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강협(康協)[1674~1750]은 본관이 신천이며 자는 자경(子慶), 호는 농은(農隱)이다. 중시조는 신성부원군(信城府院君) 강지연(康之淵)으로, 강지연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강후돈(康厚敦)으로, 강협은 강후돈의 넷째 아들이다. 강협은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뜻을 잘 따르고 어질고 착하였다. 주위 사람들은 어...
-
조선 후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하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덕성서원에 배향된 학자. 전우(田愚)[1841~1922]의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고옹(蠱翁)·양하왕인(陽下尫人)이다.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이다. 21세에 당시의 거유(巨儒|鉅儒)[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서울에서 직접 아...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으로 세조 즉위를 도운 좌익공신 3등 문신. 이예장(李禮長)[1406~1456]의 본관(本貫)은 전의(全義), 자는 자문(子文)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구직(李丘直), 할아버지는 이정간(李貞幹), 아버지는 부윤 이사관(李士寬)이다. 이예장은 1432년(세종 14) 식년문과 생원에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다. 1438년(세종 20)에는 사간원...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소나무목 소나뭇과에 속하는 상록침엽 교목. 소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교목으로 학명은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이다. 다 자란 나무의 높이 35m는 지름 2m 정도까지 자라며 가지가 넓게 퍼진다. 나무껍질은 적갈색 또는 짙은 갈색으로 거북이 등처럼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나뭇잎은 바늘 모양으로 2개씩 뭉...
-
조선시대 세종 지역 연기김씨의 시조. 김준손(金俊孫)은 1506년 중종반정 때 공(功)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 4등에 책록(策錄)[국가나 군주 등을 위하여 공훈을 세운 사람의 이름과 공훈을 문서에 기록함]되고 연성군(燕城君)에 봉하여졌으며, 연기김씨 시조(始祖)가 되었다. 김준손은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후예이며, 아버지...
-
세종특별자치시의 위치와 면적, 지형, 기후 등 자연환경. 세종특별자치시의 4 극단 중 동쪽 끝은 부강면 문곡리로 동경 127° 23′이고, 서쪽 끝은 장군면 송학리로 동경 127° 10′이다. 동서 간 거리는 20.7㎞이다. 반면에 남쪽 끝은 금남면 성강리로 북위 36° 24′이고, 북쪽 끝은 소정면 대곡리로 북위 36° 43′이다. 남북 간 거리는 37.0㎞...
-
세종 지역에서 자연 작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적 및 물적 피해. 자연재해는 자연 작용에 의해 인간이 입게 되는 피해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해일, 태풍, 홍수, 바닷물 역류, 지진, 산사태, 낙뢰, 산불 등이 있다. 기상재해란 기상 현상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재해를 말한다. 강풍, 호우, 대설, 뇌우, 이상건조, 지속적인 저온 현상 등이 있다. 기상 현상으로 인해 건조...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람리에 있는 6·25전쟁 당시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개미고개 전투에서 희생된 미군 전사자 추모비. 개미고개 전투에 참전한 미군 제24사단 21연대 전사자 517인의 영웅적인 공적을 기리고 전사한 장병의 명복을 기원하는 뜻에서 격전지인 개미고개에 위령비를 세웠다. ‘개미고개 6·25격전지 추모제’는 1950년 6·25전쟁 당...
-
세종 지역에서 같은 성씨가 오랜 기간 한 마을을 이루어 살고 있는 마을. 집성촌은 혈연관계가 있는 동성 집단이 이룬 마을로서 하나의 성씨가 특정 마을의 주도권을 가지고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마을이다. 집성촌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에 형성되어 500~600년의 전통을 지닌 마을들과 임진왜란 이후 조선 후기에 이거 정착하여 300~400년의 전통을 지닌 마을들로 이루어져...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이자 양주조씨 입향조. 조계원(趙啓遠)[1592~1670]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당시 군량을 보급하고 볼모로 심양(瀋陽)에 가 있던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좌하였던 인물이다. 후손들의 전언에 따르면 1674년(현종 15)에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하면서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와 인연을 맺었고 첫째 아들인 조진석이 사망...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결성장씨 연기파의 입향조이자 학자. 장원주(張元胄)[1634~1700]의 자는 자장(子將), 호는 봉옹(鳳翁)이다. 결성장씨 연기파 연서면 고복리의 입향조이다. 고복리에는 창녕성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세거하였으나 장원주 이후 결성장씨가 세거하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향촌(鄕村)[시골 마을]에 은거(隱居)[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성제리에 있는 저수지. 본래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성제리에 속하여 있던 저수지였으나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성제리로 변경되었다. 작대골저수지의 제당(堤塘)[물가에 흙, 돌, 콘크리트 등으로 쌓은 둑] 구조는 흙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홍수 조절 구조는 수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당 사면보호공 구...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와 전의면 신방리, 양곡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과 전의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성산 또는 까치산이라고도 한다. 작성산(鵲城山)[338.8m]은 고려 태사 이도(李棹)가 기거한 이성산의 위쪽에 있는 산으로, 산 위에 성이 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산 위에 성이 있어 옛날 난리 때 사람들이 이...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 작성산의 산 정상에 석축으로 쌓은 기우제단. 작성산 기우제단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와 전의면 양곡리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작성산(鵲城山)[332m]의 정상에 있다. 작성산은 남쪽의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5호 금이성과 북쪽의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4호 이성 사이에 있는 산이다. 작성산 기우제단은 가로...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 작성산의 산 정상에 석축으로 쌓은 기우제단. 작성산 기우제단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와 전의면 양곡리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작성산(鵲城山)[332m]의 정상에 있다. 작성산은 남쪽의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5호 금이성과 북쪽의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4호 이성 사이에 있는 산이다. 작성산 기우제단은 가로...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에 있는 덕천군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조선 정종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泉君)은 가난한 백성을 정성껏 돕고 왕자 신분임에도 들에 나가 농사를 지었다. 어느 해 여름 홍수로 금강이 범람하여 수백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자 이재민을 구제하기도 하였다. 덕을 쌓는 어른이라 하여 적덕공이라고도 불렸다. 덕천군은...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에 있는 덕천군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조선 정종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泉君)은 가난한 백성을 정성껏 돕고 왕자 신분임에도 들에 나가 농사를 지었다. 어느 해 여름 홍수로 금강이 범람하여 수백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자 이재민을 구제하기도 하였다. 덕을 쌓는 어른이라 하여 적덕공이라고도 불렸다. 덕천군은...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은용리 보광사에 소장된 일제강점기 독성도. 장군 보광사 독성도(將軍普光寺獨聖圖)는 부처님의 법을 이어 깨달음에 도달한 나반존자(那畔尊者)의 독성을 묘사한 불화이다. 화면 우측에 녹색과 분홍색으로 채색된 나무와 갈색의 노을을 배경으로 기암괴석 위에 앉아서 허공을 바라보는 독성이 표현되어 있다. 2014년 6월 30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은용리 보광사에 소장된 일제강점기 산신도. 장군 보광사 산신도(將軍普光寺山神圖)는 산신을 묘사한 불화이다. 화면 왼쪽 소나무 아래에 산신과 함께 호랑이와 공양물을 든 동자를 배치하였다. 2007년 9월 2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7호 공주 보광사 산신도로 지정되었으며, 행정구역 개편으로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 영평사에 있는 조선 후기 나무로 조성한 나한상과 복장유물. 나한은 아라한(阿羅漢)의 줄임말로, 일체의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이루어 공양을 받을 만한 성자(聖子)를 뜻한다. 나한상은 16나한상과 여기에 항룡나한과 복호나한을 더한 18나한상, 500나한상이 주로 만들어진다. 사찰의 나한전, 응진전, 영산전 등에 봉안된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영...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면. 2012년에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의 9개 리와 의당면의 5개 리 등을 포함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으로 불리게 되었다. 장군면 금암리에 있는 주산인 ‘장군산(將軍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김종서 장군의 출생지가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이고 김종서의 묘가 옛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대교리에 있어 의당면과 장기면의 화합을 도모해 나가자는 의...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있는, 정종 10남 덕천군 이후생의 후손이 이거·정착한 집성촌.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의 전주이씨 덕천군파는 덕천군(德泉君)이후생(李厚生)[1397~1465]의 후손들이다. 덕천군은 정종의 10남으로, 덕천군파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일대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공주·연기 일대에 덕천군의 전장(田莊)[개인이 소유하는 논밭]이 있...
