨 집안의 김익정(金益精)[?~1436]과 김익정의 현손(玄孫) 김사준(金師俊)[1439~1520]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김익정은 김휴(金休)의 아들로, 호는 운암(雲庵)이다. 경기도 개성군 송도면에서 태어나 13...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김기철의 처 밀양손씨와 김성흠의 처 창녕성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정려. 열녀 밀양손씨 창녕성씨 정려는 안동김씨 가문의 고부 밀양손씨(密陽孫氏)와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양세정려기(兩世旌閭記)’와 ‘열녀정려기(烈女旌閭記)’에 의하면 밀양손씨는 어려서부터 부덕을 익혀 부모에게...
-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에 있는 낮은 통로. 고개는 대체로 산등성이를 넘는 곳을 말하며, 재[岾]·영(嶺)·마루·현(峴)·치(峙)·안부(鞍部)·티·항(項)이라고도 한다.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한 옛날에 산으로 막힌 이웃 지역을 오가는 데 고개를 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편리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차령산맥의 주맥과 지맥이 통과하는 지...
-
세종 지역에서 가정 주부가 집안 가신에게 가족의 건강과 무탈, 집안 번영 등을 기원하며 지내는 고사. 안택고사는 집안 안정, 가족 건강, 가정 번영 등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고사이다. 유사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의례로 안택굿을 꼽을 수 있지만 굿은 무당이 의례를 주도한다고 하는 점에서 안택고사와 구별된다. 안택고사는 해당 가정의 주부가 중심이 되어 비손[손을 비비며...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합강리 합호서원에 소장되어 있던 고려시대 주자학자 안향의 영정. 고려시대 문신 안향(安珦)[1243~1306]의 초상화로,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합강리에 위치한 합호서원(合湖書院)에 위패와 함께 모셔져 있었다. 초상은 현재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에서 소장 중이다. 안향은 고려시대 명신이자 학자이다. 호는 매헌(晦軒), 시호는 문성(文成),...
-
세종 지역에서 무당이나 법사가 앉은 채로 꽹과리와 북을 두드리고 무경을 구송하며 진행하는 무속 의례. 앉은굿이라는 용어는 무당이나 법사가 굿을 진행할 때 취하는 자세에 근거하여 나온 말이다. 본래 앉은굿은 여성 무당보다 경객(經客)이나 법사(法師)가 중심이 되어 행하였다. 경객이나 법사는 북이나 꽹과리를 앞에 두고 두드리면서 경문을 구송하는 방식으로 굿을 진행하였다. 앉...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명학리는 마을과 주변의 형상이 학(鶴)과 닮아 원명학 또는 알봉골로 불리었다. 마을은 학이 앉아 있는 형국이고 뒷산의 바위는 학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이다. 주변은 학이 날아가는 형국으로 뒷산은 머리에 해당하고 양쪽 산은 날개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명학리에는 명학, 황우재, 외태, 내태, 서당말, 원당골 등 자연 마을이 있...
-
세종 지역에서 암석의 유래나 이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세종특별자치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암석설화가 전해진다. 암석의 형상에 이름을 붙인 유래담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역사적 인물보다 고단한 민중의 삶과 애환을 다루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거암괴석이 상당하여 암석의 유래나 이름에 대한 설화가 다수 채집된 바 있다. 1970년대 이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와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을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앵청이나루는 금강 둑에 많이 심어져 있던 벚나무를 의미하는 한자 ‘앵화(櫻花)’에서 유래하였다. 과거 연기면 세종리[옛 남면 양화리]에 ‘앵청이’라는 아가씨가 주막을 하고 있었는데 주막에서 쉬어가곤 했던 뭇 사내들이 아가씨의 이름을 따서 나루에 붙인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아가씨...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와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을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앵청이나루는 금강 둑에 많이 심어져 있던 벚나무를 의미하는 한자 ‘앵화(櫻花)’에서 유래하였다. 과거 연기면 세종리[옛 남면 양화리]에 ‘앵청이’라는 아가씨가 주막을 하고 있었는데 주막에서 쉬어가곤 했던 뭇 사내들이 아가씨의 이름을 따서 나루에 붙인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아가씨...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와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을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앵청이나루는 금강 둑에 많이 심어져 있던 벚나무를 의미하는 한자 ‘앵화(櫻花)’에서 유래하였다. 과거 연기면 세종리[옛 남면 양화리]에 ‘앵청이’라는 아가씨가 주막을 하고 있었는데 주막에서 쉬어가곤 했던 뭇 사내들이 아가씨의 이름을 따서 나루에 붙인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아가씨...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 신후윤(愼後尹)[1640~1713]의 호는 야수(野獸)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취촌·대곡리에서 살았으므로 모두 신후윤을 대곡선생이라 하였다. 숙종 대의 복잡다단한 정파적 이해관계 속에서 스승 타우 이상과 우암 송시열을 향한 사은(師恩)[스승의 은혜]으로 충효와 더불어 유자(儒者)[유학을 공부하는 선비]의 책무인 스...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의 약수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약사골」 설화는 고려시대 연동면 노송리에 있던 강당[서당]의 서생인 박천석이 남편을 잃은 여인을 겁탈하려 하였고, 저항하던 여인이 자결하자 이후 약수터의 물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는 지명설화이다. 1988년 연기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연기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연기군지』에는 최문휘의...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의 약수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약사골」 설화는 고려시대 연동면 노송리에 있던 강당[서당]의 서생인 박천석이 남편을 잃은 여인을 겁탈하려 하였고, 저항하던 여인이 자결하자 이후 약수터의 물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는 지명설화이다. 1988년 연기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연기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연기군지』에는 최문휘의...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의 약수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약사골」 설화는 고려시대 연동면 노송리에 있던 강당[서당]의 서생인 박천석이 남편을 잃은 여인을 겁탈하려 하였고, 저항하던 여인이 자결하자 이후 약수터의 물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는 지명설화이다. 1988년 연기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연기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연기군지』에는 최문휘의...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이자 양주조씨 입향조. 조계원(趙啓遠)[1592~1670]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당시 군량을 보급하고 볼모로 심양(瀋陽)에 가 있던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좌하였던 인물이다. 후손들의 전언에 따르면 1674년(현종 15)에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하면서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와 인연을 맺었고 첫째 아들인 조진석이 사망...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양곡리(陽谷里)는 압곡리·상세곡리·하세곡리·양지리를 병합하여 ‘양지’와 ‘압곡’의 이름을 따서 ‘양곡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가느실마을·봉두미마을·아래가느실마을·주막뜸마을 등이 있다. 가느실마을은 가는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며 세곡이라고도 불린다. 봉두미마을은 봉의 머리와 같이 생긴 산인 봉두산 앞에...
-
세종 지역 저명 성씨인 안동김씨의 전의면 양곡리 동족마을 동족조직과 운영 모습. 안동김씨 세종특별자치시 입향 중심인 전서공파의 시제 및 종회 조직·운영모습·절차를 통하여 세종 지역의 전통적인 동족마을 모습을 엿보게 한다. 안동김씨 전서공파의 시제(時祭)[음력 10월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학당이 마을에서...
-
이수광을 시조로 하고 이희년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이수광(李秀匡)을 시조로 하고 이인부(李仁富)를 파조로 하는 양성이씨는 1400년대 후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에 정착한 이래 전의면 서정리와 읍내리 등에 옮겨 살면서 양성이씨 이시중파를 형성하였다. 양성이씨 시조 이수광은 송나라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문종 때 삼중대광보국...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성이복(成爾復)[1713~1776]의 아버지는 성석장(成碩章)이고,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태한의 딸이다. 큰아버지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성규장(成奎章)에게 양자로 출계(出系)[양자로 들어가서 그 집의 대를 이음]하였다. 성이복은 효성이 지극하였다. 양부 성규장이 병들자 ‘하늘의 힘을 빌리는 수밖에 없다.’하고 집...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에 있는 성이복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정려. 효자 성이복 정려는 성이복(成爾復)[1713~1776]의 효행을 후세 사람들에게 본보기로 남기고자 1891년(고종 28)에 명정을 받아 1892년에 건립되었다. 성이복은 본관이 창녕이고, 자는 양숙(陽叔)이다. 생부는 성석장(成碩章)[1689~1743], 생모는 전의이씨 이태...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 최지성은 1795년에 장원급제하여 정조 재위 시 이조정랑과 사간원정언 등을 지내고 현풍현감을 지낸 문신이다. 최지성의 할아버지는 최고(崔暠)이고 아버지는 통정대부 최의경(崔義敬)이다. 어머니 청도김씨(淸道金氏)는 김헌재(金憲再)의 딸이다. 최지성(崔之聖)[1756~1805]의 본관(本貫)은 강화, 호는 환재(環齋)...
