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옛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현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출신의 가네코 후미코[金子文子]는 무정부주의 활동을 하였다. 가네코 후미코[1903~1926]는 1912년부터 1918년까지 부강공립심상소학교[현 부강초등학교]에 다녔다. 이후 1922년 5월에서 1923년 3월까지 일본의 동경(東京)에서 박열(朴烈)과 함께 흑도회(黑濤會)의...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득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서며 더불어 사는 교육’이다. 교훈은 즐거운 배움, 실천하는 나, 함께 성장하는 우리이다. 2017년 2월 2일 8학급으로 편성·인가되어 2017년 3월 2일 개교하였다. 2018년 3월 1일 26학급으로, 2019년 3월 1일 29학급으로 편성되었다. 가득초등학교는 인성 다지고...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득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서며 더불어 사는 교육’이다. 교훈은 즐거운 배움, 실천하는 나, 함께 성장하는 우리이다. 2017년 2월 2일 8학급으로 편성·인가되어 2017년 3월 2일 개교하였다. 2018년 3월 1일 26학급으로, 2019년 3월 1일 29학급으로 편성되었다. 가득초등학교는 인성 다지고...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득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서며 더불어 사는 교육’이다. 교훈은 즐거운 배움, 실천하는 나, 함께 성장하는 우리이다. 2017년 2월 2일 8학급으로 편성·인가되어 2017년 3월 2일 개교하였다. 2018년 3월 1일 26학급으로, 2019년 3월 1일 29학급으로 편성되었다. 가득초등학교는 인성 다지고...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락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미래를 주도할 창의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 이다. 가락초등학교는 2015년 9월 1일 9학급 130명으로 개교하였다. 2015년 11월 4일 11학급으로 편성되었다. 2016년 3월 1일 16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고,...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 가루개마을 주민들이 정월 열나흘에 용신에게 마을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리 가루개마을 주민들은 정월 열나흘 저녁에 샘제와 거북바위제를 지낸다. 제의 시원은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나 입증할 만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1리 가루개마을은 보성오씨의 집성촌이다. 보성오...
-
세종 지역에 서식하는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조류. 노랑부리저어새는 현재 ICUN[국제자연보존연맹] 적색목록(Redlist)의 관심 필요종(Least Concern)으로 등재되어 있다. 문화재청에서 1968년 천연기념물 제205-2호로 지정하였고,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종 Ⅱ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3개 아종[Platalea Leucorodi Leuco...
-
고려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가림현(嘉林縣)은 고려시대 지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부강면(芙江面)은 본래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芙蓉面)이었지만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이 되었다. 현재 서남쪽으로는 금남면과 대전광역시에 접하고, 동쪽으로는...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부동리(釜洞里)는 가마골 또는 부동으로도 불리었다. 명칭 유래는 가마골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옛날에 그릇 가마를 묻은 장소가 있었고, 고려시대 연기대첩 때는 밥을 짓기 위하여 큰 가마를 설치한 곳이다. 부동리에는 가마골, 치암, 방죽안, 산수골, 오룡골, 홍촉골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하천 북쪽에 위치한 가마골마을은...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쐐기풀목 느릅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 학명은 Celtis Sinensis Persoon이다. 껍질은 흑색 또는 흑회색이다. 약간 거칠고 잘 벗겨지지 않는다. 어린 잔가지에는 잔털이 빽빽이 자란다. 높이 20m 정도로 곧게 서서 자라며, 가지가 넓게 퍼지는 속성이 있다. 잎은 달걀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한국가스공사 대전·충청지역본부 산하 관리소. 한국가스공사 조치원관리소는 대전·충청지역본부 소속 사업장이며, 천연가스 공급사업 추진에 따라 1994년 조치원읍에 설치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조치원관리소는 세종특별자치시 및 인근 지방자치단체에 도시가스용 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7월 출범 이후 해를 거듭할수록 젊어지고 있다. 2012년 41.2세이던 평균연령은 2013년 40.1세, 2014년 38.5세, 2015년 37세, 2016년 36.8세, 2017년 36.7세로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평균연령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원인에 대하여 세종시 관계자는 “신도심지역 아파트와 주상복합 등의 입주 수요가 꾸준한 데다 최근...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고운동은 ‘곱다’의 우리말로 대규모 주택 단지가 조화롭게 배치되어 아름답고 고운 주거 이미지를 강조한 명칭이다. 고운동은 가락마을로도 불리는데, 고운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명칭 가운데 가락골을 활용한 것이다. 고정리에 자리한 가락골은 갈림길에 있는 마을, 가락처럼 좁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의미한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과...
-
세종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가톨릭교. 세종 지역에 천주교가 전래된 것은 1866년 병인대교난을 피하여 강만이라는 사람이 아미산이 있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사곡리에 숨어 들어와 살 때부터로 볼 수 있다. 강내면 사곡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와 이웃 마을로 아미산의 북쪽과 남쪽으로 인접하여 있었다. 강만은 대원군 실각 후 전교를...
-
조선 후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하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덕성서원에 배향된 학자. 전우(田愚)[1841~1922]의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고옹(蠱翁)·양하왕인(陽下尫人)이다.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이다. 21세에 당시의 거유(巨儒|鉅儒)[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서울에서 직접 아...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부강면의 서북쪽에 있으며 갈산1리와 갈산2리로 나뉜다. 갈산리에는 다음과 같은 마을이 있다. 상갈은 갈산1리의 가장 위쪽에 있는 마을로 웃골이라고도 한다. 하갈은 갈산1리의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다. 댓골은 갈산1리 지역으로 원텃말 아래[서쪽]에 있다. 칠미는 갈산1리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다. 원래 현재 마을에서 남쪽에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의 갈산리 불무골 주민들이 음력 1월 14일에 샘의 용신에게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갈산리 불무골 사람들은 식수원이 마르지 않게 하여 달라는 소망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샘제를 지내 왔다. 제의 일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오후 6시경이다. 이장은 샘제를 지내기 위하여 제관 1인을 선정한다. 부녀회장은 주민들과 함께 제수를 준...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개신교의 한 교파. 한국의 감리교는 1884년 매클레이[Robert S. Maclay]가 교육과 의료 사업을 할 수 있도록 고종의 허락을 받고 1885년 미국 감리교회의 아펜젤러[H. G. Appenzeller] 부부가 미국 장로교회의 언더우드(H. G. Underwood)와 함께 인천에 상륙하면서 시작되었다. 감리교...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감성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이다. 과거 양야리면의 중심지로 금남면 전통시장이 시작된 지역이다. 감성리(柑城里)는 조선 후기 감나무가 마치 성을 쌓은 것처럼 둘러싸고 있다고 해서 이름 지어졌다고 전한다. 조선 후기 공주군 양야리면(陽也里面)의 감성리와 장대리가 합쳐져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감성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감성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력 있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개척하는 자주적인 학생,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행복한 학생, 나눔과 배려의 정신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학생’이다. 1945년 4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감성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감성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력 있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개척하는 자주적인 학생,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행복한 학생, 나눔과 배려의 정신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학생’이다. 1945년 4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감성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감성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실력 있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개척하는 자주적인 학생,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행복한 학생, 나눔과 배려의 정신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학생’이다. 1945년 4월...
-
1894년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세종 지역에서 추진된 개혁 운동. 갑오경장은 1894년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약 19개월 동안 3차에 걸쳐 정치·경제·사회 등 여러 방면에서 진행된 근대화 개혁이다. 특히 근대적 행정 체제를 도입하여 오늘날 세종 지역의 근간이 되는 행정 조직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 후기에 개화파는 동학농민군이 내세운 폐정개혁안과 청...
-
1894년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세종 지역에서 추진된 개혁 운동. 갑오경장은 1894년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약 19개월 동안 3차에 걸쳐 정치·경제·사회 등 여러 방면에서 진행된 근대화 개혁이다. 특히 근대적 행정 체제를 도입하여 오늘날 세종 지역의 근간이 되는 행정 조직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 후기에 개화파는 동학농민군이 내세운 폐정개혁안과 청...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에서 지표수가 모여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지표면에 내린 비[雨] 또는 눈[雪]은 분수계(分水界)[인접하여 있는 하천 유역을 나누는 경계]를 따라 집수되고, 집수된 물은 지표면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를 하천(河川)이라 하며, 강·천·수 등으로도 불린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금강 수계에 포함된다. 하천법이 적용되는 하천이...
-
김주원을 시조로 하고 김승로와 김오를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강릉김씨 송오공파(松塢公派)는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김승로가 고려가 멸망한 직후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으로 입향하였다. 기은공파는 임진왜란 때 김오가 전란을 피해 외향(外鄕)인 연기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으로 이주하였다...
-
고려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무신. 강순룡(康舜龍)은 고려시대 무신이자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의 오빠이다. 호는 화곡(化谷)이다. 강순룡의 본관(本貫)은 신천(信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정승을 지낸 강숙재(康淑才), 할아버지는 상호군을 지낸 증상산부원군(贈象山府院君) 강서(康庶)이다. 아버지는 찬성사를 지낸 곡산군(谷山君) 강윤성(康允成)이다. 옛 충청남도...
-
고려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무신. 강순룡(康舜龍)은 고려시대 무신이자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의 오빠이다. 호는 화곡(化谷)이다. 강순룡의 본관(本貫)은 신천(信川)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정승을 지낸 강숙재(康淑才), 할아버지는 상호군을 지낸 증상산부원군(贈象山府院君) 강서(康庶)이다. 아버지는 찬성사를 지낸 곡산군(谷山君) 강윤성(康允成)이다. 옛 충청남도...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를 잇는 일반 국도.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서남부 내륙 지역[장흥·영암·나주]을 거쳐 서해안고속도로와 나란히 호남 서해안 지역[함평·영광·고창·부안·김제]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간 다음 충청남도 내륙지역[논산·공주·연기]을 거쳐 천안시까지 남북 방향으로 잇는 간선도로이다....