-
조선시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세거한 전주이씨 덕천군파 집성촌. 세종특별자치시와 공주시 일대에 거주하는 덕천군파는 전주이씨 100여 파 중 가장 번성한 문중이다. 장군 덕천군사우가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를 중심으로 덕천군의 부조묘와 묘소에서의 제향 의례와 용현리의 동계 문서가 전한다. 전주이씨 덕천군파 동족 조직 문서로는 용현리의 동계...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농악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노래.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은 농촌 지역으로 전통적인 농악이 전해지고 있다. 장군면의 농악은 크게 기원[고사]·놀이·농사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장군면에서 행해지는 농악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상쇠·부쇠 각각 1명, 징 1명, 장고북 1~3명, 복구잽이 3~7명으로 마을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다. 장군면에서...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 일대에 있는 산. 장군산(將軍山)[243m]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에 있는 산이다. 남쪽으로 가장 높은 장군산 정상에는 큰 바위가 수직으로 서 있는데 바로 장군봉이다. 옛날에 장군이 장군산 위에서 군사를 지휘하였다는 이야기로 장군산이라 하기도 하고 부용리의 어느 산보다도 경관이나 운치가 뛰어나 이 지역의 모든 산 중에서 장군...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 일대에 있는 산. 장군산(將軍山)[243m]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에 있는 산이다. 남쪽으로 가장 높은 장군산 정상에는 큰 바위가 수직으로 서 있는데 바로 장군봉이다. 옛날에 장군이 장군산 위에서 군사를 지휘하였다는 이야기로 장군산이라 하기도 하고 부용리의 어느 산보다도 경관이나 운치가 뛰어나 이 지역의 모든 산 중에서 장군...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에 있는 천주교 대전교구 공주지구 신관동성당 소속 공소. 장군면 천주교 신자들을 위하여 세워진 천주교 성당 산하 공소이다. 장군면 천주교 신자들의 종교 활동을 위하여 세워졌다. 1952년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도계리에 설립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공주시 장기면이 2012년 7월부터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으...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기민은 옛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일대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장기민(張基民)[1897~1921]은 1919년 3월 28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3월 23일 이후 연기 지역과 인근 청주 지역 면민들이 대대적으로 횃불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연기군 동면에서는 3월 26일 응암리, 3월...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장기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더불어 배우며 성장하는 행복학교’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21C 학습역량 강화를 통한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배움을 즐기는 창의·융합형 인재 기르기, 건강한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한 인재 기르기, 참여하고 소통하는 교육공동체 구현을 주요 추진 과제로 삼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장기중학교의 교육 목표는 ‘더불어 배우며 성장하는 행복학교’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21C 학습역량 강화를 통한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배움을 즐기는 창의·융합형 인재 기르기, 건강한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한 인재 기르기, 참여하고 소통하는 교육공동체 구현을 주요 추진 과제로 삼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장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를 배우고 미래를 열어 가는 학생, 참된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학생, 삶을 조화롭게 가꿀 줄 아는 학생, 나눔과 배려로 사랑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교육비전으로 ‘새롭고 즐겁게 꿈을 키우는 장기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1930년 6월 5일 공주군...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장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를 배우고 미래를 열어 가는 학생, 참된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학생, 삶을 조화롭게 가꿀 줄 아는 학생, 나눔과 배려로 사랑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교육비전으로 ‘새롭고 즐겁게 꿈을 키우는 장기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1930년 6월 5일 공주군...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도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장기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지혜를 배우고 미래를 열어 가는 학생, 참된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학생, 삶을 조화롭게 가꿀 줄 아는 학생, 나눔과 배려로 사랑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게’이다. 교육비전으로 ‘새롭고 즐겁게 꿈을 키우는 장기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1930년 6월 5일 공주군...
-
세종특별자치시 금강과 미호천이 합류하는 주변에 형성된 저습지성 평야. 장남평야는 해발고도 20~22m의 충적평야로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특별자치시가 건설되기 전에는 주로 논으로 활용되었다. 장남평야는 여러 문서에 등장하기는 하나 지명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며, 장남평야의 규모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금강과 미호천이 합류하는 구간에서 금강의...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개신교의 한 교파. 한국의 장로교는 1884년 미국북장로교의 의료선교사로 파송된 알렌[H. N. Allen]이 고종의 신임을 얻어 1885년 광혜원을 개원하며 시작되었다. 또한 같은 해 1885년 4월 미국북장로교의 언더우드가 아펜젤러와 함께 인천에 상륙함으로써 장로교의 본격적인 한국 선교가 막을 올렸다. 세종 지역의...
-
황경을 시조로 하고 황첩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황경(黃瓊)을 시조(始祖)로 하고 황첩(黃堞)을 입향조로 하는 장수황씨는 1500년대 초반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에 입향한 이래 지금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시조 황경은 통일신라 경순왕의 사위로, 시중(侍中)을 지냈다 한다. 이후 중간 계대가 실전되어 황석부(黃石富)를 1세조로 하...
-
황경을 시조로 하고 황첩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황경(黃瓊)을 시조(始祖)로 하고 황첩(黃堞)을 입향조로 하는 장수황씨는 1500년대 초반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에 입향한 이래 지금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시조 황경은 통일신라 경순왕의 사위로, 시중(侍中)을 지냈다 한다. 이후 중간 계대가 실전되어 황석부(黃石富)를 1세조로 하...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장수황씨가 세종 지역으로 입향한 이후 집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만든 모임과 조직. 장수황씨 연기종회는 친족간 친목을 도모 하고, 종중 재산을 관리 보존하고, 선조 제향봉행 및 기념사업 시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장수황씨 세종특별자치시 입향조 황첩(黃堞)의 시제는 음력 10월 10일로, 묘소에서 지낸다. 묘소는 세종특별자치...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음력 정월 보름에 마을에 액운을 막기 위하여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장승은 나무나 돌에 무서운 표정의 사람 얼굴 모습을 깎거나 새기고 그려서 마을 어귀에 세운 하당신(下堂神)이다. 장승을 세우는 까닭은 잡귀와 재액으로부터 마을을 방어하기 위하여 이다. 마을 사람들은 장승의 겉모습을 되도록이면 무사(武士), 장군(將軍), 역사(力士), 문수(門守) 등...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학리 들말에서 음력 정월 보름날 석장승에 지내는 고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학리 마을로 들어서면 넓은 논을 사이에 두고 석장승 두 기가 마주 보고 세워져 있다. 들말, 양지동, 요령바위, 학미의 주민들은 해마다 정월 보름날이면 장승고사와 기고사를 지낸다. 장승에 먼저 정성을 들인 뒤에 마을 회관 앞 공터에 농기를 세워 놓고 고사를 지...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음력 정월 보름에 마을에 액운을 막기 위하여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장승은 나무나 돌에 무서운 표정의 사람 얼굴 모습을 깎거나 새기고 그려서 마을 어귀에 세운 하당신(下堂神)이다. 장승을 세우는 까닭은 잡귀와 재액으로부터 마을을 방어하기 위하여 이다. 마을 사람들은 장승의 겉모습을 되도록이면 무사(武士), 장군(將軍), 역사(力士), 문수(門守) 등...
-
세종특별자치시 종촌동에 있는 장애인 종합 복지 센터. 세종특별자치시 종촌종합복지센터 내 5개 시설 중 하나이다. 장애인주간보호센터에서는 기초서비스 지원, 일상서비스 지원, 건강서비스 지원, 자립서비스 지원, 여가서비스 지원 등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장애인주간보호센터는 자비의 빛으로 나눔과 사랑을 실천하며 서로의 치유·자립·...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있는 과학사업화 종합지원 핵심시설. 세종SB플라자는 과학벨트의 기초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산·학·연 공동 R&D 수행, 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인력 양성, 각종 사업화 서비스 지원 등을 수행하는 기능지구 핵심시설이다. 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2012~2017)」에 따라 세종시, 천안시, 청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있는 과학사업화 종합지원 핵심시설. 세종SB플라자는 과학벨트의 기초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산·학·연 공동 R&D 수행, 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인력 양성, 각종 사업화 서비스 지원 등을 수행하는 기능지구 핵심시설이다. 정부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2012~2017)」에 따라 세종시, 천안시, 청주...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직을 역임했던 서양화가. 장욱진(張旭鎭)[1917~1990]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출신으로, 양정고등보통학교 4학년 때 ‘제2회 전조선학생미술전람회’에서 「공기놀이」로 최고상을 받았다. 이후 일본의 국제미술학교 서양학과에 입학하여 1943년 9월에 졸업하였다. 1947년 김환기·유영국·이중섭 등과 함께...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결성장씨 연기파의 입향조이자 학자. 장원주(張元胄)[1634~1700]의 자는 자장(子將), 호는 봉옹(鳳翁)이다. 결성장씨 연기파 연서면 고복리의 입향조이다. 고복리에는 창녕성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세거하였으나 장원주 이후 결성장씨가 세거하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향촌(鄕村)[시골 마을]에 은거(隱居)[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열녀. 언양김씨는 장응헌(張應軒)의 부인으로, 남편은 결성장씨이다. 언양김씨는 병자호란에 적병에게 끌려가는 것에 저항하여 은장도로 자결한 열녀이다. 일설에 의하면 적병에게 쫓기다가 스스로 강에 뛰어들어 익사한 열녀라고도 한다. 장응헌 처 언양김씨의 아버지는 첨정(僉正) 김징(金澄)이다. 『여지도서』, 『충청남도읍지』, 『...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부이자 열녀. 장이상(張彛相)[1816~1884]의 부인 한양조씨는 장이상에게 출가하여 시조모를 극진히 봉양하였고, 시어머니의 두 차례 병환에 모두 약을 구해 드려 병환을 낫게 하였다. 남편이 노환으로 숨지자 식음을 전폐하고 6일 만에 세상을 떠난 효부이자 열녀이다. 장이상 처 한양조씨의 아버지는 조우규(趙禹圭)이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장재리의 지명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장재리의 지명 유래」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장재리의 지명이 마을에 살던 인물이나 지형 특징, 건축물 등으로 인하여 유래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7년 금남향토지발간위원회에서 발간한 『금남면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이정호[남, 75세]가 구연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세종특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장재리의 지명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장재리의 지명 유래」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장재리의 지명이 마을에 살던 인물이나 지형 특징, 건축물 등으로 인하여 유래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7년 금남향토지발간위원회에서 발간한 『금남면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이정호[남, 75세]가 구연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세종특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장재리의 지명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장재리의 지명 유래」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장재리의 지명이 마을에 살던 인물이나 지형 특징, 건축물 등으로 인하여 유래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7년 금남향토지발간위원회에서 발간한 『금남면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이정호[남, 75세]가 구연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세종특별...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국내 항일 독립운동가. 장재규(張在奎)는 민적 조사와 납세 반대 등의 식민지 지배 정책에 저항한 독립운동가이다. 장재규는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지배 정책인 민적 조사와 납세 정책에 반대하는 저항 운동을 하다 옥고를 치렀다. 1915년 3월 12일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의 헌병 분견소 헌병 야나기사와 도지로[柳澤藤次郞]가 민적 조사를...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장재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이자 행정리이며, 자연마을로는 질재와 장절골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홈페이지에 따르면 장재리는 동네가 길쭉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장수하는 마을이라 소개하고 있다. 『한국지명총람』에서는 뒷산에 장절[長寺]이란 절이 있으므로 장절골 또는 장재라 하였으며 장재리에 3기의 고인돌...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재학(張在學)은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예양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예양리]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일제의 민적[호적] 조사와 납세 정책에 저항하여 투쟁을 전개한 인물이다. 장재학은 일제의 민적 조사와 납세 정책에 저항하여 투쟁을 전개하였다. 1915년 3월 12일 충청남도 연기 조치원(鳥致院) 헌병 분견...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홍진(張弘鎭)[1899~1938]은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송용리 출신으로 송용리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장홍진은 1919년 3월 28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송용리에서 전개된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장홍진은 연일 이어지는 횃불독립만세운동을 회유하기 위하여 1919년 3월 28일 송용리로 출장 나온 연기군수가 회유...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항일운동가. 장화진은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예양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예양리] 출신으로 일본의 식민 통치에 항거하였다. 장화진(張和鎭)[1899~1974]은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예양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예양리]에서 거주할 때 부친 장재학(張在學)이 일본 호적에 들어가지 않아 서울의 감옥에 들어갔다. 부친이 감옥에 들어...