-
조잠을 시조로 하고 조존외, 조계원, 조원희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시조 조잠(趙岑)은 고려 때 양주호장(楊州戶長)을 지내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추증(追贈)[종2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던 일]되었다. 조잠의 증손대에 이르러 조계생(趙啓生)을 파조로 하는 정평공파(靖平公派), 조유중(趙惟...
-
조잠을 시조로 하고 조존외, 조계원, 조원희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시조 조잠(趙岑)은 고려 때 양주호장(楊州戶長)을 지내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추증(追贈)[종2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던 일]되었다. 조잠의 증손대에 이르러 조계생(趙啓生)을 파조로 하는 정평공파(靖平公派), 조유중(趙惟...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원성리에 있는 양주조씨 3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양주조씨 삼효 정려는 양주조씨 조수빈(趙秀彬)[1745~1824]과 조명빈(趙命彬)[1749~1832] 형제, 조수빈과 조명빈의 팔촌인 조만빈(趙萬彬)의 손부 조백규(趙百逵) 처 경주김씨(慶州金氏)[1764~1816]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원성리에 있는 양주조씨 3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양주조씨 삼효 정려는 양주조씨 조수빈(趙秀彬)[1745~1824]과 조명빈(趙命彬)[1749~1832] 형제, 조수빈과 조명빈의 팔촌인 조만빈(趙萬彬)의 손부 조백규(趙百逵) 처 경주김씨(慶州金氏)[1764~1816]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양지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지·덕·체를 갖춘 민주시민 양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있는 사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높...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양지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지·덕·체를 갖춘 민주시민 양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있는 사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높...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양지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교육공동체 모두가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바르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사람, 소통하고 배려하는 성숙한 민주시민 육성, 멀리 보고 크게 생각하는 사람을 추진 과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새로운 생각’, ‘따뜻한 마음’, ‘올곧은 행동’이다. 2015년 3월 1일 세...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양지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교육공동체 모두가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바르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사람, 소통하고 배려하는 성숙한 민주시민 육성, 멀리 보고 크게 생각하는 사람을 추진 과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새로운 생각’, ‘따뜻한 마음’, ‘올곧은 행동’이다. 2015년 3월 1일 세...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양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눔과 배려로 행복을 실천하는 학생, 심신을 단련하고 능력을 계발하는 학생, 문화적 소양을 기르는 품위있는 학생, 창의성과 도전정신으로 창조하는 학생’이다. 학교 비전은 ‘새롭고·조화로운·행복한 학교’이다. 교훈은 ‘따뜻한 마음, 올곧은 행동, 넓고 깊은 생각’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양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눔과 배려로 행복을 실천하는 학생, 심신을 단련하고 능력을 계발하는 학생, 문화적 소양을 기르는 품위있는 학생, 창의성과 도전정신으로 창조하는 학생’이다. 학교 비전은 ‘새롭고·조화로운·행복한 학교’이다. 교훈은 ‘따뜻한 마음, 올곧은 행동, 넓고 깊은 생각’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양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눔과 배려로 행복을 실천하는 학생, 심신을 단련하고 능력을 계발하는 학생, 문화적 소양을 기르는 품위있는 학생, 창의성과 도전정신으로 창조하는 학생’이다. 학교 비전은 ‘새롭고·조화로운·행복한 학교’이다. 교훈은 ‘따뜻한 마음, 올곧은 행동, 넓고 깊은 생각’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
-
허선문을 시조로 하고 허돈, 허징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허선문(許宣文)을 시조로 하는 양천허씨 승지공파(承旨公派)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에 터를 이루었고, 덕천공파(德川公派)와 초당공파(草堂公派)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집현리에 정착한 이래 서로 이웃한 마을에서 집성촌을 이루며 살아왔다. 양천허씨의 시조 허선묵은 가락...
-
조선 후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하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덕성서원에 배향된 학자. 전우(田愚)[1841~1922]의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고옹(蠱翁)·양하왕인(陽下尫人)이다.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이다. 21세에 당시의 거유(巨儒|鉅儒)[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서울에서 직접 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있는 수령 약 650년의 은행나무. 연기 세종리 은행나무는 암수 두 그루가 서로 마주 보고 심어져 있다. 은행나무 옆에는 임난수 장군의 사당인 숭모각[세종특별자치시 향토유적 제35호]이 있다. 은행나무는 불교와 함께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곳곳에 심어졌다.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 우리나라 전역에서 잘 자라는...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어서각 역사공원에 있는 조선시대 왕들의 친필이 봉안된 건물. 어서각(御書閣)은 조선의 태조(太祖)[1335~1408], 영조(英祖)[1724~1776], 정조(正祖)[1752~1800], 고종(高宗)[1852~1919]이 직접 쓴 글씨를 모신 서각(書閣)이다. 태조의 친필은 1395년(태조 4) 12월 22일 이성계의 두 번째...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어진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나’를 사랑하고 ‘너’를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사람[자주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인성인],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창의인], 긍정적 사고로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어진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나’를 사랑하고 ‘너’를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사람[자주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인성인],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창의인], 긍정적 사고로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
세종 지역의 언론·출판 역사. 1945년 해방이 되자 『인민보』, 『민중일보』, 『자유신보』, 『중앙신문』 등이 발간되기도 하였으나 컬프 충남지사가 시설을 환수하여 『동방신문(東邦新聞)』으로 이름을 고쳐 신문을 발행하게 되어 『동방신문』이 충청남도 지역 유일의 우리말 신문으로 활약하였다. 한편 온양에서는 『경남신보(京南新報)』라는 주간신문이 1946년 7월에 나왔으나 재...
-
김선을 시조로 하고 김천만을 파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김선(金鐥)을 시조로 하고 김천만(金天萬)을 파조로 하는 언양김씨 통정공파(通政公派)가 18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입향한 이래 일가를 이루며 살아오고 있다. 언양김씨의 시조는 김선이다. 신라 경순왕의 일곱째 아들이며 고려 태조의 외손자로, 언양군(彦陽君)에 봉해져 언양...
-
세종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및 언어 상황. 세종특별자치시는 한반도 남쪽의 중앙부이자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접경 지역에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로 독립하였지만 2012년 이전까지만 하여도 충청남도 연기군 지역이었다. 그러므로 세종특별자치시의 언어는 충청남도 방언, 그중에서도 연기군의 방언을 토대로 한다. 또한 세종특별자치시는 동쪽에 충청북도 청주시, 서쪽에 충청남...
-
조선 전기 동학사 숙모전의 전신인 초혼단을 만들고, 세종 지역에 은거한 충신이자 효자. 정지산(鄭之産)[1396~1467]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언평(彦平), 호는 포신(逋臣) 또는 포옹(逋翁)이다. 세조의 계유정난 때 화를 당한 우의정 정분(鄭苯)의 양자이다. 양어머니는 원주변씨(原州邉氏)[1396~1467]이다. 1445년(세종 27) 사마시에 합격...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김종철(金宗喆)[1755~1817]의 본관은 강릉이고, 자는 여명(汝明)이다. 김상기(金尙基)의 둘째 아들이다. 어린 시절부터 효성이 남달리 지극했던 김종철은 8세가 되던 해 어머니가 병으로 눕게 되자 어린 나이에도 곁을 떠나지 않았고, 찬 이슬을 맞아 가며 하늘에 기도하는 등 지성으로 봉양하였다. 모친이 식사하는 수저의 각도를 살피는...
-
송유익을 시조로 하고 송인남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고 송서(宋瑞)[?~1353]를 파조로 하는 여산송씨 정가공파(正嘉公派)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대리 고소재 마을에 입향한 이래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여산송씨의 시조 송유익은 고려시대에 진사(進士)로서 여산군(礪山君)에 봉하여졌다. 송유...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무신. 윤각(尹慤)[1665~1724]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여성(汝誠)이다. 비변사낭관, 도총부도사, 초계군수, 전주영장, 전라도수군절도사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특히 함경남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백두산 경계를 사정(査定)[조사하거나 심사하여 결정함]하고, 백두산 남쪽 산천의 형태를 그려 올린 것으로 유명하다...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소나무목 소나뭇과에 속하는 상록침엽 교목. 소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교목으로 학명은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이다. 다 자란 나무의 높이 35m는 지름 2m 정도까지 자라며 가지가 넓게 퍼진다. 나무껍질은 적갈색 또는 짙은 갈색으로 거북이 등처럼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나뭇잎은 바늘 모양으로 2개씩 뭉...