-
이진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강진이씨는 고려 후기 역적으로 몰린 이진(李珍)이 연기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눌왕리]에 입향하면서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연기면의 수산리와 갈운리, 고정리[현 도담동, 아름동] 일대에 후손들이 거주하였다. 이진[1300년대 인물]은 고려 충렬왕조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308년(충선왕...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를 잇는 일반 국도.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서남부 내륙 지역[장흥·영암·나주]을 거쳐 서해안고속도로와 나란히 호남 서해안 지역[함평·영광·고창·부안·김제]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간 다음 충청남도 내륙지역[논산·공주·연기]을 거쳐 천안시까지 남북 방향으로 잇는 간선도로이다....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강협(康協)[1674~1750]은 본관이 신천이며 자는 자경(子慶), 호는 농은(農隱)이다. 중시조는 신성부원군(信城府院君) 강지연(康之淵)으로, 강지연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강후돈(康厚敦)으로, 강협은 강후돈의 넷째 아들이다. 강협은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뜻을 잘 따르고 어질고 착하였다. 주위 사람들은 어...
-
최익후를 시조로 하고 최완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강화최씨는 제정공파의 최완이 16세기 중엽에 처향인 연기현으로 입향하면서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주로 조치원읍 봉산리에 세거하였으며 입향조의 묘소와 후손들의 효열 정려 등 관련 유적이 남아 있다. 강화최씨의 시조는 고려시대의 문신 최익후(崔益厚)이다. 최익후는 문과 출...
-
세종특별자치시의 전동면 청람리와 미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개미고개는 북한군 진격을 나흘 동안 지연시키는 성과를 거둔 6·25전쟁 중 최고의 격전지 중 하나였다. 개미고개라는 지명은 산이 개미허리처럼 생긴 형태에서 지명이 유래했다고 전한다. 『전의현읍지』에는 의항현(蟻項峴)으로 표기되어 있는 가운데 ‘전의현의 동쪽 10리에 있으며 청주대로로 통한다.’...
-
1950년 6·25전쟁 당시 개미고개를 중심으로 북한군 2개 사단과 미군이 벌인 전투. 개미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 사이에 있는 고개로, 6·25전쟁 당시 개미고개를 중심으로 전의면·전동면·조치원읍 일대에서 미군이 북한군을 맞아 치열한 전투를 벌인 곳이다. 현재 자유평화의 빛 위령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매년 7월 11일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1950년 6·...
-
세종특별자치시의 전동면 청람리와 미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개미고개는 북한군 진격을 나흘 동안 지연시키는 성과를 거둔 6·25전쟁 중 최고의 격전지 중 하나였다. 개미고개라는 지명은 산이 개미허리처럼 생긴 형태에서 지명이 유래했다고 전한다. 『전의현읍지』에는 의항현(蟻項峴)으로 표기되어 있는 가운데 ‘전의현의 동쪽 10리에 있으며 청주대로로 통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성산성(城山城)은 일명 ‘개소문성’, ‘구들기성’이라고도 한다. 산성은 속칭 성재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쪽과 서쪽을 향해 돌출시켜 축조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그러나 석축성벽으로 이루어진 내성 이외에도 바깥쪽에 토루(土壘)[방어 겸 생활을 하기 위하여 둘레를 흙으로 쌓아올려 지은 울타리]로 이루어진 외성...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성산성(城山城)은 일명 ‘개소문성’, ‘구들기성’이라고도 한다. 산성은 속칭 성재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쪽과 서쪽을 향해 돌출시켜 축조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그러나 석축성벽으로 이루어진 내성 이외에도 바깥쪽에 토루(土壘)[방어 겸 생활을 하기 위하여 둘레를 흙으로 쌓아올려 지은 울타리]로 이루어진 외성...
-
세종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독교의 한 교파. 개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라 인류를 향한 보편적 사랑의 실천을 강조하고 인간의 행위가 아닌 믿음을 통한 구원을 강조하는 종교이다. 기독교 3대 교파[천주교, 동방정교회, 개신교] 중의 하나로, 16세기 종교개혁을 거치며 천주교[가톨릭]에서 분리되었다. 한국에는 1880년대에 본격적으로 개신교가 전파되었으며 불교,...
-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에서 매년 정월보름날 마을 앞 큰길 삼거리에서 마을 사람들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예부터 길은 많은 사람이 오고가면서 희로애락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길을 떠나는 사람과 길로 들어오는 사람 모두 이용하는 곳이기에 좋은 일이 있을 수 있지만 나쁜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래서 길신에게 대접하여 좋은 일만 있도록 부탁하는 것이 노제(路祭)이...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국곡리 장승제는 마을의 평안과 액막이를 위하여 매년 정초에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서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국곡리 마을에서는 선돌 앞에서 지내는 제사를 ‘장승제’라는 말보다 ‘거리제’를 지낸다고 한다. 국곡리 장승제는 연원에 대하여 알...
-
세종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온 거목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거목설화’는 숭배와 신앙의 대상이 되는 나무와 관련한 거목전설이다. 마을의 입구나 유서 깊은 곳에는 둥구나무[크고 오래된 정자나무]가 있고, 거목신앙(巨木信仰)에 따라 목신(木神)으로 섬기기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마을은 입구마다 마을의 상징이 되는 둥구나무가 자리 잡고 있었다. 마을 주민들...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학자. 진시책(陳時策)[1831~1906]은 경서(經書)와 사기(史記)에 능통하고 역학(易學)에 특히 통달한 인물로, 개항기 고종에 의하여 ‘거사(居士)’라 호칭된 학자이다. 진시책은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반곡리에서 출생하였다. 본관(本貫)은 여양(驪陽), 호는 위정(葳汀)이다. 진시책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재주가 뛰어났...
-
신수를 시조로 하고 신재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거창신씨는 양간공파의 신재가 1600년대 초에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후손들은 전의면의 관정리·동교리, 전동면 석곡리 등에 살고 있다. 거창신씨(居昌愼氏)의 시조 신수(愼修)[?~1101]는 송나라 사람으로 고려 문종...
-
고려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 이혼(李混)[1252~1312]의 자는 거화(去華)·일우(一宇)·태초(太初), 호는 몽암(蒙菴)이다. 본관은 전의(全義)인데 뒤에 예안백(禮安伯)에 봉해짐으로써 분파하여 예안이씨 시조가 되었다. 할아버지는 보승별장(保勝別將)을 지낸 이순(李順)이고, 아버지는 응양군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지낸 이천(李仟)이다. 어머니는 문하시랑평장사(門...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금호리는 부강면 남쪽에 있으며 금호1리와 금호2리로 나눈다. 금호리에는 다음과 같은 마을이 있다. 검시는 금호1리 지역으로, 금강에 접한 마을이다. 검소[검시, 검담, 검호, 검호리]는 ‘검호리’의 옛 이름이다. 마을 앞 금강에 ‘검소’라는 소가 있어 유래한 지명이다. 검소는 ‘물빛이 검은 소’ 또는 ‘큰 소’로 해석된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금호리는 부강면 남쪽에 있으며 금호1리와 금호2리로 나눈다. 금호리에는 다음과 같은 마을이 있다. 검시는 금호1리 지역으로, 금강에 접한 마을이다. 검소[검시, 검담, 검호, 검호리]는 ‘검호리’의 옛 이름이다. 마을 앞 금강에 ‘검소’라는 소가 있어 유래한 지명이다. 검소는 ‘물빛이 검은 소’ 또는 ‘큰 소’로 해석된다....
-
용암강다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서 정월 보름날 행하고 있는 마을 전통 민속놀이이다. 본래 강다리는 충청도의 연기군과 공주 지역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였다. 지금은 세종특별자치시의 용암리만이 맥을 이어 오는 민속행사이다.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400여 년 동안 진행하여 왔다고 한다. 강다리기는 조리지희, 시구지희, 혈하의, 견구, 발하, 줄다리기 등 지역이나 시대에...
-
용암강다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서 정월 보름날 행하고 있는 마을 전통 민속놀이이다. 본래 강다리는 충청도의 연기군과 공주 지역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였다. 지금은 세종특별자치시의 용암리만이 맥을 이어 오는 민속행사이다.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400여 년 동안 진행하여 왔다고 한다. 강다리기는 조리지희, 시구지희, 혈하의, 견구, 발하, 줄다리기 등 지역이나 시대에...
-
장정필을 시조로 하고 장하를 중시조로 하며 장효충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결성장씨는 장효충이 16세기 초에 사화를 피해 처향인 전의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노곡리]으로 입향하였다. 후손들은 전의면, 연동면, 연서면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결성장씨의 시조 태사공 장정필(張貞弼)은 태조 왕건을 도왔던 인물로 알려져...
-
조선 후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하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덕성서원에 배향된 학자. 전우(田愚)[1841~1922]의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고옹(蠱翁)·양하왕인(陽下尫人)이다.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이다. 21세에 당시의 거유(巨儒|鉅儒)[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서울에서 직접 아...