-
조선시대 세종 지역 결성장씨 연기파의 입향조이자 학자. 장훈(張訓)[1568~1609]의 호는 노초(老樵)이며, 통훈대부헌릉직장(通訓大夫獻陵直長)을 지냈다. 결성장씨 연기파의 입향조이다. 장훈이 어떠한 이유로 송용리 일대로 이거(移居)[본래 살던 집에서 다른 집으로 거처를 옮김]하였는지 정확한 사실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장훈이 이거한 후 결성장씨(結城張氏...
-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에 있는 낮은 통로. 고개는 대체로 산등성이를 넘는 곳을 말하며, 재[岾]·영(嶺)·마루·현(峴)·치(峙)·안부(鞍部)·티·항(項)이라고도 한다.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한 옛날에 산으로 막힌 이웃 지역을 오가는 데 고개를 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편리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차령산맥의 주맥과 지맥이 통과하는 지...
-
세종특별자치시 장남평야 일대에서 발견되는 두루미목 두루미과에 속하는 철새. 재두루미는 두루미과에 속하는 계절 이동 새로 학명은 Grus vipio Pallas[1811] 이다. 재두루미의 키는 약 115~125㎝의 대형 조류로 알려져 있으며 머리와 목 위 뒤쪽은 흰색이고 나머지 몸은 잿빛이다. 재두루미라는 이름은 잿빛에서 유래한다. 부리는 황록색이며...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 잿말에서 매년 음력 정월에 마을 앞 느티나무에서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의 잿말 안쪽 언덕 위에 있는 둥구나무에 매년 정월 지내는 목신제가 있다. 둥구나무가 있는 언덕을 ‘통메’라고 부르는데 둥구나무제를 지내게 된 동기가 있다. 옛날 송성리 마을에 임자 없는 묘가 하나 있었는데 새마을 사업으로 마을 안쪽에 꽃밭을...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 주민들이 치성을 올리던 수박고개와 잿말고개의 서낭신을 모신 집. 수박고개와 잿말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성리 마을 주민들이 마을 밖으로 오가는 주요 교통로였다. 수박고개와 잿말고개 중간쯤에 각각 서낭당이 있다. 주민들은 서낭[서낭신이 붙어 있다는 나무]을 지나면서 돌을 주워 던지고 침을 뱉으며 지나간다. 정초나 시월이면 수박고...
-
세종 지역에서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물의 과다 또는 과소를 조절하는 인공적 수리시설의 한 종류. 조선시대 이전에는 제언(堤堰)이라 불렸으나 수리시설에 대한 기능이 분화되면서 최근에는 보(洑)나 방조제(防潮堤) 등과 구분하여 저수지라 명명하게 되었다. 저수지는 하천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용수원(地表用水源) 역할을 하며, 하천용수보다 시설비용이 많이 들지만 풍부한 유량을 확보...
-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금강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가장 큰 하천이다. 본류는 전라북도 장수군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함께 북쪽으로 흐른다. 충청북도 남서부 지역에서는 북서쪽으로 물길을 바꾸고 지류들과 합쳐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이르러서는 남서 방향으로 물길이 바뀐...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 남이웅(南以雄)[1575~1648]은 병자호란을 전후한 시기에 정치권의 핵심에 있던 인물이다. 남이웅은 본관(本貫)이 의령(宜寧)이고, 자는 적만(敵萬), 호는 시북(市北)이다. 할아버지는 증좌찬성 남응운(南應雲)이다. 아버지는 군자주부(軍資主簿)를 지내고 참판에 추증된 남위(南瑋)이고, 어머니는 청주한씨이다....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구과목 주목과 상록 교목. 주목은 백두대간 등 산악지역을 중심으로 자생하는 상록 교목이다. 학명은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이다. 높이 17m, 지름 1m에 달하고 음지에서도 잘 자란다. 암수딴그루 나무로 4월에 꽃이 피고 붉은색 열매가 8~9월에 익는다. 껍질은 어린 가지일 때는 녹색이다가 나중에 홍갈색으...
-
통일신라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적오현(赤烏縣)은 통일신라시대 지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149권, 지리지(地理志) 충청도(忠淸道) 공주목(公州牧)에 “덕진(德津)은 본래 백제시대에 소비포현(所北浦縣)이었는데...
-
통일신라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적오현(赤烏縣)은 통일신라시대 지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의 금남면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149권, 지리지(地理志) 충청도(忠淸道) 공주목(公州牧)에 “덕진(德津)은 본래 백제시대에 소비포현(所北浦縣)이었는데...
-
세종특별자치시의 옛 지명으로, 조선 태종 때 전의현과 연기현을 합쳐 신설한 현. 전기현(全岐縣)은 조선 시대에 지금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인 전의현(全義縣)과 연기현(燕岐縣)을 병합한 현(縣)의 명칭이다. 1414년(태종 14) 전의현과 연기현을 병합하였으나 병합된 군현의 원성과 반발로 1416년(태종 16)에 전의현과 연기현으로 다시 분리되었다. 조...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박안생의 묘소. 박안생은 사육신 중 한 명인 박팽년(朴彭年)[1417~1456]의 할아버지이자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순천박씨 입향조이다. 박안생은 전의의 명족인 선안동김씨(先安東金氏) 한성좌윤 학당(學堂) 김휴(金休)의 둘째 딸에게 장가들었으며, 처가 근처로 이사하면서 전의 지역 순천박씨 입향조가...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박안생의 묘소. 박안생은 사육신 중 한 명인 박팽년(朴彭年)[1417~1456]의 할아버지이자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순천박씨 입향조이다. 박안생은 전의의 명족인 선안동김씨(先安東金氏) 한성좌윤 학당(學堂) 김휴(金休)의 둘째 딸에게 장가들었으며, 처가 근처로 이사하면서 전의 지역 순천박씨 입향조가...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에서 전동면 봉대리를 잇는 시도.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세종특별자치시 시도(市道) 제29호로 편입·승격되었다. 도로의 기점과 종점이 전동면에 있어 노선명은 전동~전동선이 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시도 제29호는 본래 연기군 전동면 노장리 기점에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종점 구간을 잇는 8.7㎞...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에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전동교회는 전동면 지역의 복음 전파와 농촌 사역을 목적으로 조치원성결교회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광복 후인 1947년 5월 15일 조치원성결교회 배문준 목사에 의해 두 번째 지교회로 세워졌다. 2017년 1월 12일 세종시기독교연합회 정기총회가 전동교회에서 열렸으며, 이때 전동교회 담임목사인 전용...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면. 전동면(全東面)은 전의의 동쪽에 있는 면이란 뜻이다. 과거 전동면은 전의지역으로 원삼국시대에는 마한의 54개국 중 하나였고, 백제시대에는 구지현(仇知縣)에 속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금지현(金池縣)이라 하여 대록군(大麓郡)의 영현이 되었다가 고려 때 전의현(全義縣)에 속하였다. 전동면은 조선시대인 1414년(태종 14)...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에서 농사철 가뭄 시 하늘에 비를 내려 달라고 기원하는 제사. 전동면은 세종 지역에서 건설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연기군의 옛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다. 전동면은 예부터 농사를 주업으로 하던 농촌이다. 농촌에서의 물은 농사에 가장 중요하다. 가뭄으로 농작물이 말라 죽으면 농민들은 애타는 마음으로 오직 하늘에 비를 내려달라고 여러...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에 있는 경부선의 신호장역. 전동역의 역명은 전동면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전동역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의 인적·물적 자원 수탈(收奪)[강제로 빼앗음]정책을 용이하게 추진하고, 우리나라를 대륙 진출의 발판으로 이용하기 위해 1905년 경부선철도를 개통하면서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전동역은 여객과 화물 운송의 주요 기능을 담...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전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즐거운 너 따뜻한 나 성장하는 우리의 교육비전을 가지고 건강한 아이(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진로를 위해 도전하는 학생), 따뜻한 아이(배려와 나눔으로 공동체 발전에 힘쓰는 학생), 도전하는 아이(새롭게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생), 빛깔 있는 아이(문화예술체험활동으로...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전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즐거운 너 따뜻한 나 성장하는 우리의 교육비전을 가지고 건강한 아이(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진로를 위해 도전하는 학생), 따뜻한 아이(배려와 나눔으로 공동체 발전에 힘쓰는 학생), 도전하는 아이(새롭게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생), 빛깔 있는 아이(문화예술체험활동으로...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전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즐거운 너 따뜻한 나 성장하는 우리의 교육비전을 가지고 건강한 아이(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진로를 위해 도전하는 학생), 따뜻한 아이(배려와 나눔으로 공동체 발전에 힘쓰는 학생), 도전하는 아이(새롭게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학생), 빛깔 있는 아이(문화예술체험활동으로...