-
진총후를 시조로 하고 진한번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여양진씨는 집의공파(執義公派) 진한번(陳漢藩)[1526~1572]이 1500년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인 옛 연기군 금남면 반곡리에 입향한 이래 480여 년 동안 세거하며 집성촌을 이룬 세종특별자치시의 대표적인 성씨이다. 여양진씨는 진총후(陳寵厚)를 시조로 한다. 고려 예종...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여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 꿈이 움트는 행복 여울’이다. 교훈은 ‘생각하고 느끼며 실천하는 여울인’이다. 2017년 3월 1일 7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을 편성하여 2017년 3월 3일 개교하였다. 2017년 9월 1일 16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2018년 3월 1일 23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여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 꿈이 움트는 행복 여울’이다. 교훈은 ‘생각하고 느끼며 실천하는 여울인’이다. 2017년 3월 1일 7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을 편성하여 2017년 3월 3일 개교하였다. 2017년 9월 1일 16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2018년 3월 1일 23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여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즐거운 배움 꿈이 움트는 행복 여울’이다. 교훈은 ‘생각하고 느끼며 실천하는 여울인’이다. 2017년 3월 1일 7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을 편성하여 2017년 3월 3일 개교하였다. 2017년 9월 1일 16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2018년 3월 1일 23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 일대에 있는 산. 부용산은 연화부수형의 명당이 있는 높이 222m의 산으로, 정상에 오르기 전 구덩이가 있는 곳까지를 부용봉이라고 한다. 부용리 마을 뒤에 있는 산으로, 연꽃이 물에 뜬 형국의 명당이라 하여 명산으로 꼽힌다. 연꽃 형국인 부용봉이 무거워서 가라앉는다 하여 전해오는 풍수지리적 생각에 따라 부용봉 주위에 묘를 쓸 때는 비석이라든지...
-
민칭도를 시조로 하고 민후건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여흥민씨는 민후건이 17세기 초반에 연기현 월하방에 입향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흥민씨(驪興閔氏) 시조는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한 민칭도(閔稱道)이다. 민칭도는 공자의 10제자 중 한 사람인 민손(閔損)의 후손으로, 고려 중엽에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
-
세종 지역의 역사에 대한 개관. 세종특별자치시 관련 역사기록은 『삼국사기』 지리4 백제편에 ‘두잉지현과 구지현’이라는 지명으로 처음 등장한다. 따라서 역사 기록을 기준으로 본다면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시대는 백제시대부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선사시대 유물이 출토된 것을 기준으로 본다면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세종특별자치...
-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전의현과 연기현을 관통하는 역로에 세워 통신, 교통 및 숙박 기능을 담당하던 역과 원. 역(驛)은 전근대 사회의 교통·통신 기관으로, ‘우역(郵驛)’이라고도 한다. 역에는 기본적으로 말[馬匹]과 역장(驛長)·역정(驛丁) 등 관리 인원을 두고 국가 명령과 공문서 전달 업무를 맡았으며, 공무(公務)로 인한 여행자에게 필마(匹馬)를 제공하고 숙식 알선을 담당하였다...
-
고려시대 세종 지역의 역로에 설치되어 통신·교통·숙박 기능을 담당하던 교통·통신 기관. 역(驛)은 전근대 사회에서의 교통·통신 기관으로, ‘우역(郵驛)’이라고도 한다. 역에는 기본적으로 말[馬匹]과 역장(驛長)·역정(驛丁) 등 관리 인원을 두고 국가 명령 및 공문서 전달, 공무(公務)로 인한 여행자에 대한 필마(匹馬) 제공 및 숙식 알선을 담당하였다. 이외에도 사신 왕래에 따른 영...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이자 학자. 송명흠(宋明欽)[1705~1768]은 조선시대 학자이다. 자는 회가(晦可), 호는 역천(櫟川)이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현손(玄孫)[증손자의 아들]이며,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문인이었다. 임성주(任聖周), 신소(申韶), 김양행(金亮行), 송명휘(宋明輝), 송환기(宋煥箕) 등...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있는 원삼국시대~백제시대 유적. 나성리 유적은 금강의 북쪽에 형성된 충적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앞서 확인된 유적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시행에 앞서 발굴된 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원삼국시대 널무덤[토광묘(土壙墓)], 삼국시대 백제...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향나무. 연기 봉산동 향나무는 조선 중종 때 최완이 봉산동 지역에 정착한 뒤 숨지자, 최완의 아들 최중룡(崔重龍)이 서울에서 내려와 시묘살이를 하고 효성을 후손에게 보이기 위하여 심었다고 전하여진다. 향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정원수 등으로 널리 심어져 왔으며 향의 원료나 가구의 원료...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있는 수령 약 650년의 은행나무. 연기 세종리 은행나무는 암수 두 그루가 서로 마주 보고 심어져 있다. 은행나무 옆에는 임난수 장군의 사당인 숭모각[세종특별자치시 향토유적 제35호]이 있다. 은행나무는 불교와 함께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곳곳에 심어졌다.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 우리나라 전역에서 잘 자라는...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있는 백제의 주거지 유적. 송원리 유적은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서 삼국시대 백제의 대규모 횡혈식석실묘와 석곽묘가 발견된 유적이다.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 시행에 앞서 발견된 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백제 횡혈식석실분·석곽묘·토광묘·주구토광묘·옹관...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 기와말 마을에 있는 백제시대 유물산포지. 연서면소재지에서 남동쪽으로 약 4㎞ 지점에 연서면 와촌리 기와말 마을이 위치한다. 마을 입구에서 북쪽으로 인접한 지역에 옛 와촌초등학교가 있었으며, 백제토기 출토지는 와촌초등학교 뒤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지막한 능선의 하단부에 해당한다. 현재 유물산포지는 대부분 밭으로 경작되고 있으며, 일부...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에 있는 개항기 흥선대원군이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을 경계하기 위하여 세운 비석. 척화비는 1866년(고종 3) 병인양요(丙寅洋擾)와 1871년 신미양요(辛未洋擾)를 겪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쇄국의 결의를 굳히고 온 국민에게 외세의 침입을 경계하기 위하여 1866년 비문을 짓고 1871년 4월 서울을 비롯하여 전국의 각처에 세운 비이다...
-
백제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두잉지현(豆仍只縣)은 백제시대 지명으로, 오늘날 정부세종청사를 포함한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의 백제시대 지명이다. ‘두잉지’의 어의와 어형에 대한 언어학 연구를 통하여 ‘두 내가 합쳐진다’는 뜻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된 바 있다. 연기면이 ‘미호천’과 ‘금강’이 합류하는 지역에 해당...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연기현(燕岐縣)은 조선 건국 이후 1413년(태종 13) 전국적인 지방제도 개편 때 제정되어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으며, 1895년(고종 32) 현(縣)을 군(郡)으로 일괄 개칭할 때 연기군으로 개칭되어 유지되다가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세종특별자치시에 흡수·폐지되었다. 1...
-
1895년 충청남도 연기를 중심으로 편성되어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로 통합된 옛 행정 구역. 1895년(고종 32) 5월 26일 칙령 제98호로 충청도를 폐지할 때연기와 전의의 행정 지위가 군으로 승격되었다.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부제를 다시 개정하고 각 부와 군을 5등급으로 차등하여 연기군·전의군이 충청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2010년 12월 ‘세종특별자치...
-
1895년 충청남도 연기를 중심으로 편성되어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로 통합된 옛 행정 구역. 1895년(고종 32) 5월 26일 칙령 제98호로 충청도를 폐지할 때연기와 전의의 행정 지위가 군으로 승격되었다. 1896년 8월 4일 칙령 제36호에 따라 부제를 다시 개정하고 각 부와 군을 5등급으로 차등하여 연기군·전의군이 충청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2010년 12월 ‘세종특별자치...
-
1947년 세종 지역에서 일어난 기미년 만세운동의 역사적 의의를 후학들에게 전승하기 위한 기념식. 묵재(黙齋) 홍일섭(洪日燮)[1878~1935]과 경호(鏡湖) 장재학(張在學)[1862~1919]은 만세운동 당시 민족혼을 되살리는 데 노력한 인물들이다. 홍일섭은 시종원주사로 일하다 헤이그 밀사 사건으로 고종황제가 양위하자 고향으로 돌아와 있다가 조치원 시장에서...
-
1945년 12월 29일 조치원읍 공회당에서 신탁통치를 반대하는 단체를 조직한 사건.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미·소 군정이 38도선을 경계로 각각 남과 북에서 실시되었다. 1945년 12월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3국[미국, 영국, 소련] 외상 회의에서 연합국의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하여 공동 위원회와 임시 정부가 최고 5년간의 신탁 통치 협정을 맺을 것에 합의하였다....
-
1945년 12월 29일 조치원읍 공회당에서 신탁통치를 반대하는 단체를 조직한 사건.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미·소 군정이 38도선을 경계로 각각 남과 북에서 실시되었다. 1945년 12월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3국[미국, 영국, 소련] 외상 회의에서 연합국의 전후 처리 문제를 논의하여 공동 위원회와 임시 정부가 최고 5년간의 신탁 통치 협정을 맺을 것에 합의하였다....