-
조선 후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하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덕성서원에 배향된 학자. 전우(田愚)[1841~1922]의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고옹(蠱翁)·양하왕인(陽下尫人)이다.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이다. 21세에 당시의 거유(巨儒|鉅儒)[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서울에서 직접 아...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광희(李光熙)[1895~1943]는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신정리 출신으로 신정리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광희는 1919년 3월 13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신정리에서 이수욱(李秀郁) 등과 함께 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신정리의 만세 시위는 이수욱의 주도하에 전개되었는데, 이광희는 김병옥(金炳玉)의 집에서 정...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에서 부강면 노호리를 거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경부선 철도의 세종특별자치시 경유 구간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대전광역시 등으로 중부지방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고, 조치원에서는 충북선과 연결되어 충청북도 내륙지방과 영동지방을 연결해주는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의 과거 명칭인 경성과 부산광역시를 연결하...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에서 부강면 노호리를 거쳐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경부선 철도의 세종특별자치시 경유 구간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대전광역시 등으로 중부지방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고, 조치원에서는 충북선과 연결되어 충청북도 내륙지방과 영동지방을 연결해주는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의 과거 명칭인 경성과 부산광역시를 연결하...
-
1901년부터 1904년까지 세종 지역을 포함하여 건설된 서울~부산 간 철도 부설 공사. 경부선 철도(京釜線鐵道) 부설 공사는 1901년에 착수하여 1904년 완공되었다. 경부선이 전의군, 연기군을 통과하기 때문에 경부철도부설공사에 전의 지역과 연기 지역의 많은 노동력이 수탈되었다. 조선 최초로 설치된 철도는 1899년 9월 18일 개통된 노량진과 제물포 간...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설 교육기관. 1885년(고종 22)에 관북지방 유림들이 함경도 홍원군에서 문경공(文敬公) 임헌회(任憲晦)[1811~1876]를 배향하기 위하여 숭덕사(崇德祠)를 창건하였다. 1978년에 전국 유림 1,000여 명의 발기로 임헌회의 유허지(遺墟地)[역사 기록만 전해지고 유물이나 문화재는 전혀 없는 터]가 있는 현재의 위치에...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용역]의 생산·분배·소비와 관련되는 활동 전반과 영역. 세종특별자치시는 충청권 중심부에 위치한다. 동쪽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쪽는 충청남도 공주시, 남쪽은 대전광역시, 북쪽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각각 접하고 있다. 금강이 흐르고 있어 예부터 사람이 살기에 일맞은 환경이었다. 오송역, 청주공항, 경부고속도로 등이...
-
김알지를 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주김씨는 태사공파, 판도판서공파, 장군공파, 학은공파 등 여러 계파가 입향하였다. 경주김씨 계파들은 금남면 대박리와 연동면 노송리·내판리·응암리, 전동면 심중리·청람리·송곡리, 전의면 다방리, 부강면 부강리 등지에 세거하여 왔다.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로 전하는 경...
-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며 이응방, 이장준, 이광복, 이영필, 이집상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주이씨는 국당공파와 석탄공파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입향하였다. 주로 연서면 봉암리, 장군면 평기리, 부강면 문곡리, 소정면 고등리, 조치원읍 등지에 세거하였다. 경주이씨 시조는 신라의 건국 신화에...
-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거명을 중시조로 하며 이응방, 이장준, 이광복, 이영필, 이집상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주이씨는 국당공파와 석탄공파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입향하였다. 주로 연서면 봉암리, 장군면 평기리, 부강면 문곡리, 소정면 고등리, 조치원읍 등지에 세거하였다. 경주이씨 시조는 신라의 건국 신화에...
-
조선시대 세종 지역 출신 효자. 최회(崔澮)[1563~1621]의 자는 경택이다. 할아버지는 강화최씨 연기 입향조 최완(崔浣)[1510~1570]이다. 아버지는 최중룡(崔重龍)[1543~1575], 어머니 강릉김씨는 참봉 김봉조의 딸이다. 최회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평소에 말이 적고 남의 잘못을 감싸 주는 자상한 성품 소유자였다. 최회의 나이 13...
-
세종 지역에서 예부터 사람들 사이에 전하여 내려오는 질병 치료법. 민간에는 다양한 경험적 질병 치료법이 전승되고 있다. 대부분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이 질병에 당면하여 자가치료 방식으로 민간요법을 활용한다. 약초나 약물성 식재료로 자가 처방하는 사례가 지배적이고 주술적인 방법이지만 무당을 초청하여 치료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지압·안마·사혈과 같은 물리적 요법도 전한다...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이자 학자. 이재구(李載九)[1837~1887]의 자는 계범(季範), 호는 불궤재(不匱齋)이다. 조치원읍 봉산리에서 출생하였다. 전재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아래에서 수학하며 학문과 의행 실천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학문이 일취월장하였으나 과거는 포기하고 경전 연구에만 몰두하여 강론과 후진 양성에 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 서광암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아미타불비상.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있는 서광암(瑞光庵)에서 발견된 불상으로,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과 글이 새겨져 있다. 사각형의 돌 전체에 불상이 새겨져 있다. 앞면의 삼존불(三尊佛) 중심으로 좌우에는 글이, 나머지 면에는 작은 불상이 가득 새겨져 있다. 일제강점기에 서광암...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아미타불비상.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1960년에 세종 지역인 전의면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되었다. 명문에 의하면 계유년(673)에 전씨 일가의 발원에 의하여 조성되었다.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긴 사각...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아미타불비상.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1960년에 세종 지역인 전의면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되었다. 명문에 의하면 계유년(673)에 전씨 일가의 발원에 의하여 조성되었다.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은 긴 사각...
-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에 있는 낮은 통로. 고개는 대체로 산등성이를 넘는 곳을 말하며, 재[岾]·영(嶺)·마루·현(峴)·치(峙)·안부(鞍部)·티·항(項)이라고도 한다.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못한 옛날에 산으로 막힌 이웃 지역을 오가는 데 고개를 넘는 것이 가장 빠르고 편리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차령산맥의 주맥과 지맥이 통과하는 지...
-
기원 전후부터 7세기 중·후반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이전까지 세종 지역의 역사. 한국의 고대는 기원을 전후하여 고구려와 삼한의 여러 소국 정치체들이 정립한 시기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이 형성·발전한 시기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문자기록 이전의 시기는 선사시대(先史時代), 문자기록 이후는 역사시대(歷史時代)로 구분한다. 고대는 선사시대 이후 다양한 소국 정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4년제 사립 종합 대학교. 교훈은 교육구국의 건학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자유·정의·진리의 3대 이념으로 인류 공통의 이상인 인간적 ‘자유’의 실현, 사회 속의 ‘정의’의 실현, 학문연구에서의 ‘진리’ 탐구에 대한 넘치는 정열을 집약하였다. 1980년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 분교를 설립하고 1987년 고려대학교 조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4년제 사립 종합 대학교. 교훈은 교육구국의 건학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자유·정의·진리의 3대 이념으로 인류 공통의 이상인 인간적 ‘자유’의 실현, 사회 속의 ‘정의’의 실현, 학문연구에서의 ‘진리’ 탐구에 대한 넘치는 정열을 집약하였다. 1980년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 분교를 설립하고 1987년 고려대학교 조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4년제 사립 종합 대학교. 교훈은 교육구국의 건학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자유·정의·진리의 3대 이념으로 인류 공통의 이상인 인간적 ‘자유’의 실현, 사회 속의 ‘정의’의 실현, 학문연구에서의 ‘진리’ 탐구에 대한 넘치는 정열을 집약하였다. 1980년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 분교를 설립하고 1987년 고려대학교 조치...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등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의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경부고속철도가 고등터널로 통과한다. 고등고개는 소정면 고등리에서 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라는 의미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등산(高登山)[229.9m]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일부 향토지에는 고등이고개·고등...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에 속한 법정리. 고등리(高登里)는 조선 후기에 백제산성 아래 높고 곧은 큰 골짜기에 생긴 ‘곧은 골’을 고등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자연마을의 이름에 다음과 같은 명칭들이 있다. 세거리는 마을 앞에 동·서·북 세 곳으로 가는 갈림길이 있다고 하여 ‘세거리[시거리|삼기]’라고 부른다. 문필봉은 예전부터 문인이 나올 곳이라 하여 지어졌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고등리 안골마을에 살던 사람들이 치성을 올리던 미륵불.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고등리 안골마을에 있는 미륵불로 자연석에 미륵불을 양각하여 놓은 형태이다. 개인적 치성의 대상으로 모셔져 왔다. 고등리 안골 미륵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고등2리 김충열 정려(旌閭)[충신·효자·열녀 등에게 문(門)을 세워 표창하던 일] 부근에 있다. 마...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등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의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경부고속철도가 고등터널로 통과한다. 고등고개는 소정면 고등리에서 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라는 의미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등산(高登山)[229.9m]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일부 향토지에는 고등이고개·고등...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등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의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경부고속철도가 고등터널로 통과한다. 고등고개는 소정면 고등리에서 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라는 의미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등산(高登山)[229.9m]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일부 향토지에는 고등이고개·고등...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등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의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경부고속철도가 고등터널로 통과한다. 고등고개는 소정면 고등리에서 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라는 의미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등산(高登山)[229.9m]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일부 향토지에는 고등이고개·고등...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등고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의 대곡리와 고등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경부고속철도가 고등터널로 통과한다. 고등고개는 소정면 고등리에서 대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라는 의미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대동여지도』에는 고등산(高登山)[229.9m]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일부 향토지에는 고등이고개·고등...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4년제 사립 종합 대학교. 교훈은 교육구국의 건학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자유·정의·진리의 3대 이념으로 인류 공통의 이상인 인간적 ‘자유’의 실현, 사회 속의 ‘정의’의 실현, 학문연구에서의 ‘진리’ 탐구에 대한 넘치는 정열을 집약하였다. 1980년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 분교를 설립하고 1987년 고려대학교 조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4년제 사립 종합 대학교. 교훈은 교육구국의 건학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자유·정의·진리의 3대 이념으로 인류 공통의 이상인 인간적 ‘자유’의 실현, 사회 속의 ‘정의’의 실현, 학문연구에서의 ‘진리’ 탐구에 대한 넘치는 정열을 집약하였다. 1980년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 분교를 설립하고 1987년 고려대학교 조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4년제 사립 종합 대학교. 교훈은 교육구국의 건학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자유·정의·진리의 3대 이념으로 인류 공통의 이상인 인간적 ‘자유’의 실현, 사회 속의 ‘정의’의 실현, 학문연구에서의 ‘진리’ 탐구에 대한 넘치는 정열을 집약하였다. 1980년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 분교를 설립하고 1987년 고려대학교 조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4년제 사립 종합 대학교. 교훈은 교육구국의 건학정신을 계승 발전시킨 자유·정의·진리의 3대 이념으로 인류 공통의 이상인 인간적 ‘자유’의 실현, 사회 속의 ‘정의’의 실현, 학문연구에서의 ‘진리’ 탐구에 대한 넘치는 정열을 집약하였다. 1980년 8개 학과 초기 정원 400명 규모의 조치원 분교를 설립하고 1987년 고려대학교 조치...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과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고등리·대곡리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소사리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곡교천과 조천천의 분수계가 되는 산이다. 고려산 일대 지역은 고구려가 강성하였을 때 최남방의 국경을 구성하는 요충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나당연합군에 의하여 사비도성이 무너진 후 백제 부흥...