-
고려 후기 세종 지역에 정착한 문신. 임난수(林蘭秀)[1342~1407]는 세종 지역 세거 성씨인 부안임씨 입향조이다. 고려 후기 벼슬이 공조전서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삼기촌[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으로 들어와 평생 은거(隱居)[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하며 살았다. 후손들이 연기현 일대에 대대로 거주하며 세종 지역에서 가장 큰 집성촌을 이루었다....
-
고려 후기 세종 지역에 정착한 문신. 임난수(林蘭秀)[1342~1407]는 세종 지역 세거 성씨인 부안임씨 입향조이다. 고려 후기 벼슬이 공조전서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삼기촌[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으로 들어와 평생 은거(隱居)[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하며 살았다. 후손들이 연기현 일대에 대대로 거주하며 세종 지역에서 가장 큰 집성촌을 이루었다....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으로 세조 즉위를 도운 좌익공신 3등 문신. 이예장(李禮長)[1406~1456]의 본관(本貫)은 전의(全義), 자는 자문(子文)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구직(李丘直), 할아버지는 이정간(李貞幹), 아버지는 부윤 이사관(李士寬)이다. 이예장은 1432년(세종 14) 식년문과 생원에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다. 1438년(세종 20)에는 사간원...
-
1901년 편찬된 충청도 전의군의 읍지. 필사본 1책으로, 이칭은 ‘전성지’이다. 표지에 한자로 ‘全城誌’가 쓰여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전의읍지』의 내용은 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강역(疆域)·방리(坊里)·도로(道路)·형승(形勝)·산천(山川)·성지(城池)·풍속(風俗)·토산(土産)·진공(進貢)·공해(公廨)[관가 건물],...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동서지간 열녀. 창녕성씨(昌寧成氏)와 결성장씨(結城張氏)는 옥천전씨 집안으로 출가한 동서지간으로, 남편과의 의와 지조를 지키기 위하여 자결한 이열부이다. 창녕성씨[?~1735]는 전오복(全五福)과 혼인하였다. 남편 전오복이 1735년(영조 11)에 죽자 뒤를 따라 자결(自決)[의분을 참지 못하거나 지조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
조선 후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하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덕성서원에 배향된 학자. 전우(田愚)[1841~1922]의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고옹(蠱翁)·양하왕인(陽下尫人)이다.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이다. 21세에 당시의 거유(巨儒|鉅儒)[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서울에서 직접 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일대에 있는 산. 전월산(轉月山)[259.8m]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금강과 미호천의 합류 지점에 있다. 강물이 삼태극의 형상으로 돌기 때문에 달밤에 전월산에서 동쪽에 있는 금강을 굽어보면 강에 비친 달이 도는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전월산이 청류부곡(淸流部曲)이 있던 구을촌(仇乙村) 앞이 되므로 ‘구름다리’...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주민들이 전월산 산신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예전 연기군 남면 양화1리 마을은 동촌·서촌·정자동 3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예로부터 전월산 산신에게 마을 안녕과 농사 풍년을 기원하며 산신제를 지내어 왔다. 매년 음력 11월 3일을 제사일로 삼고 깨끗한 사람을 제관으로 뽑아 제사를 지내었다. 전월산...
-
세종 지역에서 우리나라 전통 활 만드는 기술을 보유하고 전통 활 만드는 일에 종사하는 장인. 우리 민족의 활 만드는 기술은 오래전부터 세계 어느 민족보다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중국에서는 우리 민족이 활을 잘 만들고 잘 쏘는 동쪽의 민족이라는 뜻에서 ‘동이(東夷)’라고 부를 정도로 활 제작에서 뛰어난 기술이 있다고 하였다. 국궁(國弓)은 고구려 벽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은 비암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조선 후기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의 불전으로, 보물 제2119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길 137[다방리 4] 비암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은 비암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조선 후기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의 불전으로, 보물 제2119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길 137[다방리 4] 비암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전의 비암사 삼층석탑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碑岩寺)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단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1982년에 복원 공사를 하면서 망실된 기단부를 보수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전체적으로 1층 탑신에 비하여 2~3층 탑신의 체감률이 크고, 옥개석 하단 받침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조선 전기 아미타여래좌상.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비암사 극락보전에 주존불로 봉안하고 있는 단독의 대형 소조여래좌상이다. 상호(相好)[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 표현이나 착의법, 신체 비례 등을 살펴보면 조선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은 비암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조선 후기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의 불전으로, 보물 제2119호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길 137[다방리 4] 비암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 괘불도. 전의 비암사 영산회 괘불탱화(全義卑岩寺靈山會掛佛幀畵)는 야외에서 설행되는 의식을 위하여 조성된 대형 불화로, 내용적으로는 영취산(靈鷲山)에서 설행된 석가모니불의 설법 장면을 묘사하였다. 중앙에 항마촉지인을 결한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협시인 문수·보현 보살과 사천왕, 2위의 보살이 배치되었다. 상단에...
-
1950년 6·25전쟁 당시 개미고개를 중심으로 북한군 2개 사단과 미군이 벌인 전투. 개미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 사이에 있는 고개로, 6·25전쟁 당시 개미고개를 중심으로 전의면·전동면·조치원읍 일대에서 미군이 북한군을 맞아 치열한 전투를 벌인 곳이다. 현재 자유평화의 빛 위령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매년 7월 11일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1950년 6·...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위치한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감리교의 충청남도 순회 전도 중 전의 지역 성도들의 예배와 농촌 사역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감리교의 충청남도 순회 전도로 1928년에 설립되었다. 1932년 가을 전의교회 예배당을 짓기로 계획하였지만 대지가 여의치 않아 지을 수 없었다. 1935년이 되어서야 전도인 주택을 마련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위치한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감리교의 충청남도 순회 전도 중 전의 지역 성도들의 예배와 농촌 사역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감리교의 충청남도 순회 전도로 1928년에 설립되었다. 1932년 가을 전의교회 예배당을 짓기로 계획하였지만 대지가 여의치 않아 지을 수 없었다. 1935년이 되어서야 전도인 주택을 마련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1932년 조치원교회 신기철, 양정석 등이 전의에서 한약방을 경영하는 방기훈의 협조로 전의면 읍내리 이마리아의 집 대청마루에서 창립 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1932년 전의면 성도들의 예배와 농촌 사역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33년 초대 교역자인 이강직 전도사가 부임하였다. 1935년 조치원성결교회...
-
1895년 충청남도 전의를 중심으로 편성된 옛 행정 구역.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전의면, 전동면의 옛 행정구역이다. 1895년(고종 32) 5월 26일 칙령 제98호에 의해 도제(道制)를 폐지하였다. 전국을 23부(府)로 시행하고 충청도를 폐지한 것이다. 신설된 공주부(公州府)가 27개 군을 관할하면서 연기와 전의의 행정 지위가 군으로 승격되었다. 원래 면에는 존위(尊...
-
백제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구지현(仇知縣)은 백제시대 지명으로, 오늘날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백제시대 지명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 의하면 구지현은 오늘날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역에 해당하는 백제시대 대목악군(大木岳郡)에 속한 곳이었으...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면. 전의면(全義面)은 백제 때 구지현(九知縣)이라고 불렀다. 통일신라 경덕왕 때에 금지현(金池縣)이라 고쳐 부르다가 고려 때부터 전의(全義)라고 불렀다. 전의라 불리게 된 것은 백제시대 때 마을에 전씨(全氏)가 많이 살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된 석불비상에 새겨진 전씨라는 명문(銘文)과 일대의 지명을 전의·전동(全...
