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 지역에서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여러 유형의 이야기. 설화는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가변성(可變性)이 크다. 구연자는 타인에게 이야기를 전달할 때 자기 나름의 서사 구조로 재구성하여 구연한다. 설화의 전달 형식이 입에서 입을 통하여 전해지는 ‘구연 방식’이기 때문이다. 설화는 크게 신화, 설화, 민담 형태로 분류하지만 나누는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사관정(四觀亭)은 조선시대 숙종 때 대사헌을 지낸 타우(打寓) 이상(李翔)[1620~1690]이 건립한 정자로, 근방에 있던 뇌암서원(雷岩書院) 원생들의 휴식처였다고 전해진다. 1872년에 작성된 「전의현지도」에는 뇌암서당(雷岩書堂) 남쪽에 사관정이 있는데 이상이 거처하면서 동쪽으로는 운주산(雲注山), 남쪽...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임수준(林秀俊)[1810~1875]은 본관이 부안이고 자는 사민(士民), 호는 소재(素齋)이다. 임수준은 어려서부터 성품이 온화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6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간 상복을 입고 죽으로 연명하였으며, 머리카락도 자르지 않았다. 임수준은 학문도 뛰어나 벼슬에 오르기도 하였지만 사직 후 낙향하여...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김사준(金師俊)[1439~1520]의 본관은 안동, 자는 명숙(明叔), 호는 사암(思庵)이다. 예조참의 김구년(金龜年)의 둘째 아들이다. 김사준의 아버지 김구년은 1455년 단종 폐위, 사육신 처형, 집현전 폐지 사건을 보고 난 뒤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전의면 양곡리로 돌아와 은거(隱居)[세상을 피해 숨어서 삶]하였다. 어머...
-
조선시대 세종 지역 출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와 병마절도사 등 고위직을 지낸 무신. 류형(柳珩)[1566~1615]의 본관(本貫)은 진주(晋州), 자는 사온(士溫), 호는 석담(石潭)이다. 27세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창의사 김천일을 따라 강화에서 활동하다가 선조가 있는 의주 행재소로 가서 선전관에 임명되었다. 1594년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선조의 친유(親諭)[임금이나 군...
-
세종 지역의 사찰 및 사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옛 연기 지역[현 세종특별자치시] 사찰(寺刹)은 산간이나 마을 인근에 많이 있었다. 지금은 대부분 폐허가 되어 전통을 계승하여 유지하고 있는 사찰은 매우 드물다. 근래에 옛 사찰의 터전을 가꾸어 새로운 사원을 경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산간이나 부락 인근에는 사찰이 산재해 있다. 새...
-
세종 지역에서 고유한 체계를 갖추고 사용되는 지역어. 세종특별자치시는 옛 충청남도의 연기군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충청남도 공주시의 장기면과 충청북도 청원군의 부용면 일부를 수용하면서 인위적으로 형성된 지역이다.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공주시, 남쪽으로는 대전광역시, 북쪽으로는 충청남도 천안시 및 아산시와 접하게 된다. 이러한 지리적 특...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홍진(張弘鎭)[1899~1938]은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송용리 출신으로 송용리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장홍진은 1919년 3월 28일 옛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송용리에서 전개된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장홍진은 연일 이어지는 횃불독립만세운동을 회유하기 위하여 1919년 3월 28일 송용리로 출장 나온 연기군수가 회유...
-
세종 지역 주민들의 일정한 생활 수준과 보건 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사회정책 및 제도의 조직적인 체계. 세종특별자치시는 시민 모두의 기본적 삶의 수준을 보장하는 지역 맞춤형 복지정책 수행을 위하여 세종형 사회복지모델을 제시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보편적 사회복지서비스를 위하여 소득, 일자리, 주거, 건강, 교육 등 시민 생활과 밀접한 6대 복지 영역에...
-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기업. 사회적 기업이란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 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을 말한다. 취약계층에게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우리 사회에 부족한 사회서비스 확충을 목적으로 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사회적 기업 선정에는 인증된 기업과 예비기업으로 나뉜다....
-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기업. 사회적 기업이란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 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을 말한다. 취약계층에게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우리 사회에 부족한 사회서비스 확충을 목적으로 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사회적 기업 선정에는 인증된 기업과 예비기업으로 나뉜다....
-
조선 전기 세종 지역에 은거한 인물. 신준미(申遵美)[1491~1562]는 본관(本貫)이 평산(平山), 자는 사휴(士休), 호는 초려(草廬)이다.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스승인 조광조가 사사(賜死)[죽일 죄인을 대우하여 임금이 독약을 내려 스스로 죽게 하던 일]되고 자신의 과거급제가 취소되자 공주현[현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영곡리]에 은거(隱居)[세상을 피해서...
-
최천로를 시조로 하고 최종적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최천로(崔天老)를 시조로 하고 최종적(崔宗迪)을 입향조로 하는 삭녕최씨 사직공파(司直公派) 후손이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에 입향한 이래 지금까지 살고 있다. 시조 최천로는 고려 때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다. 후손 최유가(崔瑜價)는 벼슬이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를 거쳐...
-
세종특별자치시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사면을 이루며 높이 솟아 있는 지형. 세종 지역은 북부지방을 지나는 차령산맥의 주맥이나 지맥에서 갈라져 나온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차령산맥은 강원도 오대산 부근에서 태백산맥으로부터 갈라져서 남남서 방향으로 달리며 충청북도와 경기도의 도계를 이루다가 세종특별자치시의 북부 지역인 소정면, 전의면, 전동면에 이르러 산맥의 폭...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남리에 있는 산림 박물관. 산림박물관은 산림사료의 영구적인 보존 전시, 산림에 대한 국민계도, 자연학습교육 등을 목적으로 국립산림박물관에 이어 지방에서는 최초로 개관되었다. 1989년 4월 5일 광릉수목원[현 산림박물관]에서 식목일 행사 중 대통령이 남부지방에도 중앙 규모의 산림박물관을 건립하도록 지시하여 충청남도에서 유치하게 되었다....
-
세종 지역을 배경으로 조명한 현대 소설 문학. 세종특별자치시에서는 옛 연기군 시절인 1955년 10월 백수문학동인회(白樹文學同人會)가 창립하여 강금종, 백용운, 김제영 등 문학인을 중심으로 한 현대소설 문학이 일찍부터 자리를 잡았다. 소설가 강금종(姜金鍾)[1917~1991]은 제주도에서 출생하여 1945년 광복 이후 조치원읍에 정착하였다. 1963년 자유문학...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산수리는 부강면 북쪽에 자리한다. 부강면에는 명아재마을·본산수마을·삼거리마을·갯벌미마을·갈골마을 등이 있다. 명아재마을은 본산수(本山水)마을 북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명아지’는 ‘삼거리’와 동일 마을로 설명되어 있다. ‘명아골’에서 ‘명아’가 확인되나 어원은 알기 어렵다. ‘명아재’의 ‘재’는 ‘고개’를 뜻하는...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속한 법정리. 산수리는 부강면 북쪽에 자리한다. 부강면에는 명아재마을·본산수마을·삼거리마을·갯벌미마을·갈골마을 등이 있다. 명아재마을은 본산수(本山水)마을 북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명아지’는 ‘삼거리’와 동일 마을로 설명되어 있다. ‘명아골’에서 ‘명아’가 확인되나 어원은 알기 어렵다. ‘명아재’의 ‘재’는 ‘고개’를 뜻하는...
-
세종특별자치시 주민들이 마을 주산의 산신에게 마을 평안, 주민 무탈, 농사 풍년, 짐승 피해 예방 등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산신제는 누가 어떠한 목적으로 지내는가에 따라 의례 수행 방식이 다르다. 개인이 기자(祈子)[아들 낳기를 기원하는 일]나 자녀건강 등 가정사를 기원할 경우는 비손[두 손을 비비면서 기원하는 가장 간단한 무속의례]이 고사방식으로 수행되고, 상사(喪...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물품을 제공·가공하는 기업체를 집단적으로 수용·배치하기 위하여 계획을 세워 조성한 지역. 세종특별자치시는 면적이 465㎢에 이르는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특별자치시이다. 인구는 약 32만 명으로 인구 증가율 1위, 출생률 1위를 나타내고 있다. 국토 중심부에 위치하여 전국 주요 도시에 2시간 내외로 연결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실질적...
-
세종특별자치시 에 속한 법정동. 산울동은 산울타리에서 유래한 한글 명칭으로 푸르고 포근한 주거단지를 의미한다. 산울동은 빗돌마을로도 불린다. 갈운리에 위치한 빗돌거리는 돌로 만든 할아버지 미륵과 할머니 미륵이 있는 양지말이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 조선시대에는 연기현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기...
-
세종특별자치시 주민들이 마을 주산의 산신에게 마을 평안, 주민 무탈, 농사 풍년, 짐승 피해 예방 등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산신제는 누가 어떠한 목적으로 지내는가에 따라 의례 수행 방식이 다르다. 개인이 기자(祈子)[아들 낳기를 기원하는 일]나 자녀건강 등 가정사를 기원할 경우는 비손[두 손을 비비면서 기원하는 가장 간단한 무속의례]이 고사방식으로 수행되고, 상사(喪...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 속한 법정리. 산학리는 장군면의 남동부에 있으며, 봉안리·은용리·금암리와 맞닿아 있는 마을이다. 산학(山鶴)이라는 명칭은 예부터 산학리의 산에 학이 많이 날아다닌다 하여 붙이게 되었다. 산학리는 백제시대 때 웅천, 신라시대 때 웅주에 속하였다. 고려시대 때는 공주목에 해당하는 마을이었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공주군 장척면의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에서 음력 정월 보름날 동틀 무렵 농기에 풍년을 비는 고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에서는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날 동틀 무렵에 한 해 농사의 풍년과 마을 전체의 안과태평(安過太平)을 위하여 기고사를 지낸다. 매년 유사를 정하여 유사의 집 앞에 농기(農旗)를 세우고 정성을 드렸다. 10여 년 전부터는 마을회관 앞에 농기를 세우는...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은용리에 있는 저수지.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은용리에 속하여 있던 저수지였으나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인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으로 변경되었다. 은룡저수지의 제방 구조는 흙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홍수 조절 구조는 여수토(餘水吐)[펌프로 준설한 토사를 물과 함께 배사관을 통하여 사토장으로 보내는 출구]로 구성되어...