-
918년에서 1392년까지 고려 왕조가 지속된 시기 세종 지역의 역사. 고려시대 세종특별자치시는 도읍지 개경으로부터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연기현(燕岐縣)과 전의현(全義縣)으로 나뉘어 있었다. 전의현은 940년(태조 23) 청주에 영속되었다가 조선 전기인 1395년(태조 4) 감무를 설치하였다. 연기현은 1018년(현종 9) 청주에 영속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주민들은 마을 뒤에 있는 비룡산을 고산(高山)이라 불렀고 아래에 위치한 마을을 복골이라 호칭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고복리(高福里)가 처음 사용되었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연기현, 고려시대에는 청주목, 조선 전기에는 연기현, 조선 후기에는 연기군 지역이었다. 1914년 연기군 북이...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의 용암리와 장군면 고복리에 걸쳐 있는 저수지. 고복저수지는 대규모 농업용 저수지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조되어 1989년 6월 29일 준공되었다. 고복저수지는 본래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고복리와 공주시 의당면 용암리에 속하여 있던 저수지였으나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하여 연서면 고복리, 장군면 용암리로 각각...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의 용암리와 장군면 고복리에 걸쳐 있는 저수지. 고복저수지는 대규모 농업용 저수지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조되어 1989년 6월 29일 준공되었다. 고복저수지는 본래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고복리와 공주시 의당면 용암리에 속하여 있던 저수지였으나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하여 연서면 고복리, 장군면 용암리로 각각...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 영평사에 소장된 승려 고봉의 법문집. 『고봉화상선요』는 고려시대부터 교육 교재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사집과(四集科)[승려의 수행과 교육을 위한 강원(講院) 과정]의 세 번째 과목으로 채택되어 교재로 사용하였다. 고봉(高峰)[1238~1295]은 원나라의 승려이다. 속성은 서(徐), 이름은 원묘(原妙)이다. 쑤저우[蘇州]...
-
조선 후기 호서지역 낙론의 대가 중 한명으로,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전재(全齋)·희양재(希陽齋)이다. 유학의 거두로 유림의 추앙을 받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경서(經書)에 몰두하여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직에 나아가 이조참판과 대사헌 등을 지냈으나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
조선 후기 호서지역 낙론의 대가 중 한명으로,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자는 명로(明老), 호는 고산(鼓山)·전재(全齋)·희양재(希陽齋)이다. 유학의 거두로 유림의 추앙을 받은 인물이다.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경서(經書)에 몰두하여 이름이 알려지면서 관직에 나아가 이조참판과 대사헌 등을 지냈으나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
-
조선 후기 연기 지역에 거주한 임헌회와 그 후손의 인장. 임헌회(任憲晦)[1811~1876]는 19세기 말 성리학자이다. 충청남도 연기·공주 일대에서 크게 활약한 성리학, 특히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한 인물이다. 대표적인 문인으로는 간재(艮齋) 전우(田愚), 경의당(敬義堂) 김진수(金振遂) 등이 있다. 임헌회의 문집교지와 함께 인장이 보존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연기 지역에 거주한 임헌회와 그 후손의 인장. 임헌회(任憲晦)[1811~1876]는 19세기 말 성리학자이다. 충청남도 연기·공주 일대에서 크게 활약한 성리학, 특히 주기론(主氣論)을 주장한 인물이다. 대표적인 문인으로는 간재(艮齋) 전우(田愚), 경의당(敬義堂) 김진수(金振遂) 등이 있다. 임헌회의 문집교지와 함께 인장이 보존되어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송리에 있는 삼국시대 산성. 운주산성은 전동면에 있는 산성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성에 오르면 주변의 전망이 매우 좋다. 동쪽으로 충청북도 청주시가 한눈에 들어오고 남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과 미호천 주변의 넓은 충적평야, 서쪽은 전의읍내와 전동면 일대, 북쪽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의 남쪽 일대가 조망된다. 운주...
-
이황을 시조로 하고 이배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고성이씨(固城李氏)는 사암공파 이배가 17세기 초에 이괄의 난과 연루될 것을 우려하여 처향으로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안리가 후손들의 집성촌이다. 고성이씨 시조 이황(李璜)은 중국 한나라 무제 때 군사를 이끌고 우리나라에 왔다가 눌러 살...
-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금강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가장 큰 하천이다. 본류는 전라북도 장수군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함께 북쪽으로 흐른다. 충청북도 남서부 지역에서는 북서쪽으로 물길을 바꾸고 지류들과 합쳐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이르러서는 남서 방향으로 물길이 바뀐...
-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을 잇는 고속도로.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하봉리[서세종 나들목]에서 금남면 용담리[남세종 나들목]을 관통하는 고속도로이다. 당진영덕고속도로는 당진과 영덕을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도로명은 당진과 영덕의 지역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당진영덕고속도로는 고속국도 제30호선으로...
-
조선 후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하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덕성서원에 배향된 학자. 전우(田愚)[1841~1922]의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고옹(蠱翁)·양하왕인(陽下尫人)이다.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이다. 21세에 당시의 거유(巨儒|鉅儒)[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서울에서 직접 아...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고운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사이[inter(間)] 좋은 고운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혜롭고 심신이 건강한 고운인[Intelligence], 개성이 뚜렷하고 창의적인 고운인[Novelty], 재능을 계발하여 진로를 개척하는 고운인[Talent], 예의 바르고 질서를 지킬 줄 아는 고운인...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고운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사이[inter(間)] 좋은 고운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혜롭고 심신이 건강한 고운인[Intelligence], 개성이 뚜렷하고 창의적인 고운인[Novelty], 재능을 계발하여 진로를 개척하는 고운인[Talent], 예의 바르고 질서를 지킬 줄 아는 고운인...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고운동은 ‘곱다’의 우리말로 대규모 주택 단지가 조화롭게 배치되어 아름답고 고운 주거 이미지를 강조한 명칭이다. 고운동은 가락마을로도 불리는데, 고운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명칭 가운데 가락골을 활용한 것이다. 고정리에 자리한 가락골은 갈림길에 있는 마을, 가락처럼 좁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의미한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과...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고운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소통과 존중으로 행복한 고운중’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사랑과 소통으로 미래를 여는 학생, 배움을 즐기고 나누며 실천하는 학교, 배려와 존중으로 함께하는 교육공동체,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하는 학교 문화를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고운 마음 새로운 지성’이다. 고운...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고운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소통과 존중으로 행복한 고운중’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사랑과 소통으로 미래를 여는 학생, 배움을 즐기고 나누며 실천하는 학교, 배려와 존중으로 함께하는 교육공동체,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하는 학교 문화를 교육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고운 마음 새로운 지성’이다. 고운...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고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고운 꿈을 키우는 행복 배움터’이다. 2015년 2월 17일에 초등학교 18학급을 인가받아 2015년 3월 1일 고운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해마다 학생 수가 증가하여 2018년 3월 1일자로 46학급이 편성되었다. 2019년 현재는 45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다. 2016년 2월 19일 제1회 졸업장...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고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고운 꿈을 키우는 행복 배움터’이다. 2015년 2월 17일에 초등학교 18학급을 인가받아 2015년 3월 1일 고운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해마다 학생 수가 증가하여 2018년 3월 1일자로 46학급이 편성되었다. 2019년 현재는 45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다. 2016년 2월 19일 제1회 졸업장...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고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고운 꿈을 키우는 행복 배움터’이다. 2015년 2월 17일에 초등학교 18학급을 인가받아 2015년 3월 1일 고운초등학교로 개교하였다. 해마다 학생 수가 증가하여 2018년 3월 1일자로 46학급이 편성되었다. 2019년 현재는 45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다. 2016년 2월 19일 제1회 졸업장...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지정한 보호수로, 낙엽침엽 교목. 은행나무는 고생대 페름기[2억 7,000만~2억 3,000만 년 전]에 초기 형태의 은행잎 모양을 가진 나무로 나타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번성하여 백악기[1억 3,500만~6,500만 년 전]에는 현재의 북반구 대륙 일대에 분포하였다. 현재 가장 오래된 자연산 은행나무는 중국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에 있는 종합버스터미널.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에 자리한 버스터미널이다. 세종도시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를 운행한다. 흔히 조치원터미널이라 부르며, 도로 표지판은 버스터미널로 표기하고 있다. 주변에 조치원역과 조치원전통시장이 자리잡고 있다. 2010년 10월 2일 조치원...