-
조선시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에 세거한 안동김씨 집성촌. 세종 지역 입향의 중심인 안동김씨 전서공파의 시제와 종회의 조직과 운영을 살펴보고 절차를 통하여 전통적인 세종 지역의 동족 마을 모습을 엿본다. 안동김씨 전서공파의 시제는 전동면 미곡리 학당이 산소에서 매년 음력 10월 초정일에 지낸다. 제사는 제일 먼저 학당이 묘소 위쪽에 있는 산제단...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와 신정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석재산업의 활성화 및 자동차용 유리의 생산 증대를 위하여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전의일반산업단지는 1992년 석재공단 조성계획수립[연기군]에 따라 조성되기 시작하여 1996년 8월 9일 충남고시 제1996-114호에 따라 전의지방산업단지의 지정 변경이 승인되었다. 1997년 2월 실시계획이 승인...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와 신정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석재산업의 활성화 및 자동차용 유리의 생산 증대를 위하여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전의일반산업단지는 1992년 석재공단 조성계획수립[연기군]에 따라 조성되기 시작하여 1996년 8월 9일 충남고시 제1996-114호에 따라 전의지방산업단지의 지정 변경이 승인되었다. 1997년 2월 실시계획이 승인...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1932년 조치원교회 신기철, 양정석 등이 전의에서 한약방을 경영하는 방기훈의 협조로 전의면 읍내리 이마리아의 집 대청마루에서 창립 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1932년 전의면 성도들의 예배와 농촌 사역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33년 초대 교역자인 이강직 전도사가 부임하였다. 1935년 조치원성결교회...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천주교 대전교구 공주지구 소속 성당. 조치원 본당 소속의 전의공소는 1957년 전의면 동교리에서 발족되었다. 당시 공소 신자들은 별도의 공소 건물을 갖지 못하고 신자들의 가정집을 임시 공소로 삼아 신앙생활을 하였다. 동교리 이수필의 집을 비롯하여 1958년 읍내리 최인혁의 집, 1969년 읍내리 황태희의 집, 19...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전의역의 역명은 전의면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전의역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의 인적·물적 자원 수탈(收奪)[강제로 빼앗음]정책을 용이하게 추진하고, 우리나라를 대륙 진출의 발판으로 이용하기 위해 1905년 경부선철도를 개통하면서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전의역은 여객과 화물 운송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전통 재래시장. 조선시대 개설된 전의시장(全義市場)은 현내장으로 불려왔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전의군이 연기군에 통합되고 읍내리를 포함한 13개 리가 전의면으로 출범하면서 명칭이 전의장(全義場)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2011년 8월 5일 전통시장으로 등록하면서 명칭도 전의왕의물시장으로 바꾸었다. 『동국문헌비고』...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와 신정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석재산업의 활성화 및 자동차용 유리의 생산 증대를 위하여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전의일반산업단지는 1992년 석재공단 조성계획수립[연기군]에 따라 조성되기 시작하여 1996년 8월 9일 충남고시 제1996-114호에 따라 전의지방산업단지의 지정 변경이 승인되었다. 1997년 2월 실시계획이 승인...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전통 재래시장. 조선시대 개설된 전의시장(全義市場)은 현내장으로 불려왔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전의군이 연기군에 통합되고 읍내리를 포함한 13개 리가 전의면으로 출범하면서 명칭이 전의장(全義場)으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2011년 8월 5일 전통시장으로 등록하면서 명칭도 전의왕의물시장으로 바꾸었다. 『동국문헌비고』...
-
1950년 6·25전쟁 당시 개미고개를 중심으로 북한군 2개 사단과 미군이 벌인 전투. 개미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 사이에 있는 고개로, 6·25전쟁 당시 개미고개를 중심으로 전의면·전동면·조치원읍 일대에서 미군이 북한군을 맞아 치열한 전투를 벌인 곳이다. 현재 자유평화의 빛 위령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매년 7월 11일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1950년 6·...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전의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큰 꿈을 키우며 함께 성장하는 바른 전의인’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움을 창출하는 창의인,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자주인, 존중과 나눔을 실천하고 공동체와 더불어 사는 배려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문화적 소양을 갖춘 교양인 육성을 교육 목표...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전의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큰 꿈을 키우며 함께 성장하는 바른 전의인’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움을 창출하는 창의인,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자주인, 존중과 나눔을 실천하고 공동체와 더불어 사는 배려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문화적 소양을 갖춘 교양인 육성을 교육 목표...
-
1950년 6·25전쟁 당시 개미고개를 중심으로 북한군 2개 사단과 미군이 벌인 전투. 개미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 사이에 있는 고개로, 6·25전쟁 당시 개미고개를 중심으로 전의면·전동면·조치원읍 일대에서 미군이 북한군을 맞아 치열한 전투를 벌인 곳이다. 현재 자유평화의 빛 위령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매년 7월 11일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1950년 6·...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전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갖추 지혜로운 학생(창의인), 배려하는 마음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따뜻한 학생(감성인), 꿈과 끼를 키우고 문화를 즐기는 건강한 학생(재능인)’이다. 교육 비전은 ‘배움과 공감으로 성장하는 행복 전의교육’이다. 교훈은 ‘참되게 슬기롭게 씩씩하게’이다. 1909년...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전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갖추 지혜로운 학생(창의인), 배려하는 마음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따뜻한 학생(감성인), 꿈과 끼를 키우고 문화를 즐기는 건강한 학생(재능인)’이다. 교육 비전은 ‘배움과 공감으로 성장하는 행복 전의교육’이다. 교훈은 ‘참되게 슬기롭게 씩씩하게’이다. 1909년...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전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을 갖추 지혜로운 학생(창의인), 배려하는 마음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따뜻한 학생(감성인), 꿈과 끼를 키우고 문화를 즐기는 건강한 학생(재능인)’이다. 교육 비전은 ‘배움과 공감으로 성장하는 행복 전의교육’이다. 교훈은 ‘참되게 슬기롭게 씩씩하게’이다. 1909년...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서 용출되는 천연 광천 샘물.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의하면 1444년(세종 26) 세종의 안질 치료를 위하여 청주시 초정리에 머무르며 새로운 물을 찾던 중 전의 4곳, 목천 2곳, 청주 1곳에 물이 있다고 보고가 되었다. 또한 전의초수 등에 나쁜 성분이 들어가지 않게 관리하도록 지시하였다. 1445년부터 1년간 전의초수의...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서 용출되는 천연 광천 샘물.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의하면 1444년(세종 26) 세종의 안질 치료를 위하여 청주시 초정리에 머무르며 새로운 물을 찾던 중 전의 4곳, 목천 2곳, 청주 1곳에 물이 있다고 보고가 되었다. 또한 전의초수 등에 나쁜 성분이 들어가지 않게 관리하도록 지시하였다. 1445년부터 1년간 전의초수의...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관립 교육기관. 전의향교는 1416년에 현유(賢儒)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학덕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문묘나 사당, 서원 등에 모시는 일]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에 있다. 전의향교는 처음 현의 동쪽에 건립되었으나 장소가 협소하였다고 한다....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면. 전동면(全東面)은 전의의 동쪽에 있는 면이란 뜻이다. 과거 전동면은 전의지역으로 원삼국시대에는 마한의 54개국 중 하나였고, 백제시대에는 구지현(仇知縣)에 속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금지현(金池縣)이라 하여 대록군(大麓郡)의 영현이 되었다가 고려 때 전의현(全義縣)에 속하였다. 전동면은 조선시대인 1414년(태종 14)...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전의현(全義縣)은 조선 건국 이후 1413년(태종 13) 전국적인 지방제도 개편 때 제정되어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으며, 1895년(고종 32) 현(縣)을 군(郡)으로 일괄 개칭할 때 전의군으로 개칭되어 승격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연기군에 병합되어 일부 지역이 연기군 전의면으로 남아 있었다....
-
백제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구지현(仇知縣)은 백제시대 지명으로, 오늘날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백제시대 지명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 의하면 구지현은 오늘날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역에 해당하는 백제시대 대목악군(大木岳郡)에 속한 곳이었으...
-
통일신라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금지현(金池縣)은 통일신라시대 지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본래 백제의 구지현(仇知縣)이었지만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 757년(경덕왕 16)에 금지현(金池縣)[또는 金地縣]으로 고쳐서 지금의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일원에 위치한 대록군(...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충청도 전의현에 토착하고 있던 씨족 집단의 성씨.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조선 전기 전의현의 토성(土姓)으로 이(李)·유(兪)씨가 있고 망성(亡姓)으로 하(河)씨, 차성(次姓)으로 전(全)씨가 각각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 전의현 토성의 수위에 기록되어 있는 이씨는 전의이씨를 지칭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인물조에는 전의이씨에...