-
세종 지역에서 살이 낀 사람을 대상으로 액살을 제거하여 주는 무속 의례. 살(煞)은 사람이 상황이나 때에 따라 겪게 되는 일종의 기운이나 운수이다. 보통 액운을 살이라고 하지만 좋은 운수를 뜻하는 길살도 있다. 살의 종류는 재살(災煞), 겁살(劫煞), 역마살(驛馬煞), 반안살(攀鞍煞), 육해살(六害煞), 화개살(華盖煞), 망신살(亡身煞), 천살(天煞), 지살(地煞) 등...
-
1905년 충청도 각 고을의 인물에 대한 사적을 모아 기록한 책. 세종 지역 출신의 유학자,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록한 책이다. 진시책의 후손 진병갑이 2006년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했다. 장세오(張世五)와 윤대영(尹大榮)이 편집하여 간행하였다. 장세오와 윤대영의 생몰년과 활동 사항은 확인할 수 없다. 1905년경 충청도 관찰사였던 이건하(李乾...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서 발원하여 금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삼성천 주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흑운모화강암·반상편마상화강암과 선캄브라아시대 흑운모편마암·호상편마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삼성천은 상류에서 산지 사이를 곡류하며 흐르고 하천 양안은 퇴적물로 이루어진 모래톱과 수변식생이 어우러져 하천습지가 발달하였다. 삼성천 주변에는 평야와 낮은...
-
1919년 3월과 4월 세종 지역에서 전개된 만세 시위 운동. 전의면에서는 1919년 3월 13일부터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신정리 농민 이수욱이 광무황제 국장에 참례하고 3월 6일 귀향하여 동지들을 규합하였다. 3월 13일 전의시장에서 130명이 만세시위를 전개하고 참여한 23명이 일경에 잡혀 갔다. 4월 21일 유천리(柳川里)에서 주민 1명이 단독 만세시위를...
-
세종 지역에서 개인의 사주를 기초로 운명이나 길흉을 점쳐 삼재에 들었을 경우 풀어 내는 무속 행위. 삼재란 수재(水災)·풍재(風災)·화재(火災)를 말한다. 역서의 12간지 주기법을 기초로 삼재의 들고 남을 확인한다. 개인의 사주(四柱)[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에 근거하여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점]를 바탕으로 삼재를 확인하여 삼재에 든 것이 확인되면 삼재를 해소하기 위하여 굿...
-
세종 지역에서 철을 이용하여 도구로 사용하게 된 때부터 역사시대 이전까지의 시대. 일반적으로 철기시대(鐵器時代)는 철(鐵)을 도구의 주 재료로 사용한 시대이며, 철기는 청동기를 잇는 새로운 금속기로 인류가 도시나 국가를 형성한 문명단계에 들어서면서 등장하였다. 철기 사용은 인간의 생활문화 양상을 여러모로 변화시켰다. 특히 철제 농공구의 출현으로 농업이 크게 발달하면서 농...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에 있는 이상을 기리기 위해 조선 후기에 세운 사당. 문목사(文穆祠)는 충청도 전의현에 조선 후기의 학자 타우(打遇) 이상(李翔)[1620~1690]을 모신 미사액 서원인 뇌암서원의 다른 이름이다. 각종 기록에 뇌암사우(雷巖祠宇), 뇌암서원(雷巖書院), 뇌암향사(雷巖鄕祠), 삼현사(三賢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1865년 흥선대원군...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봉산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향나무. 연기 봉산동 향나무는 조선 중종 때 최완이 봉산동 지역에 정착한 뒤 숨지자, 최완의 아들 최중룡(崔重龍)이 서울에서 내려와 시묘살이를 하고 효성을 후손에게 보이기 위하여 심었다고 전하여진다. 향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정원수 등으로 널리 심어져 왔으며 향의 원료나 가구의 원료...
-
고려 후기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의 정좌산 전투에서 활약한 무신. 1291년 5월 2일 연기현 정좌산에 주둔한 몽골의 반란군 합단적(合丹賊) 무리를 기습 공격하여 궤멸 상태로 몰아넣었으며 이후 죽전으로 도망간 잔적을 추격, 소탕한 공신이다. 김흔(金忻)[1251~1309]은 고려조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의 둘째 아들이다. 본관(本貫)은 안동(安東)이다. 어릴 적...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전월산에서 상여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상여바위」는 고려가 망한 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전월산에 들어가 은둔 생활을 한 임난수가 고려를 그리워하다 앉아 죽은 바위를 상려암(想麗巖) 또는 상여(想麗)바위라고 불렀다는 암석 유래담이다. 2004년 조치원문화원에서 발행한 『남면향토지』에 실려 있다. 고...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상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법정리이며, 상1리[상리 북부, 위뗏집거리]와 상2리[상리 남부, 아래뗏집거리]로 나뉜다. 상리 동쪽에 조천이 있으며, 조천교를 통해 충청북도 청주시와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이다. 상리는 일제강점기에 마을이 형성되기 전에는 하천이었던 자리였다. 하천을 둑으로 막으면서 부지가...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리와 국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쇠꼬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도암리와 국곡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일명 새곳재라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도암1리 바깥 독골인 외촌에서 국곡리 국실 쪽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산의 형상이 소의 머리 모양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고 쇠를 캐내는 광산이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서 발원하여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조천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에서 발원하며 금강을 본류로 하고, 금강의 제1 지류인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세종특별자치시 중심 하천이다. 조천은 갈대와 억새풀이 무성하게 우거져 있어 새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라는 의미로 ‘새내’라고 불리었으며, 한자로 ‘조천(鳥川)’이라 하여 명칭이 붙게...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새롬동은 새로움의 준말로 생생하고 산뜻한 느낌이 있는 주거지역을 뜻하는 명칭이다. 새롬동은 새뜸마을로도 불리는데, 새롬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명칭 가운데 새뜸을 활용한 것이다. 송원리에 있었던 새뜸마을은 새로 닦은 터를 의미한다. 새롬동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과 웅천,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에 속했다. 191...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새뜸중학교의 교육 지표는 ‘따뜻한 감성 으뜸 실력, 참된 꿈을 실현하는 미래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꿈을 탐색하기 위해 심신이 건강한 사람’,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 ‘기초 개념을 토대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잠재능력을 계발하여 미래를 개척하는 사람 육성...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새뜸중학교의 교육 지표는 ‘따뜻한 감성 으뜸 실력, 참된 꿈을 실현하는 미래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꿈을 탐색하기 위해 심신이 건강한 사람’,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 ‘기초 개념을 토대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잠재능력을 계발하여 미래를 개척하는 사람 육성...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꿈과 생각이 자라고 배움이 즐거운 사랑의 새뜸학교이다. 교훈은 꿈이 있는 학생, 마음이 따뜻한 친구’이다. 2017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다. 2017년 5월 1일 8학급이 증설되었다. 2017년 6월 1일 특수 1학급이 증설되었다. 2019년 3월 1일 26학급[특수학급 2학급...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꿈과 생각이 자라고 배움이 즐거운 사랑의 새뜸학교이다. 교훈은 꿈이 있는 학생, 마음이 따뜻한 친구’이다. 2017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다. 2017년 5월 1일 8학급이 증설되었다. 2017년 6월 1일 특수 1학급이 증설되었다. 2019년 3월 1일 26학급[특수학급 2학급...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뜸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꿈과 생각이 자라고 배움이 즐거운 사랑의 새뜸학교이다. 교훈은 꿈이 있는 학생, 마음이 따뜻한 친구’이다. 2017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다. 2017년 5월 1일 8학급이 증설되었다. 2017년 6월 1일 특수 1학급이 증설되었다. 2019년 3월 1일 26학급[특수학급 2학급...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새롬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상상력·창조력과 인성을 겸비한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조화로운 인성으로 품격을 아우르는 새롬인, 노력을 통한 창의성으로 실력을 갖추는 새롬인, 스스로 행복한 큰 꿈과 진로를 여는 새롬인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자랑스런 한꿈’, ‘아름다운 품...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새롬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상상력·창조력과 인성을 겸비한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조화로운 인성으로 품격을 아우르는 새롬인, 노력을 통한 창의성으로 실력을 갖추는 새롬인, 스스로 행복한 큰 꿈과 진로를 여는 새롬인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자랑스런 한꿈’, ‘아름다운 품...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새롬동은 새로움의 준말로 생생하고 산뜻한 느낌이 있는 주거지역을 뜻하는 명칭이다. 새롬동은 새뜸마을로도 불리는데, 새롬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명칭 가운데 새뜸을 활용한 것이다. 송원리에 있었던 새뜸마을은 새로 닦은 터를 의미한다. 새롬동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두잉지현과 웅천, 고려시대에는 공주목과 청주목에 속했다. 191...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새롬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따뜻한 인성으로 서로 존중하며 성장하는 창의 융합인’이다. 교육 목표는 ‘상상력과 바른 품성으로 미래사회에 기여하는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꿈과 끼를 키우며 배움을 즐기는 실력 있는 학생, 감·사·함을 실천하는 따뜻하고 바른 인성의 새롬인, 즐거운 수업과 행복한 배움을...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새롬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따뜻한 인성으로 서로 존중하며 성장하는 창의 융합인’이다. 교육 목표는 ‘상상력과 바른 품성으로 미래사회에 기여하는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꿈과 끼를 키우며 배움을 즐기는 실력 있는 학생, 감·사·함을 실천하는 따뜻하고 바른 인성의 새롬인, 즐거운 수업과 행복한 배움을...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롬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 인성의 조화로운 발달로 글로벌 인재를 만들어 가는 새롬교육’이다. 교훈은 ‘새롭게·슬기롭게·다함께’이다. 2017년 3월 2일 개교하였고 2017년 5월 1일 33학급으로 편성이 되었으며 2017년 9월 1일 40학급으로 편성이 되었다. 2018년 3월 1일 43학급으로 편성되었으며, 2019...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롬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 인성의 조화로운 발달로 글로벌 인재를 만들어 가는 새롬교육’이다. 교훈은 ‘새롭게·슬기롭게·다함께’이다. 2017년 3월 2일 개교하였고 2017년 5월 1일 33학급으로 편성이 되었으며 2017년 9월 1일 40학급으로 편성이 되었다. 2018년 3월 1일 43학급으로 편성되었으며, 2019...
