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제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위령제 또는 기우제 형식으로 이어져왔다. 지금 현재 용당에서 이루어지는 용신제는 마을사람들의 단결을 도모하는 놀이문화로 승화·발전되었다. 즉 지금의 용신제는 제의의 형식을 극복하면서 민속놀이로 전환된 형태로서 더 큰 의미가 있다. 용당리 마을에서 만난 용신제 상쇠를 맡고 있는 박홍기(44세)의 설명에 놀이로서의 용신제가 잘 담겨져 있다. “...
용당리 마을사람들은 마을의 전통으로 용신제를 지켜왔다. 용신제는 비를 부를 뿐만 아니라 마을사람들의 마음도 한데 모은다. 예전에는 당곡마을 주민을 중심으로 사당을 관리하다가 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용신제보존회에서 주관하여 양산의 전통문화로서의 위상을 이루게 된다. 마을 사람들은 용신 앞에서 1,500여 년 전의 모습으로 돌아가서 모두가 주인공이 된다. 매년 2월 그믐날부터...
마을 주민들이 용신에게 초대장을 보내는 데에는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1년 동안 가야진 용신제전수관에 고이 보관되어 있던 것들을 펼쳐 놓는데, 바로 제기와 깃대, 주민들의 흥을 돋우기 위한 사물, 그리고 역할극을 위한 소품들이다. 본래 가야진 용신제에 쓰인 제기는 신라시대 유물로 그 모양이 배의 형상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아마 이곳이 나루터이고 용신을 모시는 곳이므로 제기도 그러...
용신제는 많은 사람들을 불러 모은다. 용신제를 보기 위해 삼삼오오 손을 잡고 용당들에 들어서는 순간 사람들은 들에 펼쳐진 광경에 넋을 잃는다. 용신을 보기 위하여 들어가는 입구에는 수많은 등불의 향연이 펼쳐지고, 그 안으로 사람들은 용신의 부름을 받은 듯이 또 멀리서 들려오는 농악소리에 맞추어 춤을 덩실덩실 추는 양으로 신명나게 들어간다. 가야진사가 가까워질수록 용신의 기를 느낀다...
용신제에 대해서 마을 주민에게 물어보면 이야기가 막힘없이 흘러나온다. 그것은 용신제를 아끼는 마을사람들의 마음이 고스란히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용신제는 조선시대 사독의 하나로 지금까지 계승되는 것은 가야진 용신제뿐이다. 이 때문에 1997년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었으며 제사의 형태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용신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마을사람...
유서 깊은 전통제례의식으로 조선시대 사독 중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현재까지 맥을 잇고 있는 가야진 용신제를 보존하기 위하여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 지역주민들은 그동안 각별한 애착을 가지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일찍이 신라시대부터 구한말까지 면면히 이어오던 가야진 용신제가 일제의 억압으로 가야진사가 헐리고 용신제가 금지되었을 때 고 이장백(1914~1998)옹과 용당리 당곡마을 주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