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사촌성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00980
한자 四寸兄-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엄경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
형성시기 현대
토리 메나리토리
기능구분 농업노동요
형식구분 일인창
박자구조 어산영곡풍
가창자/시연자 김말수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서 밭을 매면서 부르는 노동요.

[채록/수집상황]

1991년 이소라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서 김말수(여, 당시 74세)의 창을 채록하였다. 김말수 창자는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서 출생하여 17세에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 지역으로 시집왔다.

[구성 및 형식]

밭을 가는 소리의 여러 유형 가운데 하나이며, 아낙네 한 사람이 창을 하며 곡을 계속해 이어나가는 형식이다.

[내용]

시집살이의 고통을 노래하고, 사촌 언니의 시집살이에 대해 묻고 답하고 있다.

시집 시집 좋다케도 이런 줄을 몰라으이/ 나 어리 시집오니 이이/ 콩꼬타리 시아바시 엉구깨 겉은 시아바시/ 쪼가리 겉은 시어마시 밑에 우에 그래 고생이고/ 인절미는 귀잽이고이 시리떡은 가째비고/ 대구나니 뽈때기고 말리놓이 세 꽁대기/ 우에 이래 배도 고프고/ 이래가 우에 살겠노 오이/ 우리 엄마 꽁꽁 짰는 모시처매 모시적삼/ 눈물 닦어 다 썩었네/ 나는 언제 늙어가 시어마이 되꼬/ 새이 새이 사촌성아/ 니도 가이 그렇더나 어이/ 도리도리 도리밭에 수제놓기도 어렵더라/ 둥글둥글 수박식기 밥 담기도 어렵더라

[현황]

밭매기는 과거 아낙네들의 전유물이었다. 따라서 노랫말에는 아낙네들의 삶에 대한 내용이 많다. 특히 여인들의 삶 가운데서 밭매기만큼이나 고통스러운 일 가운데 하나인 시집살이를 내용으로 하여 밭매기의 고통을 감소시키고 있다. 사촌 언니에게 시집살이를 묻거나 자신의 시집살이를 술회하는 내용으로 엮어진 밭매기 노래는 전국적으로 분포를 한다. 경상남도 양산 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