-
세종특별자치시 새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롬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 인성의 조화로운 발달로 글로벌 인재를 만들어 가는 새롬교육’이다. 교훈은 ‘새롭게·슬기롭게·다함께’이다. 2017년 3월 2일 개교하였고 2017년 5월 1일 33학급으로 편성이 되었으며 2017년 9월 1일 40학급으로 편성이 되었다. 2018년 3월 1일 43학급으로 편성되었으며, 2019...
-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한 법정동. 소담동은 생김새가 탐스럽고, 행복이 가득한 풍요로운 주거 단지를 의미하는 한글 명칭이다. 소담동은 새샘마을로도 불리는데, 소담동 지역의 고유어 전래 명칭 가운데 새샘골을 활용한 것이다. 석삼리의 새삼골은 새로 판 샘이 있는 골짜기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소담동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소비포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웅천주, 고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와 부강면 부강리를 이어 주던 금강의 나루. 부용나루의 명칭은 부용산(芙蓉山)과 부용강(芙蓉江)에서 유래하였다. 부용나루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부용리(芙蓉里)에서 부강면 부강리[옛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를 잇던 금강의 나루였다. 연꽃이 물에 뜬 생김새를 한 부용산 아래의 마을인 부용리와 금강 건너 부강리를 잇던...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새움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새로운 배움이 움트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운 학교’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의 열정, 힘찬 도전, 올바른 신념을 갖춘 새움인’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올바른 삶을 생각하는 지혜로운 학생[지성], 야망을 품어 창조적인 미래를 꿈꾸는 학생[야망], 타인을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진...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새움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새로운 배움이 움트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운 학교’이고, 교육 지표는 ‘배움의 열정, 힘찬 도전, 올바른 신념을 갖춘 새움인’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올바른 삶을 생각하는 지혜로운 학생[지성], 야망을 품어 창조적인 미래를 꿈꾸는 학생[야망], 타인을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진...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를 가꾸는 배움, 너와 소통하는 슬기로움, 우리가 만들어 가는 조화로움’이다. 교훈은 ‘즐거운 배움으로 행복한 나를 가꾸는 학교’이다. 2018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18년 5월 1일 1학급이 증설, 2018년 6월 1일 2학급이 증설, 2019년 3월 1일 3학급이 증설되어 18학급이 되...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를 가꾸는 배움, 너와 소통하는 슬기로움, 우리가 만들어 가는 조화로움’이다. 교훈은 ‘즐거운 배움으로 행복한 나를 가꾸는 학교’이다. 2018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18년 5월 1일 1학급이 증설, 2018년 6월 1일 2학급이 증설, 2019년 3월 1일 3학급이 증설되어 18학급이 되...
-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새움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나를 가꾸는 배움, 너와 소통하는 슬기로움, 우리가 만들어 가는 조화로움’이다. 교훈은 ‘즐거운 배움으로 행복한 나를 가꾸는 학교’이다. 2018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18년 5월 1일 1학급이 증설, 2018년 6월 1일 2학급이 증설, 2019년 3월 1일 3학급이 증설되어 18학급이 되...
-
세종 지역에서 마을 주민들이 정월에 대동샘의 용신에게 마을 평안, 농사 풍년, 주민 건강을 기원하는 제사. 세종 지역 일부에서는 샘제를 샘고사, 용왕제, 유왕제, 유황제 등으로 부른다.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샘제의 시원은 아주 오래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용 두 마리가 금성 우물 속에서 나타났다”고 하는 『삼국사기』의 용현정(龍現井) 기사에서 보듯이 우물에...
-
세종 지역에서 마을 주민들이 정월에 대동샘의 용신에게 마을 평안, 농사 풍년, 주민 건강을 기원하는 제사. 세종 지역 일부에서는 샘제를 샘고사, 용왕제, 유왕제, 유황제 등으로 부른다.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샘제의 시원은 아주 오래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용 두 마리가 금성 우물 속에서 나타났다”고 하는 『삼국사기』의 용현정(龍現井) 기사에서 보듯이 우물에...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은 1960년 당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碑巖寺)에서 다른 2점의 불비상(佛碑像)과 함께 발견되었다. 발견된 비상 중 크기가 가장 작다. 1962년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으며, 현재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문리 문재 마을 주민들이 서낭신에게 마을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고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송문리 문재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열나흘 오후부터 저녁까지 서낭고사·길고사·샘고사·기고사를 지낸다. 주민들은 의례 과정을 통하여 마을의 안녕과 농사 풍년을 기원한다. 제의 수행을 위하여 정초에 제관을 선정한다. 동회에서 주민 가운데 깨끗한 사람을...
-
세종특별자치시의 개인이나 마을공동체가 서낭당의 서낭신을 대상으로 소망을 기원하며 올리는 제의. 서낭 또는 서낭당은 마을로 연계된 길목이나 고개에 많았다. 세종특별자치시 서북부 지역은 산악이 발달하여 유난히 고갯길이 많아 고갯길을 지나다 보면 쉽게 서낭을 만나게 된다. 사람들은 서낭을 지나면서 돌을 주워 던지거나 침을 세 번 뱉으며 지나친다. 이렇게 하여야 “탈이 없고 운...
-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 대사동에서 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 장승에 지내는 마을 제사. 대사동은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에서는 윤년에 한 차례 장승제를 지낸다. 제삿날은 음력 정월 열나흘이다. 마을 어귀에는 본래 숲이 무성하였다. 마을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려면 왼편에 천하대장군, 오른편에 지하대장군을 지나야 한다. 주민들은 마을의...
-
세종특별자치시의 개인이나 마을공동체가 서낭당의 서낭신을 대상으로 소망을 기원하며 올리는 제의. 서낭 또는 서낭당은 마을로 연계된 길목이나 고개에 많았다. 세종특별자치시 서북부 지역은 산악이 발달하여 유난히 고갯길이 많아 고갯길을 지나다 보면 쉽게 서낭을 만나게 된다. 사람들은 서낭을 지나면서 돌을 주워 던지거나 침을 세 번 뱉으며 지나친다. 이렇게 하여야 “탈이 없고 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속한 법정리. 서정리(西亭里)는 천서리·산음리·관정리를 병합하고 천서와 관정의 이름을 따서 서정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감실·관정골·내서·평전·산양마을 등이 있다. 감실마을은 감나무가 무성한 지역이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관정골마을은 서정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마을에 늙은 느티나무가 여러 그루가 있어 강정골 또는 과정골이라 하였다고...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서창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鳥致院邑)에 있는 법정리이다. 자연마을 새주막거리가 있는 서창1리와 자연마을 내창리·원마루·모과나무골·돌마루가 있는 서창2리가 포함된다. 서곡(瑞谷)리와 내창(內倉)리의 지명에서 글자를 따와 ‘서창’이라 하였다. 특히 서창1리는 경부선 철도와 충북선 철도 사이에 있는 마을로, 1...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있는 고속도로 휴게소·주유소 운영 및 농산물 도매업체. 회사 비전 및 목표는 첫째 악이 필요 없는 건강한 세상, 둘째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회사, 셋째 건강한 삶을 선도하는 회사이다, 1989년 7월 법인을 설립하여 식품 제조 가공업을 시작으로 1990년 식품제조가공업을 허가 받았다. 2004년 이천(하)휴게소, 죽전(상)휴게소 등 휴게주유사업본...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있는 고속도로 휴게소·주유소 운영 및 농산물 도매업체. 회사 비전 및 목표는 첫째 악이 필요 없는 건강한 세상, 둘째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회사, 셋째 건강한 삶을 선도하는 회사이다, 1989년 7월 법인을 설립하여 식품 제조 가공업을 시작으로 1990년 식품제조가공업을 허가 받았다. 2004년 이천(하)휴게소, 죽전(상)휴게소 등 휴게주유사업본...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안리에 있는 경부선 기차역. 서창역의 역명은 서창리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서창역은 1978년 경부선과 충북선 철도를 직접 연결하는 오송선이 분기하는 신호장역으로 건립되었다. 서창역은 경부선 기차역으로 전동역과 조치원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 기점 126.1km 지점에 있다. 경부선과 오송선의 신호장으로, 경부선과 충북...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에 속한 법정리. 석곡리(石谷里)는 마을 앞에 선돌이 있어 선돌배기 또는 돌꽂이라 하였는데 후에 석곡리로 개칭되었다. 자연 마을로는 중석곡마을·상석곡마을·하석곡마을 등이 있다. 돌꽂이마을은 중석곡이라고도 불리는데, 돌꽂이 중앙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상석곡마을은 돌꽂이 북쪽에, 하석곡마을은 남쪽에 자리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석곡리에서 정월에 마을 주산인 국사봉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석곡리 사람들은 예로부터 국사봉 산신에게 마을 평안과 주민 발복을 기원하며 제사를 지내었다. 매년 정월 초사흘과 보름 사이의 길일을 택하여 떡 한 시루, 돼지머리, 북어포, 삼색실과를 차려놓고 정성을 드렸다. 한때 소를 잡아서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신안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법정리로 신안1·2·3·4리로 구성되어 있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있어서 일찍부터 원룸촌이 형성된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는 연기현 북일면에 속한 지역으로, 섶이 무성하여 섶골이라 하였다. 섶골이 변하여 석골 또는 신동이라 하였고, 신동리와 안터마을을 합성하여 신안(新安)이라 칭하였...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석교리 주민들이 괴화산 산신에게 지내는 제사.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석교리 주민들은 매년 10월 1일 괴화산 산신에게 마을 안녕과 주민 발복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낸다. 주민 가운데 깨끗한 사람으로 제관을 정하고 돼지 한 마리, 시루떡, 북어, 삼색실과, 제주 등을 차려 놓고 제사를 지낸다. 조선 시대 마을에 돌림병이 돌 때 한 승려가 “마...