-
1945년 12월 30일 신탁통치에 찬성하는 연기군 좌익 세력 중심의 운동. 연합국은 카이로 회담, 얄타 회담, 포츠담 회담 등을 연쇄적으로 개최하였음에도 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기 전에 유럽과 아시아 지역 전후 처리 문제에 대하여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 결국 전후 처리 문제에 대한 합의는 1945년 12월 소련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 영국, 소련 간 3국 외상회의에서 결정되었...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에 있는 농공 단지. 국토의 균형 개발과 지방화시대에 부응하는 지역경제 기반 육성 및 지방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산업용지 수요 증대에 대비한 용지 확보 및 체계적인 개발계획 수립을 위하여 개설하였다. 노장농공단지는 세종특별자치시 북부 지역의 농촌경제 활성화를 통한 고용 창출 및 소득 증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1986년부터 1987년까지...
-
1291년 세종 지역 정좌산 일대에서 원나라 반란군인 합단적을 물리친 전투. 침략의 원인은 원나라 내부의 황위 계승전에 있었다. 즉 1259년 몽고제국의 헌종[몽케]이 사망하자 동생들인 쿠빌라이[忽必烈]와 아리크부카[阿里不哥]가 후계자 자리를 둘러싸고 싸움을 벌였다. 이 싸움에서 쿠빌라이가 승리하여 황위에 올라 세조가 되었다. 그리고 1271년 국호를 원이라 하였다. 그러나 아리크...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 고복자연공원 내에 있는 공원. 연기대첩비공원은 연기대첩을 기념하는 연기대첩비와 현대 추상 조각작품을 설치한 공원 시설이다. 충청남도 연기군이 조성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후 세종특별자치시의 시립 공원으로 변경되었다. 연기대첩비공원은 고려시대의 연기지역 구국 전투 중 하나인 연기대첩을 기리기 위하여 고복저수지의 월하천...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의 연기대첩비공원에서 매년 6월 지내는 제례행사. 1993년 8월 조치원문화원장[현 세종문화원장]을 주축으로 39명의 연기대첩제 추진위원을 구성하였다. 1994년 3월 연기대첩 재조명을 위하여 문화체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에 청원서를 제출하고, 국사편찬위원회[현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를 방문하여 조언을 구하였다. 1994년 3월 29일 연기군민회...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속한 법정리. 조선시대에 연기현(燕岐縣)의 읍터였으며, 마을 명칭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옛 고을 연기현의 이름을 따서 연기리(燕岐里)가 되었다. 연기리에는 교촌, 구향교골, 환재골, 옥터, 위사티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교촌(校村)은 현재 연기향교(燕岐鄕校)가 있으며, 구향교골은 조선 후기까지 향교가 있어서 붙여진 명칭이다. 환재골은...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하는 법정면. 예전의 고을 명칭인 연기현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전의 연기군 남면 연기리 등을 유지한 명칭이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조선시대는 연기현에 속하였다.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기군 군내면 연기리에 군청이 소재하였지만, 1911년에 군청이 북면(현 조치원읍)으로 이전되어 중심지도 바뀌었다. 1914년에는 군내면을 개칭하여 연기...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하는 법정면. 예전의 고을 명칭인 연기현과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전의 연기군 남면 연기리 등을 유지한 명칭이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조선시대는 연기현에 속하였다. 189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기군 군내면 연기리에 군청이 소재하였지만, 1911년에 군청이 북면(현 조치원읍)으로 이전되어 중심지도 바뀌었다. 1914년에는 군내면을 개칭하여 연기...
-
조선시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세거한 부안임씨 집성촌.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는 전서공(典書公) 임난수(林蘭秀)의 정착 이후 600여 년을 이어 오는 부안임씨의 동족적 유서가 깃들어 있는 집성촌이다. 세종리에 거주하는 주민들 성씨는 대부분이 부안임씨이다. 임난수의 둘째 아들인 임목은 양양공파, 임서는 사직공파, 임흥은 위의공파로 파가...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거주하는 문인과 출향 문인을 아울러 결성된 문학 단체. 연기문학동인회는 백수문학에서 활동하던 동인 중 내부 분규(紛糾)[이해나 주장이 뒤얽혀서 말썽이 많고 시끄러움]로 인해 진보적 성향의 젊은 동인 중심으로 갈라져 나온 문학 단체이다. 백수문학 때와 같은 제목인 『백수문학』을 중복 발행하였다. 재판을 통한 법의 제재로 더는...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어진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나’를 사랑하고 ‘너’를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사람[자주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인성인],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창의인], 긍정적 사고로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어진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나’를 사랑하고 ‘너’를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사람[자주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인성인],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창의인], 긍정적 사고로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원수산에서 지낸 산제와 관련된 고문헌.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원수산(元帥山)[254m] 중턱에 위치한 산제당에서 매년 동짓달 초이틀[음력 11월 2일] 자시에 마을의 안녕과 동네사람 모두가 한 해 무사하기를 원수산 산신께 비는 산제가 이루어졌다. 수백 년 전부터 이루어진 전통 세시로, 원수산 산신제를 기록한 자료가 원수산 산...
-
1969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의 연기향교에 개설된 검정고시 대비 민간 사회 교육 시설. ‘굳건한 인내, 꾸준한 노력, 참된 결실’을 학교 교훈으로 삼았다. 1969년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있는 연기향교에서 하재동이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모아 검정고시 대비반을 개설하였다. 1년 후 인근 항공대대 병사들의 봉사로 교사를 모집하고 교실 2칸을 지어 검정고시 대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중학교. 조치원중학교의 교육 지표는 ‘품성과 실력을 조화롭게 갖춘 행복한 아이들’이다. 교육 지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자율과 협력으로 성장하는 창의적 인재 육성,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따뜻한 인재 육성, 소통과 공감으로 상생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 꿈과 끼를 발휘하는 예술·체육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중학교. 조치원중학교의 교육 지표는 ‘품성과 실력을 조화롭게 갖춘 행복한 아이들’이다. 교육 지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자율과 협력으로 성장하는 창의적 인재 육성,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따뜻한 인재 육성, 소통과 공감으로 상생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 꿈과 끼를 발휘하는 예술·체육 인재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
1969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의 연기향교에 개설된 검정고시 대비 민간 사회 교육 시설. ‘굳건한 인내, 꾸준한 노력, 참된 결실’을 학교 교훈으로 삼았다. 1969년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있는 연기향교에서 하재동이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모아 검정고시 대비반을 개설하였다. 1년 후 인근 항공대대 병사들의 봉사로 교사를 모집하고 교실 2칸을 지어 검정고시 대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에서 발원하여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연기천은 금강의 제2 지류이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에서 발원하여 세종리에서 미호천으로 흘러 들어간다. ‘연기(燕岐)’라는 지명은 옛 고을 이름인 ‘연기현(燕岐縣)’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연기천이라고 명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기천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흑...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에 있는 조선시대 관립 교육기관. 연기향교는 1416년에 현유(賢儒)[어진 선비 또는 훌륭한 유학자]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학덕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문묘나 사당, 서원 등에 모시는 일]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연기향교는 연기면 연기리의 당산성 서남쪽에 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연기향...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에 있는 사립 박물관.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고 세종 지역 인근에서 발굴된 유적 4,500점을 소장하고 있는 향토박물관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옛 연기군 지역의 향토 자료를 수집하고 기존의 마을 주택을 개조하여 1996년 8월 14일 연기향토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연기향토박물관은...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연기현(燕岐縣)은 조선 건국 이후 1413년(태종 13) 전국적인 지방제도 개편 때 제정되어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으며, 1895년(고종 32) 현(縣)을 군(郡)으로 일괄 개칭할 때 연기군으로 개칭되어 유지되다가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세종특별자치시에 흡수·폐지되었다. 1...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충청도 연기현에 토착하고 있던 씨족 집단의 성씨.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조선 전기 연기현의 토성(土姓)[지방에 토착하고 있던 재지 씨족집단의 성씨에 대한 총칭]으로 위(魏)·하(河)·전(全)·경(耿)·장(萇)씨, 내성(來姓)[토박이 성씨가 아닌 다른 고장에서 들어온 성씨]으로 서울에서 온 왕(王)씨, 속성(續姓)[이전의 문서에 빠...
-
1772년 이후에 편찬된 충청도 연기현의 읍지. 충청도 연기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읍지로, 조선 후기 편찬본이지만 연대는 미상이다. 다만 열녀 가운데 영종조(英宗條)라는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정조대 이후에 편찬된 것을 알 수 있다. 표제명은 연기현읍지이다. 1책 필사본이다. 표지는 ‘연기현읍지(燕岐縣邑誌)’로 되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
1969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의 연기향교에 개설된 검정고시 대비 민간 사회 교육 시설. ‘굳건한 인내, 꾸준한 노력, 참된 결실’을 학교 교훈으로 삼았다. 1969년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있는 연기향교에서 하재동이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모아 검정고시 대비반을 개설하였다. 1년 후 인근 항공대대 병사들의 봉사로 교사를 모집하고 교실 2칸을 지어 검정고시 대비...