-
세종 지역에서 관광·여가·휴식·체육 활동 등을 목적으로 지정 또는 조성한 녹지 또는 시설, 구역. 공원은 자연공원법에 의한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및 지질공원이 있다. 또한 공원녹지법에 따라 도시지역에서 도시자연경관을 보호하고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 생활을 향상시키는 데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거나 지정되는 도시공원, 하천법과 수질수생태계법에 따른 하천 복원과...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은용리 보광사에 소장된 일제강점기 산신도. 장군 보광사 산신도(將軍普光寺山神圖)는 산신을 묘사한 불화이다. 화면 왼쪽 소나무 아래에 산신과 함께 호랑이와 공양물을 든 동자를 배치하였다. 2007년 9월 2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7호 공주 보광사 산신도로 지정되었으며, 행정구역 개편으로 2012년 12월 31일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교. 건학 이념은 실용주의 정신에 입각한 철저한 직업 교육과 온전한 인격체 형성을 위한 전인교육을 통하여, 미래국가사회의 중추적 인재로서 다양화된 산업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직업의식이 투철한 창의적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함이다. 교육 목표는 4가지로 직무수행 완성도 높은 전문 직업인 양성, 융·복합 콘텐츠...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교. 건학 이념은 실용주의 정신에 입각한 철저한 직업 교육과 온전한 인격체 형성을 위한 전인교육을 통하여, 미래국가사회의 중추적 인재로서 다양화된 산업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직업의식이 투철한 창의적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함이다. 교육 목표는 4가지로 직무수행 완성도 높은 전문 직업인 양성, 융·복합 콘텐츠...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금암리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교. 건학 이념은 실용주의 정신에 입각한 철저한 직업 교육과 온전한 인격체 형성을 위한 전인교육을 통하여, 미래국가사회의 중추적 인재로서 다양화된 산업사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직업의식이 투철한 창의적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함이다. 교육 목표는 4가지로 직무수행 완성도 높은 전문 직업인 양성, 융·복합 콘텐츠...
-
세종 지역에서 연구 개발되고 있는 과학 및 기술과 관련 기관 및 활동. 세종특별자치시는 중앙행정기관과 국책연구기관의 이전으로 행정수도 기능을 갖추어 나가고 있으며, 앞으로 첨단산업과 과학기술 분야 성장을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18년 기준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개발 인력은 4,980명으로 전국의 0.79%를 차지하고 있고, 공공 연구기관 중심...
-
세종 지역에 지정된 과학벨트 기능지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8조)에 의하여 기초연구와 비즈니스를 융합하고 종합적·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지정된 과학벨트 연계 지역을 말한다. 정부는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환경을 구축하고, 기초연구와 비즈니스가 융합될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을 추...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항일 의병가. 곽한소(郭漢沼)[1882~1927]는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고정리[현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일대] 출신으로 의병 활동을 하였다. 곽한소는 1905년 음력 12월 스승 최익현(崔益鉉)의 지시에 따라 항일 세력 규합(糾合)[어떤 일을 꾸미려고 세력이나 사람을 모음]을 위하여 힘썼던 인물이다. 최익현이 작성한 ‘노성궐리사강...
-
세종 지역에서 휴식·체험·학습 등을 위해 인문 사회 혹은 자연적인 대상이 있는 장소를 관람·체류하는 행위. 전통적으로 관광은 역사적인 사건이 발생한 지역, 역사적인 유물 등 민속 기념물이 존재하는 지역, 유흥 오락 시설이 존재하는 지역이나 명승지를 방문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최근에는 자연 생태계의 보존상태가 우수한 지역, 농업 활동이 활발한 지역, 지형 및 지질 자...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번암리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사찰. 관음암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번암리 소봉산에 자리한 암자이다. 관음암은 세종특별자치시 전통사찰 제6호로 지정되어 있다. 관음암 창건에 관한 기록은 없다. 6·25전쟁 때 폐사되었다가 1988년 전통사찰로 등록되었다. 관음암은 조그마한 암자로, 법당과 관음전이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관정리(觀亭里)의 자연마을로는 군량골·느릿골·취촌·사관청·찬샘골마을 등이 있다. 군량골마을은 옛날에 태우향(大部鄕)이 있었을 때 시루성을 쌓고 군량을 두었다 하여 지금까지 불리게 된 이름이다. 느릿골마을은 느릅나무가 많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취촌마을은 술이 많아 오는 사람마다 술에 취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고 하여...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 유동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는 전의면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행정구역상 3개리로 나뉘며 1리에는 유동[느리골]과 양곡, 2리에는 취촌과 하대부[사관정], 3리에는 상대부과 중대부 등의 마을이 있다. 마을 중 유동에서는 해마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장승제를 지낸다. 장승제 제문에...
-
김흥광을 시조로 하고 김정수, 김종발, 김재윤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광산김씨는 문숙공파와 양간공파 후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문숙공파는 16세기 중엽 김정수가 전의에 처음 거주하기 시작하였고, 양간공파는 18세기 초에 김종발이 이웃 고을 목천에서 처향(妻鄕)[아내의 관향]인 동면으로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
김흥광을 시조로 하고 김정수, 김종발, 김재윤 등을 각각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광산김씨는 문숙공파와 양간공파 후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문숙공파는 16세기 중엽 김정수가 전의에 처음 거주하기 시작하였고, 양간공파는 18세기 초에 김종발이 이웃 고을 목천에서 처향(妻鄕)[아내의 관향]인 동면으로 입향하여 거주하기 시작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문곡리 부강약수터 정자 밑에 있던 넓은 바위. 넉바위는 넓은 바위란 뜻인 ‘넙바위’, ‘넉바우’에서 변형된 것으로 짐작된다. ‘넉바우’, ‘넉바위’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넉바우마을’ 또는 ‘넉바위 마을’로도 불리었다. 넉바위는 외지 사람들도 찾는 명소인 부강약수터의 정자 밑에 있었으며, 바위에 얽힌 이야기가 전하여진다. 196...
-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에 있는 산. 괴화산(槐花山)[201.2m]은 금강을 사이에 두고 연기면 세종리의 전월산과 마주하며, 북쪽은 서류하는 금강을 사이에 두고 연동면의 황우산과 마주한다. 괴화산 정상에 느티나무가 있다. 괴화산에 불을 켜는 등을 거는 괘등형의 명당이 있어서 삼거리에서 바라보면 환하게 불이 켜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는 데서 유래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내판리에 있는 교과서 전문 박물관. 선조들이 서당에서 사용한 교재들과 개화기, 일제강점기, 8·15 광복 이후 시대, 제1차 교육과정기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 현장에서 사용한 교과서들을 수집·보관하고 있는 우리나라 유일의 교과서 박물관이다. 우리나라 교육 문화 발전사를 한눈에 살펴보고 미래의 한국 교육 발전을 책임진다는 인식 아래 미래엔에서 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교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자율과 협력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기초 기본에 충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배움 중심의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공감과 소통으로 교육공동체 모두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교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1906년 조치원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하였으며 이후 일본인 심상소학교로 인하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치원교동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자율과 협력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기초 기본에 충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배움 중심의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공감과 소통으로 교육공동체 모두가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교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1906년 조치원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하였으며 이후 일본인 심상소학교로 인하여...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하천, 강 등의 수로(水路)를 건너는 다리.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세종특별자치시는 조선 건국 이후 600여 년간 한반도의 수도인 서울과 지형이 비슷하다. 한강과 마찬가지로 금강 본류가 도시를 크게 남북으로 가른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국가하천 2개[금강·미호천], 지방하천 6개[제천·방축천·삼성천·용호천·문주천·내삼천], 소하천 7개[고정...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하천, 강 등의 수로(水路)를 건너는 다리.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세종특별자치시는 조선 건국 이후 600여 년간 한반도의 수도인 서울과 지형이 비슷하다. 한강과 마찬가지로 금강 본류가 도시를 크게 남북으로 가른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국가하천 2개[금강·미호천], 지방하천 6개[제천·방축천·삼성천·용호천·문주천·내삼천], 소하천 7개[고정...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교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있는 법정리이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관공서 건물이 주를 이루면서 조치원의 중심지 기능을 하여 왔다. 교리는 연기현 북면 침산리 지역이었으며, 마을 중앙으로 하천이 관통함에 따라 마을을 형성하는 데 장애가 있었다. 그러나 일부 지대가 높은 지역에는 연기군청, 심상고등소학...
-
전근대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세종 지역 교육의 역사와 현황. 세종특별자치시의 전신인 충청남도 연기군을 중심으로 세종 지역 교육의 역사와 현황을 각각 조선시대부터 개화기,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대학교육, 사회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지방교육기관은 관학인 향교, 사립교육기관인 서원과 서당이 있다. 세종[구 연기] 지역에는 연기현 연기향...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의 교육부 내에 있는 도서관. 교육정보디지털도서관은 교육부 발간자료와 교육 관련 국내외 자료, 연구보고서 및 온라인 자료 등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등 교육부 소속 직원들의 정책결정과 실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교육부 자료실의 소장자료 목록 검색이 가능하며, 교육부 발간자료 등 저작권이 확보된 경우 원문자료(PDF)를 검색할 수 있다....