-
세종 지역에서 돌을 이용하여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 석기시대(石器時代)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랫동안 이어져 온 시대로, 도구(道具)를 기준으로 시대를 구분할 경우 가장 앞선 시기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구석기(舊石器)·신석기(新石器) 시대로 구분한다. 덴마크의 톰센이 삼시대법(三時代法)에서 정의한 석기시대를 영국의 존 러벅이 다시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로 구분한...
-
조선시대 세종 지역 출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와 병마절도사 등 고위직을 지낸 무신. 류형(柳珩)[1566~1615]의 본관(本貫)은 진주(晋州), 자는 사온(士溫), 호는 석담(石潭)이다. 27세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창의사 김천일을 따라 강화에서 활동하다가 선조가 있는 의주 행재소로 가서 선전관에 임명되었다. 1594년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선조의 친유(親諭)[임금이나 군...
-
세종 지역에서 석불석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세종특별자치시의 석불석탑설화는 불교 이념을 넘어 민간신앙 대상으로 토착화되어 영험함을 믿고 있다. 석불·석탑에 지성을 올리면 복이 오고 함부로 대하면 화를 입는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석불과 석탑은 불교나 민간신앙의 기도·제의 대상이다. 차별점을 두지 않고 같은 예배 대상으로 취급한다. 이러한 석불·...
-
조선 후기 세종 지역에 묘를 쓴 문신. 이경억(李慶億)[1620~1673]은 본관(本貫)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석이(錫爾), 호는 화곡(華谷)이다. 1644년 25세 때 정시문과에서 장원급제한 후 고위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경윤(李燝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대건(李大建)이다. 아버지는 판서 이시발(李時發)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 신응거(申應榘)의 딸이...
-
일제강점기 세종 지역에서 상업으로 기반을 닦은 경제인이자 교육사업가. 아버지는 김한중(金漢重)이고 어머니는 강릉진씨(江陵陳氏)이다. 청암(淸巖) 김원근(金元根)이 친형이다. 경상북도 경주에서 출생한 김영근(金永根)[1888~1976]은 동학농민군 봉기가 일어난 1894년 가세가 기울어 만 6세의 나이에 행상 김국선을 따라 청주로 이주하여 살았다. 이후 10세에 군산·이리...
-
1983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학부생들이 주도한 중·고등 검정고시 대비 야간 교육 시설. 석탑이라는 말의 의미는 ‘지성’[고려대의 상징]이다. 교육 기회가 없었거나 교육 시기를 놓친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무상교육을 제공하여 ‘피교육 대상이 없어 야학이 사라지는 날’을 목표로 ‘참 사랑, 참 배움, 참 가르침’이라는 교훈을 실천하고 있다. 1983년 3월 2일 충청남...
-
세종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실을 문자로 기록하기 이전의 시대. 선사시대(先史時代)는 역사기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시기나 문자가 해독된 고대 문명 이전의 시대로, 역사시대라는 용어와 대칭되는 개념이다. 19세기 과학주의 사고에 기초하여 지질학 개념이 만들어졌다. 생물 변화에 대한 진화이론이 성립되고 인류와 문화의 진화 과정에 대한 관념이 생겨나면서 선사시대라는 개...
-
김상을 시조로 하고 김삼섭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세종특별자치시의 예안김씨는 1600년대에 동면 합강리에 입향하여 살기 시작하였으며 입향조는 김삼섭이다. 시조 김상(金尙)은 고려 때 예안(禮安)의 호장(戶長)을 지냈다. 예안의 옛 이름이 선성(宣城)이었기 때문에 선성김씨(宣城金氏)라고도 한다. 동면 합강리 예안김씨 입향조는 좌부승지...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 영평사에 소장된 승려 고봉의 법문집. 『고봉화상선요』는 고려시대부터 교육 교재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사집과(四集科)[승려의 수행과 교육을 위한 강원(講院) 과정]의 세 번째 과목으로 채택되어 교재로 사용하였다. 고봉(高峰)[1238~1295]은 원나라의 승려이다. 속성은 서(徐), 이름은 원묘(原妙)이다. 쑤저우[蘇州]...
-
세종 지역에서 옛날부터 전승되어 온 서사적 구조를 지닌 이야기. 설화는 일반적으로 신화, 전설, 민담을 의미한다. 설화는 일정한 서사적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입에서 입을 거쳐 오랜 기간 구비 전승되어 왔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설화에서는 지역 신화를 찾아볼 수 없으나 전설과 민담이 전승되어 왔다. 특히 전설은 일정한 증거를 제시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되는 구조를 하...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성강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이다. 자연마을로는 성강, 남산소, 부엉더미, 함전마을 등이 있다. 성강은 성강산성(聖岡山城) 밑에 있다 하여 붙은 지명이다. 금남면 성강리(聖岡里)는 조선 후기에 공주목 반포면(反浦面)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공주군 반포면 남산리(南山里),...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국의 동양선교회를 모체로 하는 개신교의 한 분파. 성결교는 여타 개신교 교단과 달리 한국 사람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성결교는 일본 도쿄에서 동양선교회 성서학원을 졸업한 김상준과 정빈이 1907년 5월 서울에 ‘동양선교회 복음전도관’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성결교’라는 명칭은 1921년 9월 ‘동양선교...
-
세종 지역에서 산성과 성곽에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성곽설화’는 백제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유구한 역사 속에서 외세(外勢)를 막아내고 백성을 다스리는 수단으로 축조·보수되어 온 성곽이나 산성에 전하는 전설이다. 과거 연기 지역은 역사·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크고 작은 성곽 유적이 많다. 유적이 많은 만큼 전설도 여러 유형으로 전하고 있다. 충청남도 지방을...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에 있는 김연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김연(金璉)[1712~1790]은 본관이 강릉이며, 자는 성기(聖器)이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 지역인 충청도 연기군 서면 청라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김익려(金益礪)는 무과에 급제하였고, 어머니는 배계도(裵繼度)의 딸인 남해배씨(南海裵氏)이다. 김연의 부인은 승의랑(承義郞...
-
일제강점기 활동하였던 유학자이자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의 병산사에 봉안된 인물. 성기운(成璣運)[1877~1956]은 일제강점기 활동하였던 유학자로 한말의 유학자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의 문인으로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났다. 1917년 5월 24일 호적령(戶籍令)에 반대하여 호적을 거부하다 네 차례에 걸쳐 구속과 석방을 반복하였다. 1928년에는...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세종대성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적성과 소질을 계발하여 창의적인 인재[창의인], 자율적으로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인재[자율인], 비전을 제시하여 꿈과 끼를 실현하는 인재[실력인],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인간...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어진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나’를 사랑하고 ‘너’를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사람[자주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인성인],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창의인], 긍정적 사고로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어진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나’를 사랑하고 ‘너’를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행복배움터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사람[자주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인성인],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사람[창의인], 긍정적 사고로 몸과 마음이 조화로운...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문신으로 생육신 성담수의 동생. 성담년(成聃年)은 조선 전기에 문과 급제한 문신으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세거하는 창녕성씨 입향조이다.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다. 성담년의 본관(本貫)은 창녕(昌寧)이다. 자는 인수(仁叟), 호는 정재(靜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예문관대제학 성석용(成石瑢)이며, 할아버지는 성개(成槪)이다....
-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 문신으로 단종을 위하여 절개를 지킨 생육신의 한 사람. 성담수(成聃壽)는 1456년 단종 복위가 실패한 후 벼슬을 버리고 선영(先塋)[조상의 무덤 또는 조상 무덤 근처의 땅]이 있는 경기도 파주에 은거하며 끝까지 절개를 지킨 생육신 중 한 사람이다. 성담수의 본관(本貫)은 창녕(昌寧)이다. 자는 인수(仁叟), 호는 정재(靜齋)이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속한 법정리. 성덕리는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에 있는 법정리이다. 성덕리의 자연마을로는 동호마을, 한삼마을 등이 있다. 성덕리는 옛날부터 덕을 쌓아서 많은 사람들을 깨우치게 한 이들이 많이 산다고 하여 붙인 지명이다. 자연촌락 명칭인 동오리는 ‘동호리’라고도 불린다. 동호리는 한삼 북쪽에 있는 마을로 계룡천이 마을 앞을 흘렀기...