-
1969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의 연기향교에 개설된 검정고시 대비 민간 사회 교육 시설. ‘굳건한 인내, 꾸준한 노력, 참된 결실’을 학교 교훈으로 삼았다. 1969년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있는 연기향교에서 하재동이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모아 검정고시 대비반을 개설하였다. 1년 후 인근 항공대대 병사들의 봉사로 교사를 모집하고 교실 2칸을 지어 검정고시 대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남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생각을 키우는 학생, 감성을 채우는 학생, 함께 어울리는 학생’이다. 꿈을 가꾸고 성장시키는 어울림 배움터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1908년 4월 1일 연기공립배달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11년 5월 10일 연기공립보통학교로 변경, 1938년 4월 1일 연기공립심상소학교로 변경되었...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남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생각을 키우는 학생, 감성을 채우는 학생, 함께 어울리는 학생’이다. 꿈을 가꾸고 성장시키는 어울림 배움터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1908년 4월 1일 연기공립배달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11년 5월 10일 연기공립보통학교로 변경, 1938년 4월 1일 연기공립심상소학교로 변경되었...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남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생각을 키우는 학생, 감성을 채우는 학생, 함께 어울리는 학생’이다. 꿈을 가꾸고 성장시키는 어울림 배움터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1908년 4월 1일 연기공립배달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11년 5월 10일 연기공립보통학교로 변경, 1938년 4월 1일 연기공립심상소학교로 변경되었...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에 있는 고려시대 마애여래입상. 연동 송용리 마애여래입상은 내판역 근처 얕은 구릉에 자리하고 있는 마애여래입상으로, 광배와 불상을 하나의 돌에 조각한 것이다. 상호 일부가 훼손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수인이나 옷주름 표현이 간략화되고 도식화된 부분도 있어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동 송용리 마애여래입상은 커다란 배...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합강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설 교육기관. 합호서원은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1243~1306]의 후손인 순흥안씨들이 1716년(숙종 42) 안향의 영정을 봉안하고 친필을 보관하기 위하여 후손인 안경신(安景信)·안경정(安景精) 등이 세운 영당으로, 안향 영정을 봉안하고 봄·가을에 제향을 지내 왔다. 연동면 합강리에 세거한 순흥...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황룡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조선 후기인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구와 불상 내부에서 출토된 복장유물 11점이다. 복장유물은 후령통 1점과 『진언집』, 『육경합부』 등 불교전적 10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중형 목조불상 형태를...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면. 조선시대에 연기현 관아의 동쪽에 있다하여 동일면(東一面)과 동이면(東二面)으로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두 면을 통합하여 동면이라고 하였다. 2012년 7월에는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이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에 속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연기현으로 있다가 1414년 전의현과 합쳐져 전기현...
-
조선시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세거한 경주김씨 상촌공파 집성촌.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 노산은 경주김씨 상촌공파(桑村公派) 집성촌이다. 노송리는 1구와 2구로 나뉜다. 노송1구의 중심 마을은 노리미와 웅동이며, 노송2구의 중심 마을은 강당이다. 경주김씨 상촌공파는 노리미와 웅동에 살고 있다. 경주김씨 상촌공파는 고려 공민왕...
-
조선시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세거한 경주김씨 상촌공파 집성촌.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 노산은 경주김씨 상촌공파(桑村公派) 집성촌이다. 노송리는 1구와 2구로 나뉜다. 노송1구의 중심 마을은 노리미와 웅동이며, 노송2구의 중심 마을은 강당이다. 경주김씨 상촌공파는 노리미와 웅동에 살고 있다. 경주김씨 상촌공파는 고려 공민왕...
-
조선시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에 세거한 장수황씨 집성촌. 장수황씨가 세종특별자치시로 입향한 이후 집안을 유지하기 위한 모임과 조직, 유서(由緖)[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내력과 이유] 등의 기록이 남아 있다. 장수황씨 세종특별자치시 입향조 황첩(黃堞)의 시제(時祭)는 음력 10월 10일로, 묘소에서 지낸다. 묘소는 부강면 등곡리에 있다. 제사 음...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연동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참된 인성과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학생 중심의 수업 전개, 꿈을 디자인하는 맞춤형 진로활동, 〈자존감 더하기 역량 충전〉 나·나 맞춤형 자기 성장 프로젝트, 더불어 읽고 나누는 인문·소양 독서, 창의·융합·탐구 중점 과학교육, 기초·기본...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연동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참된 인성과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학생 중심의 수업 전개, 꿈을 디자인하는 맞춤형 진로활동, 〈자존감 더하기 역량 충전〉 나·나 맞춤형 자기 성장 프로젝트, 더불어 읽고 나누는 인문·소양 독서, 창의·융합·탐구 중점 과학교육, 기초·기본...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개성을 살려 진로를 개척하는 어린이(튼튼한 성장), 기초능력의 바탕위에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새로운 생각), 우리 문화와 다양한 가치를 이해하는 교양 있는 어린이(즐거운 배움), 세계와 소통하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더불어 가는 삶)’이다. 모두가 즐...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개성을 살려 진로를 개척하는 어린이(튼튼한 성장), 기초능력의 바탕위에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새로운 생각), 우리 문화와 다양한 가치를 이해하는 교양 있는 어린이(즐거운 배움), 세계와 소통하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더불어 가는 삶)’이다. 모두가 즐...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개성을 살려 진로를 개척하는 어린이(튼튼한 성장), 기초능력의 바탕위에 새롭게 생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새로운 생각), 우리 문화와 다양한 가치를 이해하는 교양 있는 어린이(즐거운 배움), 세계와 소통하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더불어 가는 삶)’이다. 모두가 즐...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꿈이 빛나는 어린이, 생각이 새로운 어린이, 마음이 향기로운 어린이’이다. 비전은 ‘꿈·생각·마음이 자라는 행복한 학교’이다. 1946년 9월1일 연봉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81년 3월 12일 연봉국민학교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연봉초등학교로 교명이 개...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꿈이 빛나는 어린이, 생각이 새로운 어린이, 마음이 향기로운 어린이’이다. 비전은 ‘꿈·생각·마음이 자라는 행복한 학교’이다. 1946년 9월1일 연봉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81년 3월 12일 연봉국민학교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연봉초등학교로 교명이 개...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꿈이 빛나는 어린이, 생각이 새로운 어린이, 마음이 향기로운 어린이’이다. 비전은 ‘꿈·생각·마음이 자라는 행복한 학교’이다. 1946년 9월1일 연봉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81년 3월 12일 연봉국민학교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연봉초등학교로 교명이 개...
-
조선 전기 세종 지역으로 낙향하여 은거한 고려 후기 문신. 김휴(金休)[1350~?]의 자는 연부(鍊夫), 호는 학당(學堂)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김방경(金方慶)[1212~1300]의 현손이다. 아버지는 고려시대에 공조전서를 지낸 김성목(金成牧)이다. 김휴는 정몽주의 문하생이며, 공민왕 때 검교근시(檢校近侍)를 지냈다. 이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문의현(文義縣)은 충청북도 청원군 부강면 일대가 소속되어 있던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백제 때 일모산군(一牟山郡)이었으나 757년(신라 경덕왕 16) 연산군(燕山郡)으로 고쳐지고 고려시대인 1260년(고종 46)에 문의현으로 고쳐졌다. 그 뒤 여러 차례 변천을 거쳐 1895년(고종 32) 군으로 승...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리 학림사에 소장된 개항기 신중도. 연서 학림사 신중도(燕西鶴林寺神衆圖)는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 신중(護法神衆)의 모습을 묘사한 불화이다. 중앙의 위태천(韋駄天)을 중심으로 신장(神將)과 천자(天子)가 좌우 협시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하단에 위치한 화기에 따르면 1891년에 조성되었다. 2014년 12월 22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기룡리에 있는 조선 후기 남양홍씨 5대 9효를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 연서 효교비는 조선시대 5대에 걸쳐 9명의 효자가 나온 남양홍씨 집안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이들 9명의 효자들은 홍연경(洪延慶)[1579~1647]과 아들 홍정설(洪廷卨)[1615~1671], 손자 홍우적(洪禹績)[1634~1701]·홍우평(洪禹平)[...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전리에서 조치원읍 번암리를 잇는 시도.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지방도 제604호가 세종특별자치시 시도(市道) 제23호로 편입·승격되었다. 노선명은 연기~조치원선이다. 2018년 기준 개통 도로는 58,620m[46,770m는 2차로 포장 도로, 11,850m는 미포장 도로]이며 1,000m는 미개통 상태인 지방 도로이다....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면.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연기군청의 서쪽에 있다하여 서면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2012년 7월에는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이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연산군의 영현에 속한 연기현, 조선 전기에는 연기현, 조선 후기에는 연기군 북면 지역이었다. 1914년에는 행정구역 개편...