-
세종 지역의 인적 및 물적 운송과 통신에 이용되는 교통로와 교통수단. 세종 지역의 교통로와 교통수단에는 과거의 내륙수로 교통로[나루·포구]와 육로 교통수단[철도·고속국도·국도·시도·자전거도로·교량시설 등]이 있다. 이 외에 인근 청주시에 항공 교통수단[청주국제공항]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BRT버스(Bus Rapid Transit)[간선급행버스체계]를 운행하...
-
세종 지역의 인적 및 물적 운송과 통신에 이용되는 교통로와 교통수단. 세종 지역의 교통로와 교통수단에는 과거의 내륙수로 교통로[나루·포구]와 육로 교통수단[철도·고속국도·국도·시도·자전거도로·교량시설 등]이 있다. 이 외에 인근 청주시에 항공 교통수단[청주국제공항]이 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BRT버스(Bus Rapid Transit)[간선급행버스체계]를 운행하...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김한정(金漢鼎)[1757~1804]의 자는 중삼(重三)이고 호는 구곡(龜谷)이다. 이곡 김천익의 16세손이고, 모암 김덕숭의 15세손이며, 기은 김오의 8세손이다. 아버지는 김상문(金尙文)[1722~1789]이고, 어머니는 유덕룡의 딸 강릉유씨(江陵劉氏)[1726~1790]이다. 부인은 동래정씨이고, 아들은 김경희(金卿羲)[1794~1...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달전리(達田里)는 용두미고룡골 또는 구능골이라고도 하며 능성구씨의 묘가 많다. 자연마을로는 암곡마을·사거리마을·용두미마을·상달전마을·하달전마을 등이 있다. 암곡마을은 바위가 많은 곳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사거리마을은 마을에 네 갈래 길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용두미마을은 용의 머리처럼 생긴 산 앞에 자리를 잡...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성산성(城山城)은 일명 ‘개소문성’, ‘구들기성’이라고도 한다. 산성은 속칭 성재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쪽과 서쪽을 향해 돌출시켜 축조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그러나 석축성벽으로 이루어진 내성 이외에도 바깥쪽에 토루(土壘)[방어 겸 생활을 하기 위하여 둘레를 흙으로 쌓아올려 지은 울타리]로 이루어진 외성...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성산성(城山城)은 일명 ‘개소문성’, ‘구들기성’이라고도 한다. 산성은 속칭 성재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쪽과 서쪽을 향해 돌출시켜 축조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그러나 석축성벽으로 이루어진 내성 이외에도 바깥쪽에 토루(土壘)[방어 겸 생활을 하기 위하여 둘레를 흙으로 쌓아올려 지은 울타리]로 이루어진 외성...
-
세종 지역에서 구술을 통하여 전승되어 온 이야기나 노래 등 지식의 총칭. 구비 전승은 인간의 음성 언어를 활용하여 전승되어 온 지식을 총칭한다. 구비 전승 대상은 생활에 필요한 지식부터 예술 형식을 띠는 노래, 서사 구조로 되어 있는 이야기까지 두루 포함된다. 구비 전승 과정은 기억과 관습에 의존하기 때문에 세대를 거치면서 해당 집단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 것들이 남게...
-
조선 후기에서 근대기에 활동하며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덕성서원에 배향된 학자. 전우(田愚)[1841~1922]의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고옹(蠱翁)·양하왕인(陽下尫人)이다.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이다. 21세에 당시의 거유(巨儒|鉅儒)[뭇사람의 존경을 받는 이름난 유학자]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서울에서 직접 아...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면. 전동면(全東面)은 전의의 동쪽에 있는 면이란 뜻이다. 과거 전동면은 전의지역으로 원삼국시대에는 마한의 54개국 중 하나였고, 백제시대에는 구지현(仇知縣)에 속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금지현(金池縣)이라 하여 대록군(大麓郡)의 영현이 되었다가 고려 때 전의현(全義縣)에 속하였다. 전동면은 조선시대인 1414년(태종 14)...
-
백제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구지현(仇知縣)은 백제시대 지명으로, 오늘날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백제시대 지명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 의하면 구지현은 오늘날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역에 해당하는 백제시대 대목악군(大木岳郡)에 속한 곳이었으...
-
통일신라시대에 현재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에 있던 지방 통치 구역. 금지현(金池縣)은 통일신라시대 지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 일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본래 백제의 구지현(仇知縣)이었지만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 757년(경덕왕 16)에 금지현(金池縣)[또는 金地縣]으로 고쳐서 지금의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일원에 위치한 대록군(...
-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일대의 옛 행정 구역. 전의현(全義縣)은 조선 건국 이후 1413년(태종 13) 전국적인 지방제도 개편 때 제정되어 조선 말까지 유지되었으며, 1895년(고종 32) 현(縣)을 군(郡)으로 일괄 개칭할 때 전의군으로 개칭되어 승격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연기군에 병합되어 일부 지역이 연기군 전의면으로 남아 있었다....
-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금강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가장 큰 하천이다. 본류는 전라북도 장수군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함께 북쪽으로 흐른다. 충청북도 남서부 지역에서는 북서쪽으로 물길을 바꾸고 지류들과 합쳐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이르러서는 남서 방향으로 물길이 바뀐...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무를 겸전한 인물. 김종서(金宗瑞)[1383~1453]는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에서 1383년(고려 우왕 9) 3남 1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국경(國卿)이고 호는 절재(節齋)이다. 김종서는 백성을 자애로 다스리는 목민관(牧民官)이었으며, 세종(世宗)·문종(文宗)·단종(端宗) 3대 왕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고 항...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국곡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다. 자연마을로는 국곡, 바탕, 심방골 등이 있다. 국곡 마을은 들국화가 많이 있다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한국지명총람』에서 확인되는 국곡리 마을 이름으로는 국곡 외에 바탕[용포리], 심방골[심방동] 등이 있다. 조선 후기에는 공주군 반포면에 속하였고 1914년 행정개편...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마을에 있는 고인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산10-5에 있다. 국곡리 고인돌은 지석이 외견되는 기반식(南方式) 형태이다. 덮개돌은 가로 195㎝, 세로 215㎝이다. 두께는 27~30㎝이다. 덮개돌 밑에는 몇 개의 고임돌이 보인다. 크기는 50~60㎝이며, 원형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덮개돌의 상면에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마을 입구에 있는 선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 있다. 논 한가운데 위치한 선돌[立石]은 높이 220㎝, 너비 40~50㎝, 두께 20㎝ 정도의 크기로 화강석 계통의 자연석으로 되어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또 다른 1기는 높이 215㎝, 너비 60㎝, 두께 20㎝로 논에 있는 선돌과 규모가 비슷하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 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마을 입구에 있는 선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 있다. 논 한가운데 위치한 선돌[立石]은 높이 220㎝, 너비 40~50㎝, 두께 20㎝ 정도의 크기로 화강석 계통의 자연석으로 되어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또 다른 1기는 높이 215㎝, 너비 60㎝, 두께 20㎝로 논에 있는 선돌과 규모가 비슷하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 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마을 입구에 있는 선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 있다. 논 한가운데 위치한 선돌[立石]은 높이 220㎝, 너비 40~50㎝, 두께 20㎝ 정도의 크기로 화강석 계통의 자연석으로 되어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또 다른 1기는 높이 215㎝, 너비 60㎝, 두께 20㎝로 논에 있는 선돌과 규모가 비슷하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 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국곡리 장승제는 마을의 평안과 액막이를 위하여 매년 정초에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서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국곡리 마을에서는 선돌 앞에서 지내는 제사를 ‘장승제’라는 말보다 ‘거리제’를 지낸다고 한다. 국곡리 장승제는 연원에 대하여 알...
-
세종특별자치시는 자연과 인간이 함께 어우러진 도시를 조성하기 위하여 도시 내의 중앙을 녹지공간으로 보전하고 주변에 주거공간을 배치한 뒤 그 배후를 다시 녹지공간으로 둘러싸는 이중 녹지벨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쾌적한 도시환경을 자랑한다. 기존에 있던 구릉지를 가능한 한 살려 도시 전체의 구릉지와 녹지를 연속적으로 산책할 수 있도록 산책 코스가 조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평안북도 신의주시를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1호는 일제강점기에 정비된 도로에서 시작되었다. 1905년 조치원에 경부선 철도역이 설립되고, 조치원과 주변 도회지를 연결하는 도로망이 정비되면서 조치원을 중심으로 한 옛 연기군 지역은 충청남도·충청북도 도로 교통의 거점이 되었다. 1920년대에는 조치원을 중심으로 당시 상업...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를 잇는 일반 국도.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서남부 내륙 지역[장흥·영암·나주]을 거쳐 서해안고속도로와 나란히 호남 서해안 지역[함평·영광·고창·부안·김제]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간 다음 충청남도 내륙지역[논산·공주·연기]을 거쳐 천안시까지 남북 방향으로 잇는 간선도로이다....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36호는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한반도 중부지역을 서해에서 동해로 연결하는 국도 제36호는 지역 개발과 물동량 수송, 관광 진흥에 이바지하고 있다. 세종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봉안리에서 조치원읍 상리를 지난...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43호는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로 세종~고성선이라고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을 기점으로 장군면, 소정면을 지나 천안시, 아산시를 거쳐 경기도 서남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동북부 지역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남북 대각선...