-
조선 후기 호서지역 낙론의 대가 중 한명으로,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전재(全齋)·희양재(希陽齋)이다. 유학의 거두로 유림의 추앙을 받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경서(經書)에 몰두하여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직에 나아가 이조참판과 대사헌 등을 지냈으나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
조선 후기 호서지역 낙론의 대가 중 한명으로,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전재(全齋)·희양재(希陽齋)이다. 유학의 거두로 유림의 추앙을 받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경서(經書)에 몰두하여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직에 나아가 이조참판과 대사헌 등을 지냈으나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
조선 후기 연기 지역에 거주한 임헌회와 그 후손의 인장. 임헌회(任憲晦)[1811~1876]는 19세기 말 성리학자이다. 충청남도 연기·공주 일대에서 크게 활약한 성리학, 특히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한 인물이다. 대표적인 문인으로는 간재(艮齋) 전우(田愚), 경의당(敬義堂) 김진수(金振遂) 등이 있다. 임헌회의 문집교지와 함께 인장이 보존되어 있다....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원룡, 이몽경, 이운망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이한(李翰)을 시조(始祖)로 하는 전주이씨는 1500년대 이후 세종특별자치시 전 지역에 흩어져 살며 집성촌을 형성하여 왔고, 조선의 번성과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세종 지역의 유력한 성씨가 되었다. 전주이씨는 전라북도 전주에서 대대로 살아온 토착 성씨로,...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 있는 전주이씨3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전주이씨 삼효 정려는 전주이씨 집안의 이정환(李廷煥)[1604~1671]과 이정환의 손자 이경설(李景卨)[1650~1708]·이경익(李景益)[1655~1708]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이정환은 무오사화 때 화를 당한 한재(寒齋) 이목(李穆)[1471...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 있는 전주이씨3인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정려. 전주이씨 삼효 정려는 전주이씨 집안의 이정환(李廷煥)[1604~1671]과 이정환의 손자 이경설(李景卨)[1650~1708]·이경익(李景益)[1655~1708]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이정환은 무오사화 때 화를 당한 한재(寒齋) 이목(李穆)[1471...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무를 겸전한 인물. 김종서(金宗瑞)[1383~1453]는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에서 1383년(고려 우왕 9) 3남 1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국경(國卿)이고 호는 절재(節齋)이다. 김종서는 백성을 자애로 다스리는 목민관(牧民官)이었으며, 세종(世宗)·문종(文宗)·단종(端宗) 3대 왕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고 항...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 홍억(洪檍)[1722~1809]은 조선 후기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홍억의 할아버지는 호조참판 홍숙(洪璛)이다. 아버지는 충청도관찰사 홍용조(洪龍祚)이며 어머니는 이창령(李昌岭)의 딸이다. 홍억은 1753년(영조 29)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지평으로 관직에 나가 전적, 정언...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정대권(鄭大權)[1850~1902]의 본관은 진주이다. 충장공 정분(鄭苯)[?~1454]의 15세손이며, 아버지는 정원룡(鄭元龍)이다. 정대권의 아들 정헌세(鄭憲世)와 정헌채(鄭憲采)는 중추원의관을 지냈고, 정헌빈(鄭憲斌)은 전의 문묘 직원을 지냈다. 정대권은 9세에 부친상을 당하여 여막(廬幕)[무덤 가까이에 지어 놓고 상제...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정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있는 법정리이며, 시장 중심 지역으로서 조치원 경제의 중심지이다. 정리(貞里)라는 지명은 원리와 더불어 시장을 완성하였다는 원형리정(元亨利貞) 사상에 기초하여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것이 무방하다. 정리는 연기현 북면 침산리 지역이었으며, 원리와 더불어 침산장이...
-
1907년 군대해산 이후 세종 지역에서 일어난 항일 의병. 세종 지역에서는 1907년 8월 군대해산 이후 항일의병 활동이 나타난다. 세종 지역 의병은 공주와 연기·전의의 산림지역을 근거지로 삼고 일제의 추격을 피하면서 기민한 작전으로 전과를 올렸다. 을사조약이 늑결된 이후 의병은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1907년 7월 고종이 강제 퇴위되고 8월에 일제가 군대를 해산시키자...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있는 중앙행정기관의 정부청사. 정부세종2청사는 도시계획상 2-4생활권에 배치되었으며, 중심행정타운 마스터플랜 국제공모 등을 통하여 청사 배치와 전체적인 형상이 결정되었다. 정부 기능의 다원화로 행정기구가 확대됨에 따라 대국민 행정서비스의 행정능률 증진 및 대민 봉사행정의 문제점이 가중되기 때문에 산재되어 있는 각 부처를 집중수용함으로써...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중앙행정기관의 정부청사. 2005년 3월 행복도시법 제정에 따라 예정지역[행복도시]과 주변지역이 고시되어 예정지역 내 대부분의 이전 기관이 입주하는 정부세종청사가 들어서는 1-5생활권을 중심행정타운으로 조성하였다. 정부세종2청사는 업무연계성이 낮거나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부 기관이 입주하게 되었다. 정부세종2청사는...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회의 및 전시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시설. 정부세종청사는 흩어져 있는 각종 정부 기능을 집중 수용하여 행정 능률을 제고하고 국민의 행정기관 이용에 대한 편의를 증진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정부세종컨벤션센터는 각종 행사를 효율적으로 치르기 위하여 설립된 시설이다. 정부세종청사 산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상복(鄭相福)[1899~1946]은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신정리 출신으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전의시장의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정상복은 1919년 3월 14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전의시장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앞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이수욱(李秀郁)이 고종의 국장(國葬) 참례를 위하여 2월...
-
박도를 중시조로 하고 박민헌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박민헌(朴敏獻)을 입향조로 하는 정선박씨 제학공파(提學公派)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에 정착한 이래 사장골 박가라고 불리며 일가를 이루어 살아오고 있다. 정선박씨 족보에 의하면 정선박씨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시조로 하고 밀성대군 박언침(朴彦忱)의 후손인 박도(朴塗)를 중시조...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 문신으로 단종을 위하여 절개를 지킨 생육신의 한 사람. 성담수(成聃壽)는 1456년 단종 복위가 실패한 후 벼슬을 버리고 선영(先塋)[조상의 무덤 또는 조상 무덤 근처의 땅]이 있는 경기도 파주에 은거하며 끝까지 절개를 지킨 생육신 중 한 사람이다. 성담수의 본관(本貫)은 창녕(昌寧)이다. 자는 인수(仁叟), 호는 정재(靜齋)이다....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정원룡(鄭元龍)[1812~?]의 본관은 진주이며, 충장공 정분(鄭苯)의 14세손이다. 부인은 윤제규(尹濟奎)의 딸 파평윤씨(坡平尹氏)[1811~?]이며, 아들은 정대권(鄭大權)[1850~1902]이다. 정원룡의 부친은 외출하면 항상 저녁 무렵에 돌아왔다. 사는 곳이 산골인 까닭에 아버지께서 귀가할 때가 되면 정원룡이 마중을...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원필(鄭元弼)[1874~1938]은 옛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읍내리 전의시장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정원필은 1919년 3월 13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전의시장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만세운동을 주도한 이수욱(李秀郁)이 고종의 국장(國葬) 참례를 위하여 2월 26일 상경하여 3·1운동을 직접 목격하...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 문신으로 단종을 위하여 절개를 지킨 생육신의 한 사람. 성담수(成聃壽)는 1456년 단종 복위가 실패한 후 벼슬을 버리고 선영(先塋)[조상의 무덤 또는 조상 무덤 근처의 땅]이 있는 경기도 파주에 은거하며 끝까지 절개를 지킨 생육신 중 한 사람이다. 성담수의 본관(本貫)은 창녕(昌寧)이다. 자는 인수(仁叟), 호는 정재(靜齋)이다....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으로 생육신 성담수의 동생. 성담년(成聃年)은 조선 전기에 문과 급제한 문신으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세거하는 창녕성씨 입향조이다.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다. 성담년의 본관(本貫)은 창녕(昌寧)이다. 자는 인수(仁叟), 호는 정재(靜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문관대제학 성석용(成石瑢)이며, 할아버지는 성개(成槪)이다....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상복(鄭相福)[1899~1946]은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신정리 출신으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전의시장의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정상복은 1919년 3월 14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전의시장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앞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이수욱(李秀郁)이 고종의 국장(國葬) 참례를 위하여 2월...
-
조선 전기 동학사 숙모전의 전신인 초혼단을 만들고, 세종 지역에 은거한 충신이자 효자. 정지산(鄭之産)[1396~1467]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언평(彦平), 호는 포신(逋臣) 또는 포옹(逋翁)이다. 세조의 계유정난 때 화를 당한 우의정 정분(鄭苯)의 양자이다. 양어머니는 원주변씨(原州邉氏)[1396~1467]이다. 1445년(세종 27) 사마시에 합격...
-
조선 후기 전의현감을 지낸 문신. 정천경(鄭天卿)[1547~1600]은 충장공 정분(鄭苯)의 5세손이다. 아버지는 영동현감을 지낸 조봉대부 정인덕(鄭麟德)이다. 정천경은 1585년(선조 18) 을유 식년시 진사3등으로 합격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으로 참가하여 적군을 무찌른 공으로 선무원종 2등공신에 책록되었다. 1597년 임천군수로 부임하였고 1598...
-
세종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민주적 방식의 권력 획득과 그 권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통치·자치 행위. 정치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의미를 특정할 수 없다. 그러나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인식하는 정치는 ‘유권자의 투표를 통해 권력을 획득하는 과정과 그 권력이 행사되는 일체의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48년 실시된 제헌국...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책임행정기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처리하는 행정 업무 외에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위임받은 154개 업무를 처리하는 책임행정기관이다. 기존의 아름동에서 처리하던 사무에 더하여 기존에 시청에서 처리하던 154개 사무를 아름동장 책임 아래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책임행정 관할구역은 아름동, 도담동, 고운동, 종촌동, 어진동 등...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누각과 정자. 제산정(霽山亭)은 일제강점기에 제산(霽山) 임영휴(林永烋)와 아들 임헌두(林憲斗)가 금강 변에 건립한 정자이다. 임영휴는 효자로 이름난 임수준(林秀俊)의 둘째 아들로, 비서승(秘書丞)까지 오른 인물이다. 물려받은 천석지기 농토를 줄이면서 이웃을 도왔으며, 후덕한 성품을 근동에서 모르는 이가...
-
세종 지역에서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물의 과다 또는 과소를 조절하는 인공적 수리시설의 한 종류. 조선시대 이전에는 제언(堤堰)이라 불렸으나 수리시설에 대한 기능이 분화되면서 최근에는 보(洑)나 방조제(防潮堤) 등과 구분하여 저수지라 명명하게 되었다. 저수지는 하천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용수원(地表用水源) 역할을 하며, 하천용수보다 시설비용이 많이 들지만 풍부한 유량을 확보...