-
조선시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세거한 남양홍씨 남양군파 집성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1리에 입향하여 300 여년간 뿌리른 내린 남양홍씨(南陽洪氏)는 홍주(洪澍)를 파조로 하는 남양군파(南陽君派)로, 입향조는 홍순손(洪順孫)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의 신대리와 이웃한 성제리에는 남양홍씨 남양군파가 세거하고 있다. 예로부터 연기 지역은 ‘천홍만...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연서중학교는 교육 비전을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로 정하고, 교육지표로 ‘나를 찾고 너와 나누는 우리’로 정하고 있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미래의 꿈을 품고 자기주도적 삶을 설계하는 사람[자주인], 참된 학력으로 미래 핵심 역량을 준비하는 창의적 사람[창의인], 문화예술 체험으로 바른 인성과 따뜻...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연서중학교는 교육 비전을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로 정하고, 교육지표로 ‘나를 찾고 너와 나누는 우리’로 정하고 있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미래의 꿈을 품고 자기주도적 삶을 설계하는 사람[자주인], 참된 학력으로 미래 핵심 역량을 준비하는 창의적 사람[창의인], 문화예술 체험으로 바른 인성과 따뜻...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서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탐구하교 배우며 꿈을 키우자(배움), 사랑하고 배려하며 나눔을 실천하자(나눔), 다양한 가치와 문화를 존중하며 더불어 살자(협력)’이다. 교육 비전은 배움이 즐겁고 나눔이 행복한 함께하는 연서교육이다. 교훈은 ‘스스로 새롭게 끝까지’이다. 1935년 5월 30일 연서공립보통...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서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탐구하교 배우며 꿈을 키우자(배움), 사랑하고 배려하며 나눔을 실천하자(나눔), 다양한 가치와 문화를 존중하며 더불어 살자(협력)’이다. 교육 비전은 배움이 즐겁고 나눔이 행복한 함께하는 연서교육이다. 교훈은 ‘스스로 새롭게 끝까지’이다. 1935년 5월 30일 연서공립보통...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신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서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탐구하교 배우며 꿈을 키우자(배움), 사랑하고 배려하며 나눔을 실천하자(나눔), 다양한 가치와 문화를 존중하며 더불어 살자(협력)’이다. 교육 비전은 배움이 즐겁고 나눔이 행복한 함께하는 연서교육이다. 교훈은 ‘스스로 새롭게 끝까지’이다. 1935년 5월 30일 연서공립보통...
-
조선시대 세종 지역 연기김씨의 시조. 김준손(金俊孫)은 1506년 중종반정 때 공(功)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에 책록(策錄)[국가나 군주 등을 위하여 공훈을 세운 사람의 이름과 공훈을 문서에 기록함]되고 연성군(燕城君)에 봉하여졌으며, 연기김씨 시조(始祖)가 되었다. 김준손은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후예이며, 아버지...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사람,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전시키는 사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이며 함께 배우며 꿈을 키우는 행복 배움터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훈은 ‘뿌리 깊은 나무’는 용비어천가 2장의 내용으로 학생들이 배움을 깊고 넓게 익히고, 인성을 바르게...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사람,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전시키는 사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이며 함께 배우며 꿈을 키우는 행복 배움터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훈은 ‘뿌리 깊은 나무’는 용비어천가 2장의 내용으로 학생들이 배움을 깊고 넓게 익히고, 인성을 바르게...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사람,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전시키는 사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이며 함께 배우며 꿈을 키우는 행복 배움터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훈은 ‘뿌리 깊은 나무’는 용비어천가 2장의 내용으로 학생들이 배움을 깊고 넓게 익히고, 인성을 바르게...
-
김섬한을 시조로 하고 김개신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연안김씨는 김개신이 광해군 때 사화를 피해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에 입향한 것으로 추정되며, 송성리에 후손들이 살고 있다. 연안김씨(延安金氏) 시조는 고려 명종 때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낸 김섬한(金暹漢)이다. 신라 김알지의 후예인 두 왕자가 왕...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양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찾아가는 사람, 튼튼한 기초학력으로 생각하는 힘을 가진 사람, 배려와 나눔으로 더불어 사는 사람, 예술을 즐기는 문화적 감수성이 있는 사람’이다. 비전은 건강한 나, 배려하는 우리, 행복한 연양교육이다. 교훈은 가꾸자 ‘꿈을, 이루자 희망을’이다. 1939년 5...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양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찾아가는 사람, 튼튼한 기초학력으로 생각하는 힘을 가진 사람, 배려와 나눔으로 더불어 사는 사람, 예술을 즐기는 문화적 감수성이 있는 사람’이다. 비전은 건강한 나, 배려하는 우리, 행복한 연양교육이다. 교훈은 가꾸자 ‘꿈을, 이루자 희망을’이다. 1939년 5...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연양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꿈을 찾아가는 사람, 튼튼한 기초학력으로 생각하는 힘을 가진 사람, 배려와 나눔으로 더불어 사는 사람, 예술을 즐기는 문화적 감수성이 있는 사람’이다. 비전은 건강한 나, 배려하는 우리, 행복한 연양교육이다. 교훈은 가꾸자 ‘꿈을, 이루자 희망을’이다. 1939년 5...
-
정의경을 시조로 하고 정현득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연일정씨는 정원공파의 정현득이 임진왜란 때 전의현에 입향한 것으로 추정된다. 무과 집안인 정현득과 후손들의 묘소는 전의면 신정리 운주산에 있다. 연일정씨(迎日鄭氏) 시조인 정종은(鄭宗殷)은 진한(辰韓) 사로(斯盧) 취산진지부(嘴山珍支部) 촌장 지백호(智伯虎)의 원손...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을 잇는 국가지원 지방 도로. 지방도 제96호는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신진도리 안흥항을 기점으로 세종특별자치시를 지나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의 중부고속도로 오창 나들목을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노선명은 태안~청원선이다. 세종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서 부강면...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 연화사는 1893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통사찰이다. 1988년에 문화체육관광부 전통사찰로 지정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 전통사찰 제2호로도 지정되어 있다. 연화사 창건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설화가 있다. 조선시대에 참선 수행을 하던 승려들이 공역(公役)[국가나 공공 단체가 지우는 의무]에 동...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 연화사에 봉안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는 칠존불비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모두 생천사지(生千寺址)라는 곳에서 가져온 것이라 한다. 생천사지는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 미륵보살 반가사유비상이 출토된 비암사와 산 하나를 두고 2㎞ 떨어진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생천사...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윤태풍의 처 경주최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일제강점기에 세운 정려. 열녀 경주최씨 정려는 경주최씨[1842~1866]의 열행을 기리고자 유림과 주민들의 노력으로 1930년에 건립된 유적이다. 경주최씨는 최규(崔珪)의 딸로 옛 대덕군 신탄진에서 태어나 파평윤씨 윤태풍(尹泰豊)에게 출가하였다. 후손들의 전언에 의하면...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응암리에 있는 박기정의 처 광산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열녀 광산김씨 정려는 박기정(朴基鼎)[1792~1830]의 처 광산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광산김씨는 광성군 김국광의 후손인 김구택(金龜澤)의 딸로, 무안박씨 가문으로 출가하였다. 광산김씨가 혼례를 치른 사흘 후 뜻밖에도 남편이 병을 얻어 자...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석곡리에 있는 신이초의 처 기계유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기계유씨 정려는 거창신씨 신이초(愼爾初)[1663~1719] 처 기계유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기계유씨[?~1719]는 시남(市南) 유계(兪棨)[1607~1664]의 종손녀이다. 유계는 조선 중기 호서지역의 대표적인 서인 노론계...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김기철의 처 밀양손씨와 김성흠의 처 창녕성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정려. 열녀 밀양손씨 창녕성씨 정려는 안동김씨 가문의 고부 밀양손씨(密陽孫氏)와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양세정려기(兩世旌閭記)’와 ‘열녀정려기(烈女旌閭記)’에 의하면 밀양손씨는 어려서부터 부덕을 익혀 부모에게...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김정의의 처 삼척진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삼척진씨 정려는 학생 김정의(金貞義) 처 삼척진씨(三陟陳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열녀인 삼척진씨는 경주김씨 계림군파 17세손인 김정의와 혼인하였다. 두 사람이 약혼하자 곧 남편이 병이 들어 서둘러 혼례를 올렸다. 삼척진씨는...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에 있는 김환의 처 남양홍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정려. 열녀 남양홍씨 정려는 안동김씨 김환(金瓛) 처 남양홍씨[?~1736]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1738년(영조 14)에 명정을 받아 건립한 것이다. 남양홍씨는 홍처한(洪處漢)의 딸로, 양친을 잃고 남매가 의지하며 길쌈으로 생계를 이어 가다 이웃 마을에 사...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에 있는 김진창의 처 나주나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나주나씨 정려는 강릉김씨 김진창(金震敞) 처 나주나씨(羅州羅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명정을 받아 건립한 것이다. 나주나씨는 1600년 중반 현종대의 인물로, 나응수(羅應壽)의 딸이다. 나주나씨는 나이가 차자 강릉김씨 김진창에게 시집가서 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에 있는 김환의 처 남양홍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정려. 열녀 남양홍씨 정려는 안동김씨 김환(金瓛) 처 남양홍씨[?