-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평안북도 신의주시를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1호는 일제강점기에 정비된 도로에서 시작되었다. 1905년 조치원에 경부선 철도역이 설립되고, 조치원과 주변 도회지를 연결하는 도로망이 정비되면서 조치원을 중심으로 한 옛 연기군 지역은 충청남도·충청북도 도로 교통의 거점이 되었다. 1920년대에는 조치원을 중심으로 당시 상업...
-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를 잇는 일반 국도.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을 기점으로 전라남도 서남부 내륙 지역[장흥·영암·나주]을 거쳐 서해안고속도로와 나란히 호남 서해안 지역[함평·영광·고창·부안·김제]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간 다음 충청남도 내륙지역[논산·공주·연기]을 거쳐 천안시까지 남북 방향으로 잇는 간선도로이다....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36호는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한반도 중부지역을 서해에서 동해로 연결하는 국도 제36호는 지역 개발과 물동량 수송, 관광 진흥에 이바지하고 있다. 세종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봉안리에서 조치원읍 상리를 지난...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43호는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로 세종~고성선이라고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을 기점으로 장군면, 소정면을 지나 천안시, 아산시를 거쳐 경기도 서남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동북부 지역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남북 대각선...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세종 분관. 2013년 행정도시 세종특별자치시 중심에 개관한 국립세종도서관은 올바른 정책으로 국민이 행복할 수 있고 더 창조적인 정책으로 국가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책 수립·수행·평가 등 정부의 정책 과정 지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06년 6월 문화부에서 ‘행정도시건설 기본계획’ 수립 시 국립도...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있는 국립 박물관. 세금 역사, 우수한 조세제도와 국세행정의 발전 과정을 소개하는 국내 유일의 세금 전문 박물관이다. 세금은 국방·치안 등 나라를 지키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며 도로·항만·철도·학교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과 국민복지 지출 등의 밑거름이 되므로 나라 살림의 원천으로서 국가 유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모든 국민은 ‘납세의 의무’를 지고...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세종 분관. 2013년 행정도시 세종특별자치시 중심에 개관한 국립세종도서관은 올바른 정책으로 국민이 행복할 수 있고 더 창조적인 정책으로 국가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책 수립·수행·평가 등 정부의 정책 과정 지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06년 6월 문화부에서 ‘행정도시건설 기본계획’ 수립 시 국립도...
-
1950년 7월 연기 지역 주민들이 학살 당한 사건. 국민보도연맹은 좌익 활동을 한 전력이 있는 사람들을 전향시키려는 목적에서 창설되었다. 당시 이승만 정권에서는 6·25전쟁이 발발한 이후 북한군에 협조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군과 경찰을 동원하여 국민보도연맹원을 색출하고 학살을 자행하였다. 조치원경찰서는 6.25전쟁이 발발한 직후 연기 지역 주민 대상으로 국민...
-
1950년 7월 연기 지역 주민들이 학살 당한 사건. 국민보도연맹은 좌익 활동을 한 전력이 있는 사람들을 전향시키려는 목적에서 창설되었다. 당시 이승만 정권에서는 6·25전쟁이 발발한 이후 북한군에 협조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군과 경찰을 동원하여 국민보도연맹원을 색출하고 학살을 자행하였다. 조치원경찰서는 6.25전쟁이 발발한 직후 연기 지역 주민 대상으로 국민...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와 석곡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산. 국사봉(國師峰)[267.1m]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보덕리와 석곡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동쪽의 송학산과 마주하는 구릉성 산지이다. 국사봉 명칭은 고려 때부터 국사에 도움을 준 산봉이라는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국사봉에는 성, 봉화대, 산신제단, 산제당, 석단, 철마(鐵馬) 등이 있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금사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어물리,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원덕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금사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어물리,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원덕리 등 3개 시의 경계 선상에 있는 산이다. 국사봉(國士峰)[402.7m] 누리길 안내에 의하면 고려 후기에 어지러운 국운을 바로잡기 위하여 3정...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석곡리에서 정월에 마을 주산인 국사봉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석곡리 사람들은 예로부터 국사봉 산신에게 마을 평안과 주민 발복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었다. 매년 정월 초사흘과 보름 사이의 길일을 택하여 떡 한 시루, 돼지머리, 북어포, 삼색실과를 차려놓고 정성을 드렸다. 한때 소를 잡아서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있는 국립 박물관. 세금 역사, 우수한 조세제도와 국세행정의 발전 과정을 소개하는 국내 유일의 세금 전문 박물관이다. 세금은 국방·치안 등 나라를 지키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며 도로·항만·철도·학교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과 국민복지 지출 등의 밑거름이 되므로 나라 살림의 원천으로서 국가 유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모든 국민은 ‘납세의 의무’를 지고...
-
조선 후기 전의현감을 지낸 문신. 정천경(鄭天卿)[1547~1600]은 충장공 정분(鄭苯)의 5세손이다. 아버지는 영동현감을 지낸 조봉대부 정인덕(鄭麟德)이다. 정천경은 1585년(선조 18) 을유 식년시 진사3등으로 합격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으로 참가하여 적군을 무찌른 공으로 선무원종 2등공신에 책록되었다. 1597년 임천군수로 부임하였고 1598...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마을에 국화(菊花)가 많이 자라고, 국화꽃이 활짝 피어 국화 향기가 가득한 마을로 널리 알려져 국촌(菊村)이라고 불리었다. 국촌리에는 국말, 가느실, 후덕골, 독골 등 자연 마을이 있다. 국말마을은 가을에 국화꽃이 활짝 피어 붙은 명칭으로, 국촌(菊村)이라고도 한다. 국말마을 남서쪽에 위치한 가느실마을은 마을의 지형이 가늘...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국촌리 후덕골에 있는 주민들의 식수원이던 우물. 과거 후덕골 우물물을 식수로 사용할 때는 마을 부녀자들이 샘고사를 지내었다. 샘고사는 마을의 대표 의례로, 주민 다수가 참여하였다. 칠월 칠석날 지낸 샘고사에서는 샘물이 마르지 않기를 빌고, 이와 더불어 마을안녕과 주민들의 무탈을 기원하였다. 구전에 따르면 과거 후덕골 공동샘 옆에 연자방아가 있었다고...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죽림리에 있는 한국국토정보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 산하 세종지사. 한국국토정보공사는 국토의 공간정보체계 구축 지원, 공간정보와 지적제도에 관한 연구, 기술 개발 및 지적측량 등을 수행한다. 세종특별자치시 관할의 지적측량과 지적정보공간 정보체계 구축 등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의 재산권 보호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
-
세종 지역에서 동굴[암굴 또는 토굴]의 이름이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암굴[바위굴]이나 토굴 같은 동굴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동굴은 과거 전란의 도피처나 기자치성(祈子致誠)[아들 낳기를 기원하여 정성을 다하여 비는 일]의 상징으로 숭배되어 왔다. 지역별 굴혈설화로는 금남면의 「굴바위」와 「청승모랭이 금점굴」, 전의면의 「병...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혁기(權赫基)[1889~1933]는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청송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송리] 출신으로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의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세종 지역[옛 연기군]의 3·1운동은 3월 15일 전의역을 중심으로 산 위에서 봉화를 올리고 독립 만세를 외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3월 23일에는 조치원을 중심...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무신. 권봉(權葑)은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 안동권씨 추밀공파 후손으로 주부(主簿)[조선시대 각 아문의 문서와 부적을 주관하던 종6품 벼슬]를 지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적과 싸우다가 순절(殉節)[충절(忠節)이나 정절(貞節)을 지키기 위하여 죽음]하였다. 권봉은 안동권씨 추밀공파(樞密公派) 후손이다. 파조는 시조...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혁기(權赫基)[1889~1933]는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청송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송리] 출신으로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의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세종 지역[옛 연기군]의 3·1운동은 3월 15일 전의역을 중심으로 산 위에서 봉화를 올리고 독립 만세를 외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3월 23일에는 조치원을 중심...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무신. 박천붕(朴天鵬)[1545~1592]은 본관(本貫)이 밀양이다. 자는 익호(翼乎), 호는 규정(樛亭)이다. 1554년(명종 9) 충청도 연기군 북이면 신리 두옥동[현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서 태어났다. 1592년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스승인 조헌의 종사관이 되어 8월 청주전투에서 선봉장으로 적진에 뛰어들었다가 순국(殉國)[나라를...
-
조선 전기 단종복위운동에 힘쓰다 죽은 사육신 중 한 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문절사에 제향된 인물. 성삼문(成三問)[1418~1456]의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이후 박팽년·허조 등과 단종복위운동을 계획하다 실패하여 처형된 인물로 사육신 중 한 명이다. 충절의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사실...
-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글벗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서로 배우고 더불어 함께 자라는 배움 공동체’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참된 벗과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 배려하고 존중하며 함께하는 사람, 주인으로 참여하고 다름을 존종하는 민주시민, 긍정적 사고와 자신을 바르게 표현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청출어람(靑出於...
-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글벗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서로 배우고 더불어 함께 자라는 배움 공동체’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참된 벗과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 배려하고 존중하며 함께하는 사람, 주인으로 참여하고 다름을 존종하는 민주시민, 긍정적 사고와 자신을 바르게 표현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청출어람(靑出於...
-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글벗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더불어 꿈을 가꾸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훈은 ‘창의적인 이성 위에 우정을 나누고 인성을 키우는 글벗인’이다. 2017년 3월 1일 2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다. 2017년 3월 2일 5학급이 증설되어 27학급으로 편성되었고, 2018년 3월 2일 제2회 입학식에 신입생 128명이 입학...