-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조치원읍 봉산리의 조치원 봉산영당에 영정이 배향된 인물. 최용소(崔龍蘇)[?~1422]는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정치가이자 문신이다. 조치원읍 봉산리에 최용소의 후손들이 세거하고 있으며 최용소의 영정을 모신 조치원 봉산영당(鳳山影堂)이 남아 있다. 최용소는 본관(本貫)이 강화(江華)로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세거하는...
-
고을나를 시조로 하고 고여우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고을나(高乙那)를 시조(始祖)로 하고 고여우(高汝雨)를 입향조로 하는 제주고씨 문충공파(文忠公派)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에 정착한 이래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제주고씨는 탐라(耽羅) 개국 설화에 나오는 고을나를 시조로 한다. 시조의 46세손 고말로(高末老)는 고려에 입...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제천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발원하여 나성동의 금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이다. 제천(濟川)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반상화강암·흑운모화강암과 중생대 백악기 염기성암·산성암·충적층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천의 하도(河道)[물길] 양안에는 초본류(草本類)[초본 식물] 등이...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이자 양주조씨 입향조. 조계원(趙啓遠)[1592~1670]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병자호란 당시 군량을 보급하고 볼모로 심양(瀋陽)에 가 있던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좌하였던 인물이다. 후손들의 전언에 따르면 1674년(현종 15)에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하면서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송정리와 인연을 맺었고 첫째 아들인 조진석이 사망...
-
용암강다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서 정월 보름날 행하고 있는 마을 전통 민속놀이이다. 본래 강다리는 충청도의 연기군과 공주 지역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였다. 지금은 세종특별자치시의 용암리만이 맥을 이어 오는 민속행사이다.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400여 년 동안 진행하여 왔다고 한다. 강다리기는 조리지희, 시구지희, 혈하의, 견구, 발하, 줄다리기 등 지역이나 시대에...
-
용암강다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서 정월 보름날 행하고 있는 마을 전통 민속놀이이다. 본래 강다리는 충청도의 연기군과 공주 지역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였다. 지금은 세종특별자치시의 용암리만이 맥을 이어 오는 민속행사이다.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400여 년 동안 진행하여 왔다고 한다. 강다리기는 조리지희, 시구지희, 혈하의, 견구, 발하, 줄다리기 등 지역이나 시대에...
-
1392년에서 1910년까지 조선 왕조가 지속된 시기 세종 지역의 역사. 세종특별자치시는 조선시대에 연기현(燕岐縣)과 전의현(全義縣)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독립적인 행정 구역으로서 독자적인 변천 및 역사와 함께 지리적 환경, 정치와 군사, 사회경제, 각종 국가시설, 성씨와 인물 등 다양한 문화적 모습을 지니고 있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조선시대 연혁을 정리하기...
-
전의초수(全義椒水)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상대부 마을, 차령산맥의 흑성산 줄기인 월조산 아래에 자리한다. 세종은 충청도 온양과 강원도 이천(伊川)의 온천에서 풍증(風症)과 눈병 치료를 위하여 봄철마다 여러 차례 온천 요양을 하였다.[세종 15년(1433) 봄 풍증 치료차 한 달 동안 온천 요양, 세종 23년(1441) 봄 어두운 곳은 지팡이를 짚고 다...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있는 국립 박물관. 세금 역사, 우수한 조세제도와 국세행정의 발전 과정을 소개하는 국내 유일의 세금 전문 박물관이다. 세금은 국방·치안 등 나라를 지키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며 도로·항만·철도·학교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과 국민복지 지출 등의 밑거름이 되므로 나라 살림의 원천으로서 국가 유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모든 국민은 ‘납세의 의무’를 지고...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형제 효자. 조수빈(趙秀彬)[1745~1824]과 조명빈(趙命彬)[1749~1832]은 조말생의 12세손으로, 아버지는 조태연(趙泰衍)이다. 조수빈과 조명빈은 형제로 둘 다 효성이 지극하였다. 조수빈이 7세 때 어머니가 병이 들자 치료에 필요한 약을 백방으로 구해서 치료하였고, 형제가 손가락을 잘라 피를 어머니께 드렸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와 부강면 부강리를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부용나루의 명칭은 부용산(芙蓉山)과 부용강(芙蓉江)에서 유래하였다. 부용나루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芙蓉里)에서 부강면 부강리[옛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를 잇던 금강의 나루였다. 연꽃이 물에 뜬 생김새를 한 부용산 아래의 마을인 부용리와 금강 건너 부강리를 잇던...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지역 조세를 거두어 중앙으로 운반하던 조창·조운로 등과 관련된 제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서 조세로 거둔 현물을 수도인 중앙으로 운송하였다. 이때 조운(漕運)을 통하여 내륙의 수로나 바닷길을 이용하였다. 수운(水運) 또는 참운(站運)이라 하였으며, 해로를 이용하는 경우는 해운(海運)이라고 하였다. 조창에서는 세곡을 겨울철에 거두어들인 후 이른 봄철에...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 독립운동가. 조의순(趙義淳)[1874~?]은 옛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양화리·진의리·송담리를 돌며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조의순은 1919년 3월 31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보통리·양화리·진의리·송암리 등지에서 횃불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조의순은 3월 31일 임영복(林永福)[월산리]·김봉식(金鳳植)[진의리]·임덕문(林...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에서 매년 정월에 마을 내 느티나무에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미곡리 1구(제일말) 입구의 느티나무에서 매년 음력 정월에 길일을 택해 목신제를 모신다. 예전에는 미곡리 마을에 아름드리 느티나무가 있었다. 아름드리 나무에서 목신제를 지내왔는데 1970년 대에 땅 소유주가 느티나무를 베어 버렸다. 나무가 없으니 목신제는...
-
세종 지역에서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물의 과다 또는 과소를 조절하는 인공적 수리시설의 한 종류. 조선시대 이전에는 제언(堤堰)이라 불렸으나 수리시설에 대한 기능이 분화되면서 최근에는 보(洑)나 방조제(防潮堤) 등과 구분하여 저수지라 명명하게 되었다. 저수지는 하천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용수원(地表用水源) 역할을 하며, 하천용수보다 시설비용이 많이 들지만 풍부한 유량을 확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서 발원하여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조천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에서 발원하며 금강을 본류로 하고, 금강의 제1 지류인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중심 하천이다. 조천은 갈대와 억새풀이 무성하게 우거져 있어 새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라는 의미로 ‘새내’라고 불리었으며, 한자로 ‘조천(鳥川)’이라 하여 명칭이 붙게...
-
일제강점기 조치원 일대를 지나는 조천에 제방을 축조한 공사. 조치원 지역을 지나는 조천(鳥川) 제방의 축조 기원은 1427년(세종 9)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연기현감 허만석(許晩石)은 연기현 북쪽 15리 지점 청주 경계에 제방을 쌓았다. 세종 때 허만석이 제방을 쌓아 생긴 부지가 현재 조치원읍 평리와 상리 지역으로 비정된다. 조선 초기에 축조된 조천 제방은 다산 정약용...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 독립운동가. 조의순(趙義淳)[1874~?]은 옛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양화리·진의리·송담리를 돌며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조의순은 1919년 3월 31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보통리·양화리·진의리·송암리 등지에서 횃불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조의순은 3월 31일 임영복(林永福)[월산리]·김봉식(金鳳植)[진의리]·임덕문(林...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상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법정리이며, 상1리[상리 북부, 위뗏집거리]와 상2리[상리 남부, 아래뗏집거리]로 나뉜다. 상리 동쪽에 조천이 있으며, 조천교를 통해 충청북도 청주시와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이다. 상리는 일제강점기에 마을이 형성되기 전에는 하천이었던 자리였다. 하천을 둑으로 막으면서 부지가...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평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수원지 주변 마을과 서창1리 배수장 주변 마을을 통칭하는 지명으로, 일명 후평(後坪) 또는 ‘뒷말’이라고도 불리었다. 평리는 『추운실기(鄒雲實記)』에 의하면 청주목 서강외 일하면 장대리 지역으로, 일명 조치원으로도 불리던 곳이다.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장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더불어 소통하며 함께 성장하는 아름다운 공동체’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멋진 사람’, ‘이루는 사람’, ‘함께하는 사람’이다. 세종여자고등학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공립 여자 중학교. 조치원여자중학교의 교육 지표는 ‘함께 씨 뿌리고 가꾸며 열매 맺는 행복 배움터’이다. 교육 지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기본에 충실하고 예절 바른 사람, 몸과 마음이 건강한 사람, 따뜻한 사랑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 나를 사랑하고 타인을 존중하는 사람, 공동체 속에서 참여하고 소통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더불어 소통하며 함께 성장하는 아름다운 공동체’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멋진 사람’, ‘이루는 사람’, ‘함께하는 사람’이다. 세종여자고등학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여자 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더불어 소통하며 함께 성장하는 아름다운 공동체’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교양있는 사람, 더불어 사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멋진 사람’, ‘이루는 사람’, ‘함께하는 사람’이다. 세종여자고등학교...