~1736]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1738년(영조 14)에 명정을 받아 건립한 것이다. 남양홍씨는 홍처한(洪處漢)의 딸로, 양친을 잃고 남매가 의지하며 길쌈으로 생계를 이어 가다 이웃 마을에 사...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김기철의 처 밀양손씨와 김성흠의 처 창녕성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정려. 열녀 밀양손씨 창녕성씨 정려는 안동김씨 가문의 고부 밀양손씨(密陽孫氏)와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양세정려기(兩世旌閭記)’와 ‘열녀정려기(烈女旌閭記)’에 의하면 밀양손씨는 어려서부터 부덕을 익혀 부모에게...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응암리에 있는 박기정의 처 광산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열녀 광산김씨 정려는 박기정(朴基鼎)[1792~1830]의 처 광산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광산김씨는 광성군 김국광의 후손인 김구택(金龜澤)의 딸로, 무안박씨 가문으로 출가하였다. 광산김씨가 혼례를 치른 사흘 후 뜻밖에도 남편이 병을 얻어 자...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에 있는 유언하의 처 부안임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일제강점기에 세운 정려. 열녀 부안임씨 정려는 유언하(兪彦夏)[1749~1819] 처 부안임씨(扶安林氏)의 시어머니에 대한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887년(고종 24)에 명정을 받아 건립되었다. 부안임씨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임두칠(林斗七)의 손녀이자 임시윤(林時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김정의의 처 삼척진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삼척진씨 정려는 학생 김정의(金貞義) 처 삼척진씨(三陟陳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열녀인 삼척진씨는 경주김씨 계림군파 17세손인 김정의와 혼인하였다. 두 사람이 약혼하자 곧 남편이 병이 들어 서둘러 혼례를 올렸다. 삼척진씨는...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에 있는 장응헌의 처 언양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언양김씨 정려는 결성장씨 장응헌(張應軒)[1609~?]의 처 언양김씨(彦陽金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언양김씨는 첨정(僉正) 김징(金澄)의 딸로, 16세에 장응헌에게 출가하여 시아버지와 남편을 정성껏 섬겼다. 1636년(인조...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윤태풍의 처 경주최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일제강점기에 세운 정려. 열녀 경주최씨 정려는 경주최씨[1842~1866]의 열행을 기리고자 유림과 주민들의 노력으로 1930년에 건립된 유적이다. 경주최씨는 최규(崔珪)의 딸로 옛 대덕군 신탄진에서 태어나 파평윤씨 윤태풍(尹泰豊)에게 출가하였다. 후손들의 전언에 의하면...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부동리에 있었던 이성호의 처 의성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열녀 의성김씨 정려는 이성호(李聖浩) 처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1980년에 건립한 것이다. 이성호는 예전에 있었던 정려 현판에는 이문근(李文根)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후손의 전언으로는 이문백(李文柏)이 맞다고 한다. 정려기에 의하면 의성김씨는 14...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부동리에 있었던 이성호의 처 의성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열녀 의성김씨 정려는 이성호(李聖浩) 처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1980년에 건립한 것이다. 이성호는 예전에 있었던 정려 현판에는 이문근(李文根)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후손의 전언으로는 이문백(李文柏)이 맞다고 한다. 정려기에 의하면 의성김씨는 14...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에 있는 장응헌의 처 언양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언양김씨 정려는 결성장씨 장응헌(張應軒)[1609~?]의 처 언양김씨(彦陽金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언양김씨는 첨정(僉正) 김징(金澄)의 딸로, 16세에 장응헌에게 출가하여 시아버지와 남편을 정성껏 섬겼다. 1636년(인조...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있는 장이상의 처 한양조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정려. 열녀 한양조씨 정려는 장이상(張彛相)[1816~1884]의 처 한양조씨(漢陽趙氏)[1812~1884]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것이다. 한양조씨는 조우규(趙禹圭)의 딸로, 결성장씨 가문에 출가하였다. 남편 장이상은 판윤 장전(張詮)의 10세손이며...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최지철의 처 전주이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전주이씨 정려는 최지철(崔之喆)[1759~1778]의 처 전주이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전주이씨[1759~1779]는 이대형(李大亨)의 딸로, 이미 1769년(영조 45) 11세의 나이에 모친상을 당하여 3년 시묘살이를 한...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에 있는 오상정의 처 진주정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일제강점기에 세운 정려. 열녀 진주정씨 정려는 오상정(吳尙井) 처 진주정씨(晉州鄭氏)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진주정씨는 문영공(文英公) 정수(鄭需)의 후손으로, 정계서(鄭繼緖)의 딸이다. 보성오씨(寶城吳氏) 오현필(吳賢弼)의 14세손 월송처사 오유립(吳裕立)...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었던 전오복의 처 창녕성씨와 전오륜의 처 결성장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창녕성씨 결성장씨 정려는 창녕성씨와 결성장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것이다. 창녕성씨와 결성장씨는 각각 옥천전씨 전오복(全五福)[1714~1735]과 전오륜(全五倫)[1717~1753] 형제의 처로, 동서지간이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최지철의 처 전주이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전주이씨 정려는 최지철(崔之喆)[1759~1778]의 처 전주이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전주이씨[1759~1779]는 이대형(李大亨)의 딸로, 이미 1769년(영조 45) 11세의 나이에 모친상을 당하여 3년 시묘살이를 한...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있는 장이상의 처 한양조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정려. 열녀 한양조씨 정려는 장이상(張彛相)[1816~1884]의 처 한양조씨(漢陽趙氏)[1812~1884]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것이다. 한양조씨는 조우규(趙禹圭)의 딸로, 결성장씨 가문에 출가하였다. 남편 장이상은 판윤 장전(張詮)의 10세손이며...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석곡리에 있는 신이초의 처 기계유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기계유씨 정려는 거창신씨 신이초(愼爾初)[1663~1719] 처 기계유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기계유씨[?~1719]는 시남(市南) 유계(兪棨)[1607~1664]의 종손녀이다. 유계는 조선 중기 호서지역의 대표적인 서인 노론계...
-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에 있는 낮은 통로. 고개는 대체로 산등성이를 넘는 곳을 말하며, 재[岾]·영(嶺)·마루·현(峴)·치(峙)·안부(鞍部)·티·항(項)이라고도 한다.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한 옛날에 산으로 막힌 이웃 지역을 오가는 데 고개를 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편리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차령산맥의 주맥과 지맥이 통과하는 지...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곡리 마을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마을 평안을 기원하기 위하여 나무에 지내는 마을제사.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곡1리 마을에서는 수령 210년 정도 된 느티나무 아래에서 제사를 지낸다. 주민들은 마을 평안과 화합을 기원한다.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곡1리에서는 예전부터 샴제[샘제]를 지내었다. 영곡1리가 1반과 2반으로 분리되...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곡리 한양말에서 매년 음력 정월 초승에 마을의 평안과 주민들의 단합을 기원하며 은행나무에 지내는 마을제사.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곡2리 한양말에서 음력 정월 초승에 택일하여 은행나무에 제사를 지낸다. 은행나무는 평산신씨 중시조인 신준미가 낙향하면서 심었다고 전하여지며, 동네 가운데를 흐르는 내를 사이로 은행나무 두 그루가 있다. 목신제...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영곡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다. 관할구역이 방아다리, 호병골, 버드내골이 있는 영곡1리와 한양 등이 속한 영곡2리로 나누어진다. 자연마을 버드네골은 한양궁 남동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며 냇가에 버드나무가 많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양궁은 영구골 서쪽에 있는 마을로 중종 때 한림학사 신준미가 기묘사...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영당리(靈堂里)는 영성리·당리·상만곡리·하만곡리를 병합하고 ‘영성’과 ‘당리’의 이름을 따서 ‘영당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당마루마을·말미마을·마상곡마을·하만곡마을 등이 있다. 당마루마을은 마을에 산제당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말미마을은 말처럼 생긴 산이 마을 앞에 있다 하여 불리는 이름이며, 마상곡마을은 말미의...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영대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하는 법정리다. 영대1리에는 둔대와 밤절 그리고 서태, 영대2리에는 우려울과 검배 그리고 삼박골 등의 마을이 있다. 동네가 10리가 넘도록 길다고 하여 영대(永垈)라고 불렀으며 길이 빛날 터라 하여 영대리(永垈里)라 하였다고 한다. 『한국지명총람』에서 영대리는 우려울 위쪽에 있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대리에서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과 주민들의 평안 및 안녕을 위하여 나무에 지내는 제사. 영대리 목신제의 유래와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마을 주민들은 왕버드나무와 느티나무 고목의 수령을 고려하여 수백 년 넘게 내려 왔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목신제를 올리는 고목은 영대2리 마을회관 바로 앞에 있는 우려울 왕버...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교. 건학 이념은 실용주의 정신에 입각한 철저한 직업 교육과 온전한 인격체 형성을 위한 전인교육을 통하여, 미래국가사회의 중추적 인재로서 다양화된 산업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직업의식이 투철한 창의적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함이다. 교육 목표는 4가지로 직무수행 완성도 높은 전문 직업인 양성, 융·복합 콘텐츠...