-
배위준을 시조로 하고 배천의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배위준(裵位俊)을 시조로 하고 배유(裵裕)[1403~1472]를 파조로 하는 성산배씨는 배천의(裵天義)[1584~1654]가 16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입향한 이래 후손들이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성산배씨는 성주배씨(星州裵氏)라고도 한다. 시조는 배위...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성산성(城山城)은 일명 ‘개소문성’, ‘구들기성’이라고도 한다. 산성은 속칭 성재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쪽과 서쪽을 향해 돌출시켜 축조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그러나 석축성벽으로 이루어진 내성 이외에도 바깥쪽에 토루(土壘)[방어 겸 생활을 하기 위하여 둘레를 흙으로 쌓아올려 지은 울타리]로 이루어진 외성...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등곡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성산성(城山城)은 일명 ‘개소문성’, ‘구들기성’이라고도 한다. 산성은 속칭 성재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쪽과 서쪽을 향해 돌출시켜 축조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그러나 석축성벽으로 이루어진 내성 이외에도 바깥쪽에 토루(土壘)[방어 겸 생활을 하기 위하여 둘레를 흙으로 쌓아올려 지은 울타리]로 이루어진 외성...
-
조선 전기 단종복위운동에 힘쓰다 죽은 사육신 중 한 명으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문절사에 제향된 인물. 성삼문(成三問)[1418~1456]의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이후 박팽년·허조 등과 단종복위운동을 계획하다 실패하여 처형된 인물로 사육신 중 한 명이다. 충절의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사실...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있는 문절사에서 매년 10월 매죽헌 성삼문을 기리기 위하여 개최되는 제례행사. 충문공 매죽헌(梅竹軒) 성삼문(成三問)[1418~1456]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2000년 10월 성씨문중으로 이루어진 문절사발전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제례 형태로 시작되었다. 성삼문은 집현전 학사 출신으로, 고려사 편찬과 한글 창제 등 세종...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효자. 성이복(成爾復)[1713~1776]의 아버지는 성석장(成碩章)이고,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태한의 딸이다. 큰아버지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성규장(成奎章)에게 양자로 출계(出系)[양자로 들어가서 그 집의 대를 이음]하였다. 성이복은 효성이 지극하였다. 양부 성규장이 병들자 ‘하늘의 힘을 빌리는 수밖에 없다.’하고 집...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뒷산이 성(城)과 같아서 성재·성작골·도맥(道脈)이라고도 불렀는데 남양홍씨 학자 가운데 성제(性劑)라는 사람이 있어 마을을 성제로 많이 호칭하였다. 마을 명칭에서 제가 재로 바뀐 것은 한자 표기의 오류이다. 성제리에는 둥구리재, 서당골, 새말, 골말, 성뜸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둥구리재마을은 성제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뒷산이 성(城)과 같아서 성재·성작골·도맥(道脈)이라고도 불렀는데 남양홍씨 학자 가운데 성제(性劑)라는 사람이 있어 마을을 성제로 많이 호칭하였다. 마을 명칭에서 제가 재로 바뀐 것은 한자 표기의 오류이다. 성제리에는 둥구리재, 서당골, 새말, 골말, 성뜸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둥구리재마을은 성제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행산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산 정상부를 석축성벽으로 에워싼 테뫼식 석축 산성이다. 성재산성의 동쪽으로는 복두산성과 독안산성이 하나의 능선 상에 이어져 있어 연결된 형태를 보인다. 이들 산성은 서로 연계성이 있고 비슷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나 확실하지는 않다. 성재산성은 복두산성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끝부분에 위치하고...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행산리에 있는 삼국시대 테뫼식 산성. 산 정상부를 석축성벽으로 에워싼 테뫼식 석축 산성이다. 성재산성의 동쪽으로는 복두산성과 독안산성이 하나의 능선 상에 이어져 있어 연결된 형태를 보인다. 이들 산성은 서로 연계성이 있고 비슷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나 확실하지는 않다. 성재산성은 복두산성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끝부분에 위치하고...
-
남북국시대와 고려 전기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고려의 개국공신. 초명은 이치(李齒)이다. 충청도 공주목 전의현(全義縣)[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전동면 일대] 출신으로, 전의이씨(全義李氏) 시조(始祖)이다. 전의이씨 시조 이도(李棹)는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후백제 정벌을 도왔다. 후삼국 쟁패기에 왕건의 주력 부대가 금강(錦江)에 이르렀을 때 마침 홍수로 강물이 불어나...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속한 법정리. 뒷산이 성(城)과 같아서 성재·성작골·도맥(道脈)이라고도 불렀는데 남양홍씨 학자 가운데 성제(性劑)라는 사람이 있어 마을을 성제로 많이 호칭하였다. 마을 명칭에서 제가 재로 바뀐 것은 한자 표기의 오류이다. 성제리에는 둥구리재, 서당골, 새말, 골말, 성뜸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둥구리재마을은 성제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
배위준을 시조로 하고 배천의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배위준(裵位俊)을 시조로 하고 배유(裵裕)[1403~1472]를 파조로 하는 성산배씨는 배천의(裵天義)[1584~1654]가 1600년대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입향한 이래 후손들이 현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성산배씨는 성주배씨(星州裵氏)라고도 한다. 시조는 배위...
-
조선 후기 세종 지역 출신의 무신이자 효자. 박이명(朴履命)[1823~1890]은 본관이 고령(高靈)이고, 자는 성지(性之)이다. 1857년(철종 8) 무과에 급제한 뒤 남포현감을 지냈다. 박이명은 영성군 박문수(朴文秀)[1691~1756]의 증손이자 박승규의 아들이며, 처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대장의 딸이다. 박이명은 어려서부터 먹을 것이 있으면...
-
조선시대 세종 지역에 있던 김제역과 금사역이 소속된 찰방역. 성환도(成歡道)는 조선시대 때 금정도(金井道), 시흥도(時興道), 이인도(利仁道) 등과 함께 충청남도 지역에 설치된 4개의 찰방역(察訪驛) 중 하나이다. 본역인 성환역과 속역 11개를 관할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의 김제역과 연기면 해밀리의 금사역이 조선시대 때 성환도의 속역 11개에 속하였다. 조선...
-
조선 전기 세종 지역에 정착한 창녕성씨 입향조이자 단종복위운동에 참여한 문신. 성희(成熺)[?~1464]는 창녕성씨로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에 창녕성씨가 자리 잡게 된 계기를 마련한 인물이다. 5촌 조카 성삼문이 세조에게 처형된 후 일족이 모두 죽임을 당하는 과정에서 성희도 혹독한 고문을 당하였고 김해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달전리에 터를 잡았다. 성희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속한 법정리. 신안리는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법정리로 신안1·2·3·4리로 구성되어 있다.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가 있어서 일찍부터 원룸촌이 형성된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는 연기현 북일면에 속한 지역으로, 섶이 무성하여 섶골이라 하였다. 섶골이 변하여 석골 또는 신동이라 하였고, 신동리와 안터마을을 합성하여 신안(新安)이라 칭하였...