-
1926년 충청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된 조치원~대천 간 철도 부설인가 신청. 조선 후기의 조치원은 전형적인 한국농촌의 모습으로 연기현과 청주 경계 지역이었다. 경부선 철도가 부설되고 그 유용성이 인식되면서부터 작은 장시에 지나지 않던 조치원에 역동적 변화가 시작되었다. 1926년 2월 6일 경남철도주식회사(慶南鐵道株式會社)에서 조치원(鳥致院)~대천(大川) 간 철도설치인가 신청서...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서 매년 4월 개최하는 봄꽃축제. 조치원 봄꽃축제는 복사꽃[복숭아꽃]과 벚꽃이 피는 시기인 매년 4월에 맞추어 조치원 도심 전역을 행사장으로 조성하여 진행되고 있다. 조치원 봄꽃축제는 주민 주도 참여형 종합축제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치원 봄꽃축제는...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최용소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조치원 봉산영당은 제정공(齊貞公) 최용소(崔龍蘇)[?~1422]의 영정(影幀)[제사나 장례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쓰는, 사람의 얼굴을 그린 족자]을 모시고 있는 곳이다. 최용소의 영정은 명나라 황제 성조(成祖)가 화공을 시켜 그려 보낸 것이라고 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최용소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조치원 봉산영당은 제정공(齊貞公) 최용소(崔龍蘇)[?~1422]의 영정(影幀)[제사나 장례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쓰는, 사람의 얼굴을 그린 족자]을 모시고 있는 곳이다. 최용소의 영정은 명나라 황제 성조(成祖)가 화공을 시켜 그려 보낸 것이라고 한다....
-
일제강점기 조치원 일대를 지나는 조천에 제방을 축조한 공사. 조치원 지역을 지나는 조천(鳥川) 제방의 축조 기원은 1427년(세종 9)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연기현감 허만석(許晩石)은 연기현 북쪽 15리 지점 청주 경계에 제방을 쌓았다. 세종 때 허만석이 제방을 쌓아 생긴 부지가 현재 조치원읍 평리와 상리 지역으로 비정된다. 조선 초기에 축조된 조천 제방은 다산 정약용...
-
조선 전기 연기현감 허만석이 조천에 제방을 쌓은 일.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의 읍내 일대는 조선 전기에 저지대인 곳이었다. 허만석(許晩石)이 연기현감으로 부임한 1427년(세종 9) 무렵에는 사람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었다. 또한 계속된 가뭄으로 농사가 잘되지 않은 시기이기도 하였다. 연기현감 허만석은 연기현 치소에서 북쪽으로 15리 되는 지점에 큰 제방[堤堰]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조화롭고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통하고 공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갖춘 학생[세계인],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민주적인 학생[민주인], 미래 가치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끊임 없이 쇄신하는 학생[건강인]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조화롭고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통하고 공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갖춘 학생[세계인],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민주적인 학생[민주인], 미래 가치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끊임 없이 쇄신하는 학생[건강인]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에 있는 종합버스터미널.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에 자리한 버스터미널이다.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를 운행한다. 흔히 조치원터미널이라 부르며, 도로 표지판은 버스터미널로 표기하고 있다. 주변에 조치원역과 조치원전통시장이 자리잡고 있다. 2010년 10월 2일 조치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교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자율과 협력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기초 기본에 충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배움 중심의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공감과 소통으로 교육공동체 모두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교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1906년 조치원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하였으며 이후 일본인 심상소학교로 인하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교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자율과 협력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기초 기본에 충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배움 중심의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공감과 소통으로 교육공동체 모두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교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1906년 조치원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하였으며 이후 일본인 심상소학교로 인하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교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자율과 협력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기초 기본에 충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배움 중심의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공감과 소통으로 교육공동체 모두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교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1906년 조치원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하였으며 이후 일본인 심상소학교로 인하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1925년 5월 성결교회 연회에서 조치원에 성결교회를 세우기로 하고 충청북도 부강교회 전도사 주정국과 전도부인 한도숙을 파견하였고, 예배사역과 전도사역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28년 3월 지방 전도대에서 활동하던 김동훈 전도사가 2대 교육자로 부임하여 열심히 전도하였으나 지역 폭력배의 집단 폭행으로...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평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교파 교회. 조치원교회는 1906년 미국 북장로회 소속 민노아 선교사가 조치원 평동에 있는 여현기의 집에서 예배를 보며 설립되었다. 충청남도 지역을 담당하는 미국 북장로회 민노아 선교사가 조치원 지역 성도들의 성장과 복음 전파를 위해 설립하였다. 조치원교회는 설립부터 1916년까지...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조화롭고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통하고 공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갖춘 학생[세계인],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민주적인 학생[민주인], 미래 가치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끊임 없이 쇄신하는 학생[건강인]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대동초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평생 행복의 기초를 세우는 좋은학교’이다. ‘평생행복’이란 누구나 바라는 목표로 교육의 궁극적 목표이며, ‘기초’는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로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좋은학교’는 이상적인 학교, 머무르고 싶은 학교라는 비전을 담고 있다. 1915...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대동초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평생 행복의 기초를 세우는 좋은학교’이다. ‘평생행복’이란 누구나 바라는 목표로 교육의 궁극적 목표이며, ‘기초’는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로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좋은학교’는 이상적인 학교, 머무르고 싶은 학교라는 비전을 담고 있다. 1915...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대동초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평생 행복의 기초를 세우는 좋은학교’이다. ‘평생행복’이란 누구나 바라는 목표로 교육의 궁극적 목표이며, ‘기초’는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로 기초능력 배양과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좋은학교’는 이상적인 학교, 머무르고 싶은 학교라는 비전을 담고 있다. 1915...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명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명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바르게 행동하고 더불어 사는 어린이, 감성이 풍부하고 꿈을 지닌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육 지표는 ‘사랑과 배려속에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40년 4월 10일 소화국민학교로 인가하였으며 1947년 7월 3일 조치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명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명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바르게 행동하고 더불어 사는 어린이, 감성이 풍부하고 꿈을 지닌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육 지표는 ‘사랑과 배려속에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40년 4월 10일 소화국민학교로 인가하였으며 1947년 7월 3일 조치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명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명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바르게 행동하고 더불어 사는 어린이, 감성이 풍부하고 꿈을 지닌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육 지표는 ‘사랑과 배려속에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어린이’이다. 1940년 4월 10일 소화국민학교로 인가하였으며 1947년 7월 3일 조치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의 특산품인 복숭아를 주제로 2003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복숭아 축제.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의 농·특산품인 복숭아를 소재로 한 지역 축제로, 세종조치원복숭아축제추진위원회에서 주관하여 2003년부터 매년 8월에 개최하고 있다. 매년 각기 다른 주제로 열리며, 2019년에 개최된 제17회 세종조치원 복숭아 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문화관광 육...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서 매년 4월 개최하는 봄꽃축제. 조치원 봄꽃축제는 복사꽃[복숭아꽃]과 벚꽃이 피는 시기인 매년 4월에 맞추어 조치원 도심 전역을 행사장으로 조성하여 진행되고 있다. 조치원 봄꽃축제는 주민 주도 참여형 종합축제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치원 봄꽃축제는...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눌왕리와 연서면 부동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농촌지역의 산업구조 조정으로 지역경제 균형발전과 주민소득 증대를 위하여 조성된 산업 단지이다. 1988년 12월 31일 공업단지 유치지역 지정[상공부고시 제88-58호]에 따라 1989년 3월 29일 국토이용계획변경 결정[건설부고시 제129호]되었다. 1990년 2월 8일 공업단지 예정지로...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눌왕리와 연서면 부동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농촌지역의 산업구조 조정으로 지역경제 균형발전과 주민소득 증대를 위하여 조성된 산업 단지이다. 1988년 12월 31일 공업단지 유치지역 지정[상공부고시 제88-58호]에 따라 1989년 3월 29일 국토이용계획변경 결정[건설부고시 제129호]되었다. 1990년 2월 8일 공업단지 예정지로...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조화롭고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통하고 공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갖춘 학생[세계인],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민주적인 학생[민주인], 미래 가치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끊임 없이 쇄신하는 학생[건강인]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1925년 5월 성결교회 연회에서 조치원에 성결교회를 세우기로 하고 충청북도 부강교회 전도사 주정국과 전도부인 한도숙을 파견하였고, 예배사역과 전도사역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28년 3월 지방 전도대에서 활동하던 김동훈 전도사가 2대 교육자로 부임하여 열심히 전도하였으나 지역 폭력배의 집단 폭행으로...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남리에 있는 천주교 대전교구 공주지구 소속 성당. 세종 지역 최초의 천주교 본당으로, 천주교 활동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1955년 설립 이래 선교와 사랑 실천으로 꾸준히 교세를 확장하여 왔으며, 다양한 사회 활동과 참여로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조치원성당은 1955년 2월 조치원읍 정리에 설립되었다. 초대 주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조화롭고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통하고 공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갖춘 학생[세계인],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민주적인 학생[민주인], 미래 가치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끊임 없이 쇄신하는 학생[건강인]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조화롭고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통하고 공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갖춘 학생[세계인],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민주적인 학생[민주인], 미래 가치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끊임 없이 쇄신하는 학생[건강인]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 산하 소방서. 화재, 구조, 구급 등 각종 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소방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로서 세종특별자치시의 북부 권역을 관할하며 2015년 6월 29일 신설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소방서는 소방행정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신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바른생활습관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학생, 고운 품성과 풍요로운 감성을 지닌 학생, 함께 어울리고 참여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으로는 ‘사랑으로 꿈을 가꾸는 즐거운 학교’를 제시하고 있다. 1972년 4월 28일 조...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신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바른생활습관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학생, 고운 품성과 풍요로운 감성을 지닌 학생, 함께 어울리고 참여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으로는 ‘사랑으로 꿈을 가꾸는 즐거운 학교’를 제시하고 있다. 1972년 4월 28일 조...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신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바른생활습관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학생, 고운 품성과 풍요로운 감성을 지닌 학생, 함께 어울리고 참여와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으로는 ‘사랑으로 꿈을 가꾸는 즐거운 학교’를 제시하고 있다. 1972년 4월 28일 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