-
천암을 시조로 하고 천만리를 중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입향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영양천씨(潁陽千氏)는 좌윤공파의 통덕랑공파가 부여 은산에서 살다가 금강 수운을 이용한 상업 활동과 파평윤씨와의 혼인을 인연으로 1900년경 남면 연기리로 입향하였다. 영양천씨는 중국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시조 천암(千巖)은 명나라 때 도총장(都總將)과 판도승상(版圖丞...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영치리(永峙里)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로 자연마을 안골, 불곡, 사양 등이 있다. 영재라는 고개가 있어 영재 또는 영티라고 부르다가 영치리가 되었다. 조선 후기까지 공주군 양야리면(陽也里面)에 속하였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공주군 양아리면 와룡동, 내동, 사양리, 영티리를 합쳐 연기군...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치리 안골 마을에서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오전에 느티나무 고목에 지내는 마을 제사.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흘에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치리 안골 마을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느티나무에 지내는 목신제이다. 신목인 느티나무는 수령 550년으로 세종특별자치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 말엽에 벼락을 맞아 나뭇가지가 잘린 후...
-
윤신달을 시조로 하고 윤려, 윤기환, 윤해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파평윤씨는 연서면 봉암리에 태위공파 윤기환, 전의면 신정리에 소정공파 윤해, 장군면 하봉리에 윤려 등이 입향하여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파평윤씨(坡平尹氏)의 시조 윤신달(尹莘達)은 왕건을 도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워 고려 개국공신 2...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의 말사. 영평사는 마곡사의 말사로, 문화재급 6동의 전통 건물과 3동의 토굴을 갖춘 대한민국 전통사찰 제78호 수행 도량(道場)[도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이다. 스승이 머물고 있는 도량으로 영원하고 궁극적인 행복을 선사하는 곳이며, 또한 도량에서 추구해야 할 일이 바로 중생의 행복과 세계의 평...
-
김상을 시조로 하고 김삼섭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예안김씨는 1600년대에 동면 합강리에 입향하여 살기 시작하였으며 입향조는 김삼섭이다. 시조 김상(金尙)은 고려 때 예안(禮安)의 호장(戶長)을 지냈다. 예안의 옛 이름이 선성(宣城)이었기 때문에 선성김씨(宣城金氏)라고도 한다. 동면 합강리 예안김씨 입향조는 좌부승지...
-
이익을 시조로 하고 이영길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예안이씨는 동고파의 이영길이 17세기 중엽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예안이씨는 전의이씨(全義李氏)에서 분적된 성씨이다. 전의이씨 시조인 이도(李棹)의 9세손 이혼(李混)[1252~1312]이 고려 원종 때 과...
-
이익을 시조로 하고 이영길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예안이씨는 동고파의 이영길이 17세기 중엽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예안이씨는 전의이씨(全義李氏)에서 분적된 성씨이다. 전의이씨 시조인 이도(李棹)의 9세손 이혼(李混)[1252~1312]이 고려 원종 때 과...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속한 법정리. 예(禮)를 기르고[養] 배우는 곳이라 하여 예양리(禮養里)가 되었다. 예부터 충신(忠臣)이 많이 배출되었고, 오부자(五父子)가 충신인 박천붕(朴天鵬)과 아들들의 충신문(忠臣門)이 있다. 예양리에는 양골, 미꾸지, 산속골, 강촌, 물미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양곡(養谷)마을은 덕을 기르는 예양리의 중심 마을로, 인동·양골·...
-
근대 세종 지역 출신의 애국 순절지사. 오강표(吳剛杓)[1843~1910]는 1843년(헌종 9) 옛 충청남도 공주군 사곡면 월가리 도덕골에서 부친 오치국(吳治國)과 모친 파평윤씨(坡平尹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오강표는 일제의 강요로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 체결되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분노해서 “임금의 신자(臣子)가 되어 이러한 때에 구태여 목...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 오대곤(吳大坤)의 자는 풍지(豊之)로 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 시목리(枾木里)에서 출생하였다. 15세기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입향하였던 보성오씨 오익승의 현손(玄孫)[증손자의 아들]으로 보성오씨 월송정 진사공파의 파조인 오유립(吳裕立)[1575~1658]의 인봉비(印峰碑) 건립에 관련이 있다. 오대곤의 본관(本貫)은 보성(寶...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의 용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오룡기」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의 북쪽 넓은 평야를 용뜰이라 하는데 용뜰을 다섯 마리의 용이 서식하고 있던 곳이라 하여 오룡기라 부른다는 지명전설이다. 원래 명칭은 조선 영조[1724~1776] 후반까지 오룡정리(五龍亭里)라고 하였다는 점에서 지명유래가 오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룡정...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의 용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오룡기」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의 북쪽 넓은 평야를 용뜰이라 하는데 용뜰을 다섯 마리의 용이 서식하고 있던 곳이라 하여 오룡기라 부른다는 지명전설이다. 원래 명칭은 조선 영조[1724~1776] 후반까지 오룡정리(五龍亭里)라고 하였다는 점에서 지명유래가 오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룡정...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곡리 일대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곡리에 있는 산으로, 조치원읍의 서북쪽에 위치한다. 오봉산(五峰山)[262.5m]은 산이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붙여진 이름이다. 다섯 봉우리 중 제1봉은 목형봉(木形峰)으로 정상봉, 제2봉은 화형봉(火形峰)으로 우각봉 또는 평상봉, 제3봉은 토형봉(土形峰)으로 성주봉, 제4봉은...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에 있던 교육기관. 오성의숙(五星義塾)은 1924년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달전리(達田里)의 지루고개에서 개교되었다. 건립 재원은 달전리의 성주찬(成周讚)·성경운(成景運), 금남면 남곡리(南谷里)의 임병〇(林炳〇), 금남면 대박리의 송덕수(宋德秀)·유진영(柳鎭瀯)·조의보(趙義普)·성일룡(成一龍)·성주룡(成周龍)·이승철(李承哲)·임헌순(林憲順) 등이 사...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학자. 오유립(吳裕立)[1575~1658]의 본관(本貫)은 보성(寶城)이다. 초명은 효립(孝立), 자는 백원(百源), 호는 남산처사(南山處士)와 월송정(月松亭)이다. 15세기 부강면에 입향한 보성오씨(寶城吳氏)의 후손이자 부강면 보성오씨 월송정 진사공파의 파조이다. 오유립은 어려서부터 학식과 문장이 탁월하였다. 1613년(광해군 5)에 벼슬...
-
전유를 시조로 하고 전세승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옥천전씨는 1600년대 후반에 전세승(全世承)이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으며, 세거지인 남면 방축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도담동 일대]에 후손들의 유적들이 있다. 옥천전씨의 도시조는 백제 십제공신 전섭(全聶)이다. 전섭의 27세손 전유(全侑)가 고려 충숙왕 때...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었던 전오복의 처 창녕성씨와 전오륜의 처 결성장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열녀 창녕성씨 결성장씨 정려는 창녕성씨와 결성장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것이다. 창녕성씨와 결성장씨는 각각 옥천전씨 전오복(全五福)[1714~1735]과 전오륜(全五倫)[1717~1753] 형제의 처로, 동서지간이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온빛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고 서로 공감하는 우리, 새롭게 생각하고 즐겁게 배우는 우리, 스스로 참여하고 함께 살아가는 우리’이다. 교육 비전으로는 따뜻한 감성과 밝은 지성의 민주학교를 제시하고 있다. 2014년 12월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의 인증형 혁신학교로 지정되면서 2015년 3월 1일 18학급(1...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온빛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고 서로 공감하는 우리, 새롭게 생각하고 즐겁게 배우는 우리, 스스로 참여하고 함께 살아가는 우리’이다. 교육 비전으로는 따뜻한 감성과 밝은 지성의 민주학교를 제시하고 있다. 2014년 12월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의 인증형 혁신학교로 지정되면서 2015년 3월 1일 18학급(1...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온빛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를 사랑하고 서로 공감하는 우리, 새롭게 생각하고 즐겁게 배우는 우리, 스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