-
세종 지역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계속하여 살아오고 있는 성씨. 우리 역사상 성씨의 유래를 보면 이미 백제시대에 8대 성(姓)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세종특별자치시의 성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조선 전기에 편찬된 지리지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지리지는 당대의 상황을 반영하는 객관적인 기록이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성씨 기록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조선시대 연기현과 전의현 외에 지금...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에 있는 자동차용 전기장치 제조기업. ‘최고의 기술력으로 최고의 제품을 만든다’는 신념으로 자동차 문화를 선도하는 미래지향적인 기업,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을 실현하고자 한다. 1987년에 참피온 스파크플러그코리아(주)란 상호로 당시 세계 최대의 다국적 점화장치 제조회사이던 미국의 챔피언 스파크플러그사와 합작법인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에 있는 자동차용 전기장치 제조기업. ‘최고의 기술력으로 최고의 제품을 만든다’는 신념으로 자동차 문화를 선도하는 미래지향적인 기업,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을 실현하고자 한다. 1987년에 참피온 스파크플러그코리아(주)란 상호로 당시 세계 최대의 다국적 점화장치 제조회사이던 미국의 챔피언 스파크플러그사와 합작법인으로 설립되었다. 1989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마을 입구에 있는 선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 있다. 논 한가운데 위치한 선돌[立石]은 높이 220㎝, 너비 40~50㎝, 두께 20㎝ 정도의 크기로 화강석 계통의 자연석으로 되어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또 다른 1기는 높이 215㎝, 너비 60㎝, 두께 20㎝로 논에 있는 선돌과 규모가 비슷하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 진...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 마을 입구에 있는 선돌.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국곡리에 있다. 논 한가운데 위치한 선돌[立石]은 높이 220㎝, 너비 40~50㎝, 두께 20㎝ 정도의 크기로 화강석 계통의 자연석으로 되어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또 다른 1기는 높이 215㎝, 너비 60㎝, 두께 20㎝로 논에 있는 선돌과 규모가 비슷하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 진...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기룡리에 있는 조선 후기 남양홍씨 5대 9효를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 연서 효교비는 조선시대 5대에 걸쳐 9명의 효자가 나온 남양홍씨 집안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이들 9명의 효자들은 홍연경(洪延慶)[1579~1647]과 아들 홍정설(洪廷卨)[1615~1671], 손자 홍우적(洪禹績)[1634~1701]·홍우평(洪禹平)[...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위치한 도시 재생 기관.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재생지원센터는 2015년 9월 24일 개소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재생지원센터는 도시 내에 미발견된 자원을 발굴하고 성장 기반을 자생적으로 준비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지역 공동체와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의 특산품인 복숭아를 주제로 2003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복숭아 축제.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의 농·특산품인 복숭아를 소재로 한 지역 축제로, 세종조치원복숭아축제추진위원회에서 주관하여 2003년부터 매년 8월에 개최하고 있다. 매년 각기 다른 주제로 열리며, 2019년에 개최된 제17회 세종조치원 복숭아 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문화관광 육...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개항기 전통가옥. 세종 홍판서댁은 안채 대청에 적힌 상량문에 ‘崇禎紀元後四丙寅二月二十四日申時上樑’이라는 기록이 있어 1866년(고종 3)에 지은 집으로 확인된다. 정면 6칸 측면 3칸의 ‘ㄷ’자형 안채와 정면 6칸 측면 2.5칸의 ‘ㄷ’자형 사랑채가 마주 보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정남향의 ‘ㅁ’자형 평면을 구성하며, 사랑채보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전의 비암사 삼층석탑은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碑岩寺)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단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1982년에 복원 공사를 하면서 망실된 기단부를 보수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전체적으로 1층 탑신에 비하여 2~3층 탑신의 체감률이 크고, 옥개석 하단 받침이...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조선 전기 아미타여래좌상.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비암사 극락보전에 주존불로 봉안하고 있는 단독의 대형 소조여래좌상이다. 상호(相好)[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 표현이나 착의법, 신체 비례 등을 살펴보면 조선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의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은...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 괘불도. 전의 비암사 영산회 괘불탱화(全義卑岩寺靈山會掛佛幀畵)는 야외에서 설행되는 의식을 위하여 조성된 대형 불화로, 내용적으로는 영취산(靈鷲山)에서 설행된 석가모니불의 설법 장면을 묘사하였다. 중앙에 항마촉지인을 결한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협시인 문수·보현 보살과 사천왕, 2위의 보살이 배치되었다. 상단에...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축산리 송림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 팔상도의 초본. 『금남 송림사 팔상도 초본(錦南松林寺八相圖草本)』은 석가의 일생을 8폭의 그림으로 묘사한 불화초(佛畵草)이며, 현재 5장만 남아 있다. 화기나 제작자에 대한 묵서가 남아 있지 않아 제작 연대를 파악할 수 없지만 녹원전법상 오른쪽 하단에 ‘忠淸道 公州 摩谷寺’란 묵서가 남아 있어 마곡사와 관...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어서각 역사공원에 있는 조선시대 왕들의 친필이 봉안된 건물. 어서각(御書閣)은 조선의 태조(太祖)[1335~1408], 영조(英祖)[1724~1776], 정조(正祖)[1752~1800], 고종(高宗)[1852~1919]이 직접 쓴 글씨를 모신 서각(書閣)이다. 태조의 친필은 1395년(태조 4) 12월 22일 이성계의 두 번째...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 연화사에 봉안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는 칠존불비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모두 생천사지(生千寺址)라는 곳에서 가져온 것이라 한다. 생천사지는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 미륵보살 반가사유비상이 출토된 비암사와 산 하나를 두고 2㎞ 떨어진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생천사...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 연화사에 봉안된 통일신라시대 불비상. 세종시 연화사 칠존불비상은 충청남도 연기군 서면 쌍류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류리]의 절터에 있던 것을 지금의 연화사로 옮겨온 것이다. 연화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다른 불비상(佛碑像)[직육면체 형태로 전후좌우의 4면에 불상을 조각한 비석]의 조성 연대가 678년인 점을 감안할 때 같은 시기에...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산학리 영평사에 있는 조선 후기 나무로 조성한 나한상과 복장유물. 나한은 아라한(阿羅漢)의 줄임말로, 일체의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이루어 공양을 받을 만한 성자(聖子)를 뜻한다. 나한상은 16나한상과 여기에 항룡나한과 복호나한을 더한 18나한상, 500나한상이 주로 만들어진다. 사찰의 나한전, 응진전, 영산전 등에 봉안된다.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영...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개항기 전통가옥. 세종 홍판서댁은 안채 대청에 적힌 상량문에 ‘崇禎紀元後四丙寅二月二十四日申時上樑’이라는 기록이 있어 1866년(고종 3)에 지은 집으로 확인된다. 정면 6칸 측면 3칸의 ‘ㄷ’자형 안채와 정면 6칸 측면 2.5칸의 ‘ㄷ’자형 사랑채가 마주 보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정남향의 ‘ㅁ’자형 평면을 구성하며, 사랑채보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에 있는 조선 후기 결성장씨 문중 서당. 육영재(毓英齋)는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결성장씨(結城張氏) 문중에서 1600년대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서당으로, ‘송동서숙(松東書塾)’, ‘송동숙(松洞塾)’, ‘송남서당(松男書堂)’ 등으로도 불린다. 결성장씨 문중의 전언에 의하면 장훈(張訓)이 그의 세 동생과 함께 송곡리에 정착한 후 서숙...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송용리에 있는 조선 후기 결성장씨 문중 서당. 육영재(毓英齋)는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결성장씨(結城張氏) 문중에서 1600년대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서당으로, ‘송동서숙(松東書塾)’, ‘송동숙(松洞塾)’, ‘송남서당(松男書堂)’ 등으로도 불린다. 결성장씨 문중의 전언에 의하면 장훈(張訓)이 그의 세 동생과 함께 송곡리에 정착한 후 서숙...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평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관. 희망을 꿈꾸는 청소년, 창의성을 키우는 청소년들이 나눔을 실행하고 지역과 소통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청소년들에게 미래의 꿈을 키우는 희망 공간, 놀이·문화·휴식 공간, 나눔과 소통 공간, 자치 활동과 자율 학습 공간으로 지원되어 성장과 역량 계발을 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2014년 8월 청소년수련...
-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사회 아동의 건전 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1980년대 빈곤운동에 뿌리를 두고 자생적으로 시작된 공부방이 2004년 지역아동센터의 법제화로 센터 당 67만원의 국고 지원이 시작되었다. 2008년 급속한 양적 증가로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질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고, 2009년 센터평가를 통한 공공성 확보를 하게 되었다....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세종 지역 청소년들이 방과 후 여가와 문화를 즐기고 교류하는 장소. 세종 지역 청소년들과 함께하는 문화공동체, 청소년들의 꿈과 상상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세종시청소년문화의집은 세종 지역 청소년들이 민주적이고 자율적으로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청소년 문화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며, 청소년...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체육 단체. 세종특별자치시체육회는 시민들의 건강 증진과 건전한 여가 생활을 지원하고 전문 체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면서 연기군체육회에서 세종특별자치시체육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16년 1월 7일 세종특별자치시체육회와 세종특별자치시 생활체육회가 통합 출범하면서 현재의 세종...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부강리에 있는 개항기 전통가옥. 세종 홍판서댁은 안채 대청에 적힌 상량문에 ‘崇禎紀元後四丙寅二月二十四日申時上樑’이라는 기록이 있어 1866년(고종 3)에 지은 집으로 확인된다. 정면 6칸 측면 3칸의 ‘ㄷ’자형 안채와 정면 6칸 측면 2.5칸의 ‘ㄷ’자형 사랑채가 마주 보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정남향의 ‘ㅁ’자형 평면을 구성하며, 사랑채보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리 황룡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유물. 조선 후기인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구와 불상 내부에서 출토된 복장유물 11점이다. 복장유물은 후령통 1점과 『진언집』, 『육경합부』 등 불교전적 10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중형 목조불상 형태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신흥리에 있는 성인권 상담 시설. 세종 YWCA 성인권 상담센터는 성폭력·가정폭력 상담과 인권교육을 실시하는 전문 상담기관으로 개설·운영되고 있다. 성희롱 및 성폭력 행위의 근절을 위한 성폭력 사건 처리, 성폭력 피해자의 보호 및 치료,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실시를 목적으로 한다. 1999년 12월 조치원 YWCA에서 조치원 YWCA...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43호는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로 세종~고성선이라고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을 기점으로 장군면, 소정면을 지나 천안시, 아산시를 거쳐 경기도 서남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동북부 지역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남북 대각선...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락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미래를 주도할 창의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 이다. 가락초등학교는 2015년 9월 1일 9학급 130명으로 개교하였다. 2015년 11월 4일 11학급으로 편성되었다. 2016년 3월 1일 16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고,...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락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미래를 주도할 창의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 이다. 가락초등학교는 2015년 9월 1일 9학급 130명으로 개교하였다. 2015년 11월 4일 11학급으로 편성되었다. 2016년 3월 1일 16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고,...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락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미래를 주도할 창의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훈은 ‘꿈은 크게, 생각은 깊게, 행동은 바르게’ 이다. 가락초등학교는 2015년 9월 1일 9학급 130명으로 개교하였다. 2015년 11월 4일 11학급으로 편성되었다. 2016년 3월 1일 16학급[특수학급 1학급 포함]으로 편성되었고,...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번암리에 있는 세종지방경찰청 산하 치안행정기관. 세종특별자치시 관할의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법과 질서를 수호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1906년 일제 천안헌병대 분견소가 조치원역에 설치되었다가 1922년 조치원경찰서가 설치 운영되었으나 탄압적인 경찰권을 행사하였다. 1945년 10월 21일 미군정하에서 국립경찰로 재...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조화롭고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통하고 공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갖춘 학생[세계인],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민주적인 학생[민주인], 미래 가치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끊임 없이 쇄신하는 학생[건강인]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공립 남자 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조화롭고 창의적인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소통하고 공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갖춘 학생[세계인],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민주적인 학생[민주인], 미래 가치를 창조하는 창의적인 학생[창의인],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끊임 없이 쇄신하는 학생[건강인]을...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을 잇는 일반 국도. 