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장에서의 만남5 : 밭 2천㎡를 혼자 가꾸는 여장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4B030105
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구판장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종락

한쪽에서 “취나물 사러 오소.”를 외치는 목소리가 우렁차다. 갑술생 개띠 이순조(75) 할머니의 목소리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이순조(75) 할머니

이름이 좋다고 하자, “이름이 좋는교. 이전에사 책 보고 짓나. 친정아버지가 지었겠지.” 아주머니 한 명이 다가와 “콩 얼맙니까?”라고 묻자 “콩 한 되에 8천원인데 할매 한 키가 ‘7천원에 팔아라.’해서 냈다. 7천원에 사 가소.”라고 대답했지만 가격이 맞지 않는지 그냥 돌아선다.

저쪽에서 나물을 사는 등산객이 보이자, “취나물 여도 하나 사 주소.”라는 부탁의 말을 건넨다. 등산객은 이내 할머니 앞으로 와서 “하나 주소.”하며 한 봉지를 집어 든다. 그의 손엔 몇 개의 나물 봉지가 들려 있다. 이 할머니 것, 저 할머니 것, 골고루 팔아 준 모양이다. 후한 인심을 느낄 수 있다.

그 뒤를 따르는 부인은 “와 이래 정신없게 하는교.”라고 하면서도 공손하게 돈을 건넨다. 이순조 할머니는 돈을 받으면서 하나라도 더 팔고 싶은 마음에 “고맙심더. 돌미나리는 안 사는교? 돌미나리, 돌나물, 취나물, 상추, 멀구(머위), 고소도 요새 무쳐놓으면 맛있슴더.”라며 권한다. 다년간 쌓인 그만의 비법인 모양이다.

옆에 서 있다가 나물 한 봉지를 집어 든다. 그가 “하하하”하며 호탕하게 웃는다. “고소(고수나물)도 요새 무쳐놓으면 맛있슴더. 쪼매 늙었는데 생거 지름 넣고 무쳐서 조래기 해 먹으면 됩니더.”라며 조리법을 설명한다. 다른 것 하나를 더 고르자 “이게 진짜 취나물임더. 아는교? 아저씨, 이 나물은 데쳐야 향기 솔솔 나고 맛있심더. 고것도 2천원, 다 2천원. 봉지 넣어 드리지. 사 가면 각시가 뭐라 하지는 안 할끼다.”라며, 많이 사 왔다고 또는 조리하기 귀찮아서 타박 당할까봐 안심까지 시켜주는 친절을 베푼다.

나물 값을 치르자 “고맙심데이.”라며 감사의 인사를 한다. 이어서 “여 있어도 팔리네. 서운암 가면 딸내미가 저녁에 데리러 와야 되거든. 안 그라면 멀어서 못 온다. 남의 차 얻어 타고 오니까 눈치가 보이더라. 딸은 ‘엄마 너무(남의) 차 말라꼬 타노. 연락하면 갈 낀데 기다리지.’ 하는데……”라며 말끝을 흐린다.

굳이 멀리까지 다른 사람에게 신세 져 가면서 나물 팔러 갔다 오지 않아도 된다는 안도의 말로 들린다. 또 돌아올 때마다 음식점 하느라 바쁜 딸에게 데리러 올 것을 부탁하기도 미안한 친정어머니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그의 두 딸은 함께 서리마을에서 음식점을 하고 있다.

이순조 할머니는 이곳에서 태어나서 19살에 결혼하여 부산 동래로 시집갔다. 결혼 전에 쌀가마 쌓아 놓고 살다가 시집에 가보니 동서가 안남미 한 되 씩 팔아오는 것을 보게 되었다. 산에 가서 땔나무를 해서 내다 파는 궁핍한 생활에서 벗어나고자 둘째 딸을 낳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서 농사를 지었다.

그는 지금 혼자서 밭 2천㎡를 가꾸는 여장부이다. “콩 갈고, 옥수수 갈고, 채전해 먹고, 상추 키워서 팔고, 나물도 심어 베어내고 안 놀고 다 해 먹심더. 봄에는 상추, 돌냉이 나물 뜯어가 팔고, 여름에 옥수수 끊어가 팔고, 가을에는 김장배추 소문 거(배게 심은 것) 추어다(솎아서) 팔고, 겨울에는 무시 농사지은 것, 시래기 같은 거 갔다 팔고, 그것뿐이다.”

그의 말이 빠르게 이어진다. “밭에는 우리 할배 있을 때, 과일 단감나무, 배나무, 오만 거 다 심어 놓았다. 배나무 다 베고 몇 그루 남았는데 배 봉지 씌울라꼬 100개 언양장에서 사다 놓았다. 손 보고 내가 다 한다.”며 강한 면모를 보인다. 언뜻 생각해도 남자가 하기도 벅찬 일인 것 같다. 그걸 혼자 힘으로 다 해낸다니 대단한 할머니이다.

“우리 할배 제사 두 번 지나갔다. 6·25 참전용사인데 영락공원에서 초상 치르고 영천공원묘지(국립영천호국원) 거기 갔다. 참 좋데요. 더군다나 위치가 신작로 올라가는 데 양지바르고 별시리 좋대요. 벌초할 것도 없고 깨끗하고 보리밥떡거리 하나 주울 것 없고. 팔월에 영천 고향 시부모 성묘 때 가서 꽃다발 하나 새로 꽂고 오면 되고. 나도 같이 간다고 그 옆에 자리 잡아 놓았다 하데.” 오랜 세월, 즐거움과 고통을 함께하며 등 부비며 살았던 할아버지 생각이 나는 모양이다.

이순조 할머니는 매주 일요일 저녁이면 딸들과 함께 목욕을 하고 찜질방에서 한 주 동안 쌓였던 피로를 풀고 오는데, “딸들이 잘한다.”며 자랑을 한다. 딸이 이틀이나 실어다 줘서 오늘 저녁에 가면 손자들한테 한 닢 줘야 한단다. 그러고 보니 어린이날이 다가온다. 그는 비록 혼자 힘으로 힘들게 살아가지만 “자식한테 손 안 벌리고 이래 벌어서 쓴다.”며 당당하게 말한다.

그는 오늘도 만남의 광장 한쪽에서 “아지매 취나물 사세요.”를 외치며, “돌미나리 하고 머구(머위), 상추하고. 머구 한 봉다리 천 원, 상추 한 봉다리 천 원. 돌미나리 한 번 보소. 얼마나 좋노. 미나리 오늘 아직(아침)에 캐가 아침에 다듬은 기다. 머구 한 봉다리 안 사 갈란교?”며 권한다. 그의 목소리가 솔향기처럼 은은하게 공중으로 번진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