-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글벗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더불어 꿈을 가꾸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훈은 ‘창의적인 이성 위에 우정을 나누고 인성을 키우는 글벗인’이다. 2017년 3월 1일 2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다. 2017년 3월 2일 5학급이 증설되어 27학급으로 편성되었고, 2018년 3월 2일 제2회 입학식에 신입생 128명이 입학...
-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글벗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스스로, 더불어 꿈을 가꾸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훈은 ‘창의적인 이성 위에 우정을 나누고 인성을 키우는 글벗인’이다. 2017년 3월 1일 2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다. 2017년 3월 2일 5학급이 증설되어 27학급으로 편성되었고, 2018년 3월 2일 제2회 입학식에 신입생 128명이 입학...
-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서해로 흘러드는 하천. 금강은 남한에서 한강과 낙동강 다음으로 가장 큰 하천이다. 본류는 전라북도 장수군의 신무산(神舞山)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함께 북쪽으로 흐른다. 충청북도 남서부 지역에서는 북서쪽으로 물길을 바꾸고 지류들과 합쳐져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이르러서는 남서 방향으로 물길이 바뀐...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와 반곡동을 잇는 금강의 교량. 세종특별자치시 햇무리교는 연기면 세종리[행정중심도시 S-1 생활권]와 금강 남쪽의 반곡동 세종국책연구단지를 잇는 교량이다. 햇무리교는 햇살의 포근함이 하늘을 감싸는 ‘햇무리’에서 유래한 순우리말 지명으로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총 523억 원의 공사비가 투입된 햇무리교는 행정중심도시 S-...
-
1950년 6·25전쟁 당시 금강에서 벌어진 전투. 개미고개 전투 이후 조치원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던 미군은 금강 방어를 위하여 1950년 7월 12일 금강의 남쪽인 공주와 대평리[대평동]로 이동하였다. 미군은 금강을 건넌 후 금강의 다리들을 폭파하고 금강 남쪽 제방에서 포격 준비를 하였다. 1950년 7월 13일 낮 미군 제24사단 제19연대는 제21...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과 대평동을 잇는 금강의 교량. 학나래교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첫 번째로 건설된 교량으로, 2012년 6월 말에 개통된 가칭 금강 1교이다. 학나래교는 국도 제1호 도로상의 교량이다. 학나래교는 학이 날아오르는 날갯짓을 희망으로 형상화한 교량 경관에서 유래한 순우리말 지명이다. 교량의 주탑은 4개이며 국내 최초...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과 대평동을 잇는 금강의 교량. 세종특별자치시 한두리대교는 2012년 2월 21일 준공되었으며, 행복도시를 상징하는 원형 주탑이 인상적인 교량으로 가칭 금강2교라 부르기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시도 제1호선 도로상의 교량이다. 주탑을 돛단배의 돛처럼 펼친 한두리대교는 금강을 가로지르던 옛 금강 수로의 돛단배처럼 세종특별자치시 주민 생활의 편...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와 금남면 집현리를 잇는 금강의 교량. 아람찬교는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함께 금강 구간에 네 번째로 건설된 가칭 금강4교이다. 세종특별자치시 시도제1호선 도로상의 교량이다. 2016년 1월 5일에 개통되었으며,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중심으로 한 환상형 내부순환도로상에 놓인 교량이다. 예부터 하늘·땅·사람을 상징하는 삼태극[天,...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와 금남면 영곡리를 잇는 금강의 교량. 금강교는 당진영덕고속국도(唐津盈德高速道路)[고속국도 제30호] 노선의 금강 구간에 건설된 교량이다. 금강교는 국가 하천 금강(錦江)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2009년 5월 28일 당진대전고속도로가 완공되어 개통할 때 건설된 왕복 4차로 교량이다. 당진 기점 85.45㎞에 있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금천리에 있는 한국 자생 종교의 본원. 금강대도는 도덕적으로 타락한 인류를 구원해 줄 구세주로서 건곤부모(乾坤父母)의 지상화현을 믿는 종교이다. 사상은 의성(義誠)이며, 천지인(天地人)·유불선(儒佛仙)·심성신(心性身)의 삼합 원리를 추구함으로써 도덕적으로 화합하는 이상 낙원을 건설하고자 한다. 대도덕성사건곤부모의 심법(心法)을 의성의 정신...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금강대도의 창시자. 이승여(李承如)[1874~1934]는 세종 지역에서 신종교 금강대도를 창시한 종교인이다. 이승여의 본관(本貫)은 한산(韓山)으로, 고려 후기 유학자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18세손이다. 1874년 5월 19일 강원도 통천군 답전면 포항리에서 태어나서 자랐다. 1906년 종교적 체험을 통해 대도(大道)[큰...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남리에 있는 공립 수목원. 금강수목원은 2004년 충청남도 공립 수목원으로 개장하였으며, 충청남도 산림자원 연구소의 일부이다. 금강수목원은 지역 향토 수종과 희귀 유용식물을 수집·전시·발굴·증식하여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고 식물의 자원화와 학술연구 목적으로 조성하였다. 또한 식물 등에 대한 자연학습 교육을 실시하며 산림 사료를...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남리의 금강변에 있는 자연 휴양림. 금강자연휴양림은 계룡산으로 연결된 산지가 금강에 의해 침식되어 만들어진 하천 침식 기원 절벽 인근에 있다. 구역 면적은 237만㎡, 1일 최대 수용인원은 2천 명이다. 자연 휴양림이란 산지트래킹, 야영, 산림욕 등 국민의 여가 생활과 보건 휴양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정비한 산림을 말한다. 산림청에서 운영...
-
1950년 6·25전쟁 당시 금강에서 벌어진 전투. 개미고개 전투 이후 조치원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던 미군은 금강 방어를 위하여 1950년 7월 12일 금강의 남쪽인 공주와 대평리[대평동]로 이동하였다. 미군은 금강을 건넌 후 금강의 다리들을 폭파하고 금강 남쪽 제방에서 포격 준비를 하였다. 1950년 7월 13일 낮 미군 제24사단 제19연대는 제21...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합강리와 금남면 부용리 금강 구간을 잇는 철도 교량. 세종특별자치시 금강철교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역에서 나뉘어지는 호남고속철도 노선에 놓인 철도 교량으로 연동면 합강리와 금남면 부용리 금강 구간을 잇는다. 금강철교는 국가 하천 금강(錦江)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국내 최초 이중 날개 형상의 구조물[리브 닐센]로 이루어진...
-
세종특별자치시 장남평야 일대에 서식하는 한반도 고유종 개구리. 1931년 일본인 학자 오카다(Okada)에 의해 학계에 보고된 금개구리는 낮고 평평한 구릉지가 포함된 한반도 서남부 평야 지대의 깊지 않은 물웅덩이, 수로 논 등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개구리는 산개구리과 참개구리속에 속하는 한반도 고유종 개구리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서식지의 감소, 농약의 남...
-
고구려의 온달을 시조로 하고 온신을 중시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금구온씨(金溝溫氏)는 생원공파 파조인 온치순이 조선 전기에 소정면 대곡리로 입향하여 거주해 왔다고 전해진다. 금구온씨는 조선 후기에 전의이씨와 통혼하였으며, 묘소도 대곡리에서 확인되고 있다. 금구온씨의 시조는 고구려의 온달(溫達) 장군이고, 온신(溫信)을 중시...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성강리에 있는 남이웅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사당. 금남 남산영당은 남이웅(南以雄)[1575~1648]의 영정을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으로, 1906년 공주 유림들에 의하여 건립되었다. 남이웅의 영정은 모두 4점이며, 이 가운데 2점은 초본이다. 초본 2점 중 하나는 1627년 명나라 사행(使行)[사신이 임무를...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성강리에 있는 남이웅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사당. 금남 남산영당은 남이웅(南以雄)[1575~1648]의 영정을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으로, 1906년 공주 유림들에 의하여 건립되었다. 남이웅의 영정은 모두 4점이며, 이 가운데 2점은 초본이다. 초본 2점 중 하나는 1627년 명나라 사행(使行)[사신이 임무를...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화순최씨 종중 재실. 금남 모인당(慕忍堂)은 도암리 화순최씨(和順崔氏) 입향조인 최은(崔垠)[1400년대 후반]과 부친 도승지 최중온(崔重溫), 조부 참판공 최한정(崔漢禎)[1427~1486], 최은의 아들 최세계(崔世溪)의 화순최씨 집안 재실(齋室)[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이다. 화순최씨는 고려 때 경주최...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화순최씨 종중 재실. 금남 모인당(慕忍堂)은 도암리 화순최씨(和順崔氏) 입향조인 최은(崔垠)[1400년대 후반]과 부친 도승지 최중온(崔重溫), 조부 참판공 최한정(崔漢禎)[1427~1486], 최은의 아들 최세계(崔世溪)의 화순최씨 집안 재실(齋室)[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이다. 화순최씨는 고려 때 경주최...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성삼문을 기리기 위해 개항기에 세운 사당. 문절사(文節祠)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사육신의 한 사람인 매죽헌(梅竹軒) 성삼문(成三問)[1418~1456]을 제향하기 위하여 지어진 사당이다. 공식 명칭은 매죽헌사우(梅竹軒祠宇)이다. 성삼문의 정려인 문절사가 금남면 달전리에 세워진 때는 1903년으로, 사실 달전리는...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감성리에 있는 백로 서식지. 금남 백로 서식지는 500여 년 전인 조선시대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새의 개체수가 많을 때는 5,000마리 이상이 도래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병호의 의견에 따르면, 문헌 기록상의 도래 기록은 1930년대부터 날아오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백로는 황새목 백로과에 속하는 조류를 통칭하는 것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