국도 제43호는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 이르는 일반 국도로 세종~고성선이라고도 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을 기점으로 장군면, 소정면을 지나 천안시, 아산시를 거쳐 경기도 서남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동북부 지역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남북 대각선...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은 2014년 9월 15일 운영을 시작하였다.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중 충남고속, 코리아와이드경북을 제외한 모든 고속버스 회사가 운행된다. 2018년 11월 7일부로 코리아와이드경북이 세종특별자치시 기점 노선과 경유 노선 모두 KD운송그룹에 넘기면서 터미널을 떠났다. 서부산[사상] 노선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에 있는, 고용 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행정 기관. 세종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실업급여, 취업알선, 직업훈련 등 고용안정 사업과 출산휴가급여, 육아휴직급여 등 복지, 서민금융 서비스를 한 곳에서 지원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2001년 3월 2일 대전지방노동청 연기고용안정센터로 개설되었으며, 2012년 7월 1일 대전지방노동청 공주고용센터...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에 있는, 고용 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행정 기관. 세종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실업급여, 취업알선, 직업훈련 등 고용안정 사업과 출산휴가급여, 육아휴직급여 등 복지, 서민금융 서비스를 한 곳에서 지원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2001년 3월 2일 대전지방노동청 연기고용안정센터로 개설되었으며, 2012년 7월 1일 대전지방노동청 공주고용센터...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상리에 있는, 고용 지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행정 기관. 세종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실업급여, 취업알선, 직업훈련 등 고용안정 사업과 출산휴가급여, 육아휴직급여 등 복지, 서민금융 서비스를 한 곳에서 지원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2001년 3월 2일 대전지방노동청 연기고용안정센터로 개설되었으며, 2012년 7월 1일 대전지방노동청 공주고용센터...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있는 세종·공주 축산업민들을 위한 협동조합. 세종공주축산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일원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7년 6월 11일 공주군축산협동조...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있는 세종·공주 축산업민들을 위한 협동조합. 세종공주축산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일원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7년 6월 11일 공주군축산협동조...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있는 세종·공주 축산업민들을 위한 협동조합. 세종공주축산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일원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7년 6월 11일 공주군축산협동조...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영재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의 교육 지표는 ‘글로벌 리더십을 갖춘 창의적 미래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지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학문 분야의 복잡한 문제를 파악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줄 아는 인재[창조인], 세계적 두뇌와의 네트워킹 구축을 통하여 리더십을 발휘하는 인재[세계인], 과학기술과 인문·예술의 상보적 융합을 통하...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영재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의 교육 지표는 ‘글로벌 리더십을 갖춘 창의적 미래 융합 인재 육성’이다. 교육 지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학문 분야의 복잡한 문제를 파악하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줄 아는 인재[창조인], 세계적 두뇌와의 네트워킹 구축을 통하여 리더십을 발휘하는 인재[세계인], 과학기술과 인문·예술의 상보적 융합을 통하...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평리에 있는 보건 의료 서비스 제공 기관.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치매 문제를 치매환자와 가족 문제를 넘어 지역사회의 지원으로 시민들이 느끼는 치매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예방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7년 3월 개소하여 2017년 5월 세종특별자치시 시립의원, 세종특별자치시 정신건강증진센터, 세종특별...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서창리에 있는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직속기관.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원은 ‘새로운 학교 행복한 아이들’이라는 교육비전을 실현하고 미래교육·책임교육·혁신교육을 통하여 학습도시 세종을 만들어 가는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직속기관이다.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원은 교직원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고 연수 과정을 개발·지원하며 유아와 학부모를 위한 다...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버스 운수업체.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유일한 민간 운수업체로,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일부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1980년 삼흥여객 조치원영업소를 분사하여 설립하였으며, 1986년 7월 1일 성일버스로 사업자등록을 하였다. 연기군 시절의 성일버스에서 2010년에 세종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에는 티머니로 교통카드를...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봉암리에 있는 버스 운수업체.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유일한 민간 운수업체로,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일부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1980년 삼흥여객 조치원영업소를 분사하여 설립하였으며, 1986년 7월 1일 성일버스로 사업자등록을 하였다. 연기군 시절의 성일버스에서 2010년에 세종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에는 티머니로 교통카드를...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버스공영제 운영 및 도시개발을 위하여 설립된 기구. 세종도시교통공사는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의 효율적인 개발과 개발이익 지역 내 재투자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대중교통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도시교통의 발전과 이용시민의 편의 및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6년 10월 20일 세종도시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에...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국제계열 특수목적 고등학교. 세종국제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세계를 선도하는 조화롭고 품격 높은 글로벌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성·인성·창의성을 겸비한 글로벌 리더십 고취, 국제사회와 관련된 폭넓은 지식과 국제적 감각 함양, 국제기구 및 지역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의사소통능력 배양, 우리 문화에 대한...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국제계열 특수목적 고등학교. 세종국제고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세계를 선도하는 조화롭고 품격 높은 글로벌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성·인성·창의성을 겸비한 글로벌 리더십 고취, 국제사회와 관련된 폭넓은 지식과 국제적 감각 함양, 국제기구 및 지역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의사소통능력 배양, 우리 문화에 대한...
-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에 있는 국책연구단지.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을 세종특별자치시의 연구단지로 이전함으로써 연구기관 이전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국유재산 가치를 제고하며, 상호 기여 및 연계가 가능하도록 계획하여 연구 및 구성 효과 등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4년 12월 30일 나라키움 세종국책연구단지 준공식을 시행하고, 2005년 6월 임차 사옥을 사용...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금호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배려와 소통으로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한 우리’이고, 교육 지표는 ‘인성·감성·지성으로 조화로운 미래 역량을 갖춘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갖춘 창의인, 자발적 참여와 소통을 실천하는 민주인, 예술적 감수성과 끼를 키우는 문화인, 미래 지향적...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금호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배려와 소통으로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한 우리’이고, 교육 지표는 ‘인성·감성·지성으로 조화로운 미래 역량을 갖춘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갖춘 창의인, 자발적 참여와 소통을 실천하는 민주인, 예술적 감수성과 끼를 키우는 문화인, 미래 지향적...
-
세종 지역에 지정된 과학벨트 기능지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8조)에 의하여 기초연구와 비즈니스를 융합하고 종합적·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지정된 과학벨트 연계 지역을 말한다. 정부는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환경을 구축하고, 기초연구와 비즈니스가 융합될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을 추...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소질을 계발하여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는 학생, 열정과 도전으로 배움의 기쁨을 아는 학생, 세계인으로서 품격이 있는 학생,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예의를 아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은 ‘꿈이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교보통 인가받았으며 2014년 9월 1일 나래초등학...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소질을 계발하여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는 학생, 열정과 도전으로 배움의 기쁨을 아는 학생, 세계인으로서 품격이 있는 학생,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예의를 아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은 ‘꿈이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교보통 인가받았으며 2014년 9월 1일 나래초등학...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래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소질을 계발하여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는 학생, 열정과 도전으로 배움의 기쁨을 아는 학생, 세계인으로서 품격이 있는 학생, 인간과 자연에 대한 예의를 아는 학생’이다. 교육 비전은 ‘꿈이 성장하는 행복한 배움터’이다. 2012년 10월 15일 공립학교보통 인가받았으며 2014년 9월 1일 나래초등학...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전리에 있는 농업 발전 지원 기관. 세종특별자치시 농업기술센터는 농업 발전을 위하여 지도사업 및 교육훈련사업 등을 담당하는 세종특별자치시청 산하 직속기관이다. 세종특별자치시 농업기술센터는 1957년 2월 12일 충청남도 연기군 농사교도소로 발족되었다. 1962년 3월 21일 연기군 농촌지도소[조치원읍 교리 13-2]로 명칭을...
-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에 있는 중증장애 학생을 위한 공립 특수학교. 세종누리학교의 교육 목표는 튼튼한 성장, 당당한 자립생활, 더불어 사는 생활, 즐거운 배움의 4가지이다. 교육 방향은 ‘첫째 학생의 미래에 대한 희망과 자립을 지원한다, 둘째 생활 속에서 활동적이고 경험을 쌓아 가는 교육을 추구한다, 셋째 학생의 수준과 성장을 고려한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넷째...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세종대성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적성과 소질을 계발하여 창의적인 인재[창의인], 자율적으로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인재[자율인], 비전을 제시하여 꿈과 끼를 실현하는 인재[실력인],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인간...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세종대성고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인재 육성’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적성과 소질을 계발하여 창의적인 인재[창의인], 자율적으로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인재[자율인], 비전을 제시하여 꿈과 끼를 실현하는 인재[실력인],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인간...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대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타인과 어울리는 학생, 민주적 참여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과 마음이 성장하는 민주적인 우리이다. 2018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고, 인증지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2019년...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대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타인과 어울리는 학생, 민주적 참여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과 마음이 성장하는 민주적인 우리이다. 2018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고, 인증지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2019년...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대평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학생, 예술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타인과 어울리는 학생, 민주적 참여를 바탕으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학생’이다. 교훈은 생각과 마음이 성장하는 민주적인 우리이다. 2018년 3월 1일 12학급으로 편성되어 개교하였고, 인증지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2019년...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도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소질과 재능을 키워 진로를 탐색하는 학생,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는 건강한 학생,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며 ‘큰 꿈을 키워 미래를 여는 도담교육’이다. 교훈은 높게, 넓게, 함께이다. 도담초등학교는 2013년 3월 1일 7학급으로 개교하여 20...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도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소질과 재능을 키워 진로를 탐색하는 학생,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는 건강한 학생,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며 ‘큰 꿈을 키워 미래를 여는 도담교육’이다. 교훈은 높게, 넓게, 함께이다. 도담초등학교는 2013년 3월 1일 7학급으로 개교하여 20...
-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도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소질과 재능을 키워 진로를 탐색하는 학생,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는 건강한 학생, 소통과 나눔을 실천하는 학생’이며 ‘큰 꿈을 키워 미래를 여는 도담교육’이다. 교훈은 높게, 넓게, 함께이다. 도담초등학교는 2013년 3월 1일 7학급으로 개교하여 20...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청라리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2012년 6월 세종특별자치시에 설립 신고를 시작으로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노인대학, 노인돌봄 서비스, 가사간병서비스, 노인장기요양,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등 사업을 하고 있다. 노인과 장애인에게 통제적이고 강요되는 삶이 아닌 ‘주체적인 삶’과 일상생활에서의 생활적 자립과 직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충족시키는 데 앞장...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세종 분관. 2013년 행정도시 세종특별자치시 중심에 개관한 국립세종도서관은 올바른 정책으로 국민이 행복할 수 있고 더 창조적인 정책으로 국가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정부 및 공공기관의 정책 수립·수행·평가 등 정부의 정책 과정 지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06년 6월 문화부에서 ‘행정도시건설 기본계획’ 수립 시 국립도...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버스공영제 운영 및 도시개발을 위하여 설립된 기구. 세종도시교통공사는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의 효율적인 개발과 개발이익 지역 내 재투자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대중교통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도시교통의 발전과 이용시민의 편의 및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16년 10월 20일 세종도시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에...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천주교 대전교구 공주지구 소속 성당. 2014년 6월 16일 성당 부지 구입을 시작으로 2014년 11월 4일 건축, 대수선, 용도변경 허가를 받았다. 2015년 1월 9일 조치원성당에서 분가하여 조치원도원성당이라 가칭하였다. 2015년 1월 24일 조치원성당 부속 건물 마리아홀에서 첫 주일 미사(missa)[가톨릭에서 예수의 최후 만...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종도원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심신으로 꿈과 끼를 키우는 학생, 기초 기본실력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며 즐기는 학생,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더불어 사는 학생’이다. 창의인성교육으로 미래인재를 키우는 행복자람 세종도원교육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훈은 ‘더 크게! 보다 새롭게! 모두...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종도원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심신으로 꿈과 끼를 키우는 학생, 기초 기본실력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며 즐기는 학생,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더불어 사는 학생’이다. 창의인성교육으로 미래인재를 키우는 행복자람 세종도원교육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훈은 ‘더 크게! 보다 새롭게! 모두...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월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종도원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건강한 심신으로 꿈과 끼를 키우는 학생, 기초 기본실력이 튼튼한 창의적인 학생,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며 즐기는 학생,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더불어 사는 학생’이다. 창의인성교육으로 미래인재를 키우는 행복자람 세종도원교육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훈은 ‘더 크게! 보다 새롭게! 모두...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에 속한 법정리.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심권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미래의 심장부라는 상징을 담아 세종특별자치시 명칭의 근간인 세종대왕에서 두 글자를 가져왔다. 세종리는 모롱지마을로도 불리는데, 세종 지역의 고유어 전래 명칭 가운데 모롱지산을 활용한 것이다. 송담리에 있는 모롱지산은 산모퉁이를 휘어 돌린 곳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금강과 만나는...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부안임씨의 동족조직. 세종특별자치시의 전통 동족마을을 대표하는 세종리[옛 양화리]의 부안임씨들은 가문의 전통을 유지하면서 집안을 결속시키기 위하여 종약(宗約)[종중이 모여서 종회(宗會)의 운영에 관하여 정한 규약]을 만들어 시행하였다. 동족의 결속을 다지는 공동제의로 불천위(不遷位)[큰 공훈이 있어 영원히 사당에 모시기를 나라에서...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지역 복합 문화예술 시설. 문화예술회관은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라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을 진흥시키고 지역 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또한 공연장 시설과 공연장 상주단체 사무실, 청소년과 지역 주민을 위한 복합 시설로 구성되어 지역 주민이 문예회관을 일상적으로 찾는 등 지역의 문화예술 창달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지역 복합 문화예술 시설. 문화예술회관은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라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을 진흥시키고 지역 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또한 공연장 시설과 공연장 상주단체 사무실, 청소년과 지역 주민을 위한 복합 시설로 구성되어 지역 주민이 문예회관을 일상적으로 찾는 등 지역의 문화예술 창달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지역 복합 문화예술 시설. 문화예술회관은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라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을 진흥시키고 지역 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또한 공연장 시설과 공연장 상주단체 사무실, 청소년과 지역 주민을 위한 복합 시설로 구성되어 지역 주민이 문예회관을 일상적으로 찾는 등 지역의 문화예술 창달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침산리에 있는 지역 복합 문화예술 시설. 문화예술회관은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라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을 진흥시키고 지역 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또한 공연장 시설과 공연장 상주단체 사무실, 청소년과 지역 주민을 위한 복합 시설로 구성되어 지역 주민이 문예회관을 일상적으로 찾는 등 지역의 문화예술 창달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문화예술기관. 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 설립되는 특수법인체이다. 지역의 향토문화 창달을 위하여 일정한 시설을 갖추고 문화 및 사회교육사업, 민속행사, 전통문화 발굴 보존과 각종 행사를 주관하는 등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문화 사업을 수행한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방문화원을 지원하여야 한다. 세...
-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교리에 있는 문화예술기관. 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해 시·군·구 단위에 설립되는 특수법인체이다. 지역의 향토문화 창달을 위하여 일정한 시설을 갖추고 문화 및 사회교육사업, 민속행사, 전통문화 발굴 보존과 각종 행사를 주관하는 등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문화 사업을 수행한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방문화원을 지원하여야 한다. 세...
-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는 문화재단. 세종시문화재단은 2016년 11월 29일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 산하 출연기관으로, 시민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독립성·전문성·효율성을 갖춘 문화예술진흥 전담 기구이다. ‘백성과 함께 더불어 즐긴다’는 여민락을 재단의 BI(Brand Identity)로 정하고 세종시문화재단 초성을 도형화한 디자인...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세종특별자치시에 글로벌 지식 경쟁력을 갖춘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지역특화산업 육성, 경제활성화 유도, 지역이미지 제고를 도모,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세종미래일반산업단지 관리...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세종특별자치시에 글로벌 지식 경쟁력을 갖춘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지역특화산업 육성, 경제활성화 유도, 지역이미지 제고를 도모,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세종미래일반산업단지 관리...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양곡리 일원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세종특별자치시에 글로벌 지식 경쟁력을 갖춘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지역특화산업 육성, 경제활성화 유도, 지역이미지 제고를 도모,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로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33조 제1항 및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세종미래일반산업단지 관리...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깊은 지성[배움의 즐거움을 알아요], 넓은 심성[세상의 아름다움을 느껴요], 높은 시민성[우리의 행복을 만들어요]’이다. 교육 비전으로 ‘즐거운 배움, 함께 나아가는 우리’이다. 2014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미르초등학교는 개교와 함께 지역사회 세종천연가스발전소, 세종우체국, 한국국악협회, 이마...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깊은 지성[배움의 즐거움을 알아요], 넓은 심성[세상의 아름다움을 느껴요], 높은 시민성[우리의 행복을 만들어요]’이다. 교육 비전으로 ‘즐거운 배움, 함께 나아가는 우리’이다. 2014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미르초등학교는 개교와 함께 지역사회 세종천연가스발전소, 세종우체국, 한국국악협회, 이마...
-
세종특별자치시 한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르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깊은 지성[배움의 즐거움을 알아요], 넓은 심성[세상의 아름다움을 느껴요], 높은 시민성[우리의 행복을 만들어요]’이다. 교육 비전으로 ‘즐거운 배움, 함께 나아가는 우리’이다. 2014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미르초등학교는 개교와 함께 지역사회 세종천연가스발전소, 세종우체국, 한국국악협회, 이마...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에 있는 문화예술단체. 한국민족예술인단체총연합 세종지회는 세종시의 민족예술인들이 결성한 문화예술단체이다. 최고 의결기구인 총회가 있으며, 지회장·운영위원회·사무처 등을 두고 있다. 운영위원회 산하에는 음악지부, 미술지부, 대중예술지부, 문학지부 등 각 지부가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지역 문화예술과 자유와 평등적 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반곡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사랑과 열정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민주시민으로 소통·공감·나눔·배려를 실천하는 반곡인, 배움을 즐기고 탐구·융합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반곡인, 심신이 건강하고 예술적인 감성이 풍부한 반곡인, 자신을 존중하고 꿈을 키우며 진로를 개척하는 반곡인 육...
-
세종특별자치시 반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반곡중학교의 교육 비전은 ‘사랑과 열정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이다. 교육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민주시민으로 소통·공감·나눔·배려를 실천하는 반곡인, 배움을 즐기고 탐구·융합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반곡인, 심신이 건강하고 예술적인 감성이 풍부한 반곡인, 자신을 존중하고 꿈을 키우며 진로를 개척하는 반곡인 육...
-